• 제목/요약/키워드: persuasion effect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6초

정치광고의 메시지 유형이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 - 설득지식의 조절효과 - (Persuasion Effects of Political Ad Message Types: The Moderating Role of Persuasion Knowledge)

  • 문재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380-389
    • /
    • 2014
  • 정치 후보자의 장점만 전달하는 일면 메시지는 당선에 영향을 주기 위해 과장하여 만들어 낸 것으로 부정적인 인지 반응이 형성될 수 있는 한편, 후보자의 장단점을 함께 언급하는 양면 메시지는 광고 메시지에 대한 신뢰도와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정치광고 메시지의 유형에 따른 신뢰도와 수용의도의 차이를 밝히고, 나아가 소비자의 설득지식수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 결과, 양면 메시지의 설득효과가 일면 메시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나아가, 메시지 유형이 메시지 신뢰도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비자 설득지식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는 연구결과의 요약과 시사점, 그리고 한계점을 논의하고 있다.

온라인 화장품 광고의 희소성 메시지 설득효과: 제품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Persuasion Effects of Scarcity Message in Online Cosmetic Advertising: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Type)

  • 박현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10호
    • /
    • pp.121-132
    • /
    • 2010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persuasion effects of online cosmetic advertising according to scarcity message type and product type. For the experiment, 4 stimuli were developed as experimental stimuli for the 2(scarcity message type: quantity scarcity message vs distinctiveness scarcity message) X 2(product type: hedonic product vs utilitarian product) factorial design. Participants were 160 students, and they allocated 40 students in each group. They responded a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istinctiveness scarcity message showed more effective than quantity scarcity message in advertising attitude, product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Second, hedonic product showed more effective than utilitarian product in advertising attitude, product attitude, brand attitude, advertising attention, click-through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ird, there was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scarcity message type and product type on the aspect of advertising attitude, advertisement attention, and click-through intention.

라디오 광고에서 언어 힘의 설득 효과와 정보원 성(性)의 영향 (The Effects of Power-of-Speech and Sex of Source on Persuasion, in Radio CM)

  • 천현숙;리대룡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93-11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라디오 광고에서 정보원이 사용하는 언어 힘이 설득에 효과가 있는지를 관찰하고, 그 효과를 정보원의 성 그 자체의 효과와 비교해 봤을 때 과연 어떤 것이 설득을 결정하는 더 큰 요소인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선행 연구들은 일관성 없는 결괄르 보여주었다. 어떤 연구는 오디오 커뮤니케이션에서 언어 힘의 설득 효과는 학자의 성에 달려있다고 주장했고(Carli, 1990), 또 어ㅏ떤 연구는 오디오 커뮤니케이션에서 언어 힘의 설득 효과는 학자의 성에 관계없이 나타나는 굳건한 효과임을 주장했다(Holtgraves & Lasky, 1999; Erickson, Lind, Johnson, & O'Barr, 1978). 이에 본 연구는 라디오 광고에서 언어 힘과 정보원 성의 상호작용을 관찰함으로써 언어 힘의 설득 효과에 정보원의 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험적 증거를 제시하고자 했다. 실험 결과, 라디오 광고에서 정보원이 사용하는 언어 힘은 설득에 강한 효과가 있으며, 그 효과는 정보원 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언어 힘의 지위 효과가 성의 지위 효과보다 더 강력하다는 것을 함축한다.

  • PDF

판매원의 설득전술 : 대학생의 구매형태 및 성별의 조절효과 (Persuasion Tactics of Salesmen : Moderating Effect in Regards to the Purchasing Patterns and Gender of College Students)

  • 윤성욱;강지호;정원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494-7500
    • /
    • 2015
  • 본 연구는 고객과 만나는 서비스 접점에 있는 판매원의 설득전술에 따라 고객의 태도와 행동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판매원의 설득전술을 고객에게 단순한 정보만 제공하는 비강압적 설득전술과 손실을 언급하는 강압적 설득전술로 나누었다. 이러한 판매원의 설득전술 유형에 따른 고객의 수용의도와 구매의도의 효과 검증과 함께 고객의 소비하는 구매형태와 성별에 따라 어떤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판매원의 설득전술 중 강압적 전술인 손실언급에 대한 전술이 비강압적 전술인 정보제공전술보다 소비자의 수용의도와 구매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매형태에 대한 조절효과는 소비자의 수용의도와 구매의도에 대하여 강압적 전술이 비강압적 전술보다 온라인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성별에 대한 조절효과는 소비자의 수용의도와 구매의도에 대하여 강압적 전술이 비강압적 전술보다 여성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소비자 접점에서 판매원의 설득전술은 소비자의 구매의도와 수용의도에 대하여 온라인 구매형태와 여성에게 강압적 설득전술이 더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폰서십의 설득의도성에 대한 소비자 반응: 광저우 아시안 게임을 바탕으로 (Consumer's Responses to the Persuasion Attempt of the Sports Sponsorship: The Case of Guangzhou Asian Games)

  • 임명서;김해룡;이문규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3권2호
    • /
    • pp.71-97
    • /
    • 2011
  • 스폰서십 활동은 기업의 선의의 활동이란 의미에서 기업이미지에 효과적인 설득수단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기존의 스폰서십의 연구들은 스폰서십 활동이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미치는 긍정적 후광효과(halo effect)를 주로 언급하고 있지만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는 스폰서십의 다양한 형태는 매복마케팅과 같은 상행위적 윤리문제와 지나친 상업적 의도로 인해 소비자에게 부정적 인식을 심어주고 있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설득수단으로서의 스폰서십 활동에 숨겨진 상업적 의도에 대하여 소비자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Friestad와 Wright(1994)의 설득지식모델(the persuasion knowledge model)을 적용하였다. 설득지식모델에서는 에이전트의 상업적 의도 또는 판매 의도적 활동을 간파하기 위해 소비자가 설득지식을 활성화 시킨다고 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 참여했던 스폰서십 기업에 대한 서베이를 진행하여 설득지식모델을 토대로 설득지식 유발에 영향을 주는 사전적 요인으로서 스폰서의 친숙성, 스폰서-이벤트 일치성과 상황적 요인으로서 스폰서의 노력, 스폰서의 진실성이 설득지식에 미친 영향을 밝히고 설득시도의 적절성 차원에서 스폰서십 유형(공식후원형 vs. 마케팅 중심형)에 따라 소비자의 설득지식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스폰서의 친숙도와 스폰서-이벤트 일치성 그리고 스폰서의 노력은 설득지식에 매개되어 소비자태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또한 스폰서십의 유형의 차이는 설득지식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스폰서십 활동을 실시하려는 기업에 대한 실무적 제언을 하였다.

  • PDF

온라인 화장품 광고의 소비자 설득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증거 메시지 유형과 제품유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Persuasion Effects of Online Cosmetic Advertising -Focused on Types of Social Proof Message and Product-)

  • 박현희;이금;전중옥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755-763
    • /
    • 2010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persuasion effects according to social proof message type and product type in the context of online cosmetic advertising. For the experiment, 4 stimuli were developed as experimental stimuli for the 2(social proof message type: attitudinal social proof message, behavioral social proof message)${\times}$2(product type: hedonic product, utilitarian product) factorial design. A total of 160 questionnaires allocating forty students to each group were distribu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ehavioral social proof message showed more effective than attitudinal social proof message in advertisement attention, click-through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Second, utilitarian product showed more effective than hedonic product in advertisement attention, click-through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ird, there was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social proof message type and product type on the aspect of click-through intention.

유색칼라 기내 미세번식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영향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in vitro Micropropagation of Colored Calla Lily(Zantedeschia spp.))

  • 이영순;고정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4-160
    • /
    • 2005
  • 유색 칼라 세 품종(Sunlight, Chiante, Pink Persuation)의 기내 급속증식체계를 확립코자 정단분 열조직을 배양함에 있어 callus, 신초 및 뿌리 분화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의 효과와 sucrose가 기내 괴경 형성 및 비대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식물체는 캘러스를 통하거나 또는 치상체에서 직접 분화되는 두 경로로 형성되었으며 2.0 mg/L BA 단용 처리에서 Sunlight품종은 $53.3\%$ 캘러스를, Chiante 품종은 $56.7\%$ 직접 신초를 형성하였다. 2.0-3.0 mg/L BA 단용 처리는 품종별로 식물체재 분화 빈도가 $20-70\%$로 차이가 있었으나 세 품종 모두 3.0 mg/L. BA 단용 처리에서 신초 분화가 양호하였다. 다아체 형성에 미치는 cytokinin의 효과는 Sunlight품종은 1.0 mg/L 2ip 처리로 16개체를, Chiante 품종은 5.0 mg/L BA를 처리로 14개체를, Pink Persuasion품종은 1.0 mg/L BA처리로 12개체를 형성하였다. NAA는 세품종 뿌리분화에 효과가 없었으며 Sunlight 와 Chiante 품종은 1.0 mg/L IAA에서, Pink Persuasion 품종은 2.0 mg/L IBA가 효과적이었다. 괴경형성에 미치는 sucrose는 Sunlight 품종은 90 g/L, Chiante 및 Pink Persuasion 품종은 70 g/L 가 괴경 형성 및 비대에 효과적이었다.

시간 모니터링과 목표지향이 설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ime Monitoring and Goal Orientation on Persuasion)

  • 민동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103-109
    • /
    • 2020
  • 이 연구는 설득에 있어서 사람들이 시간을 어떻게 모니터링 하는 지 그리고 목표 지향과 설득적 메시지 유형이 어떻게 시간 모니터링과 설득 사이의 관계에서 조절 역할을 하는 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실험을 통해 시간 지평 관점(제한 vs. 확장)과 목표 지향(접근 vs. 회피 vs. 통제), 그리고 메시지 유형(정서적 vs. 지식 관련)의 상호작용 효과가 검증되었다. 구체적으로, 제한된 THP를 갖는 참가자들은 회피 목표를 지향할 때 지식 관련 메시지에 더 설득된 반면, 접근 목표를 지향할 때는 정서적 메시지에 더 설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확장된 THP를 가진 참가자들은 목표 추구 유형과 상관없이 모두 지식 관련 메시지에 더 설득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광고 등으로 대표되는 설득적 메시지의 효과에 있어 피험자의 연령과 그들이 갖고 있는 시간 지평 관점에 대한 고려 뿐 아니라 캠페인 등을 통해 유발할 수 있는 목표의 유형, 그리고 메시지의 구성이 상호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수사학적 관점에서의 인터넷 개인방송 크리에이터에 대한 이용자의 기부의사에 관한 연구 (User's Willingness to Donate to a Personal Broadcasting Creator From a Rhetorical View)

  • 문윤지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8권3호
    • /
    • pp.83-104
    • /
    • 2019
  • Purpose Recently,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has been widely spreaded as a new media type by replacing traditional legacy media such as TV. Considering this phenomen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Aristoteles' persuasion factors on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from a rhetorical view. The reason why users watch the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is that they are persuaded by creator's expertness, empathy, or content usefulness. These factors can be regarded as persuasion factors. Therefore, with Aristoteles' rhetorical persuasion factors composed of ethos, pathos, and logos,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how persuasion factors affect user's emotional\ attachment and voluntary donation inten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paper proposes a model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ree rhetorical factors, user's emotional attachment, and donation intention. Specifically, ethos is regarded as creator's expertness and trustworthiness, and pathos refers to creator's empathy and social interaction. Last, logos refers to content usefulness and credibility. For testing a hypothetical research model, this study collected 468 surveys and empirically tested hypothese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inding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rhetorical factors (ethos, pathos, and logos) and emotional attachment further influence user's donation inten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rhetorical factors of ethos and pathos enhances emotional attachment, followed by donation intention. Contrary to an expectation, however, logo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emotional attachment. Creators of Internet personal media and MCN providers should focus on the different effects of rhetorical factors and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emotional attachment to encourage user donation.

소비자 자신감과 패션연출 자신감이 중고패션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nsumer Self-confidence and Self-confidence in Fashion Coordination on Attitude toward Secondhand Fashion Goods and Purchase Intention of Secondhand Fashion Goods)

  • 박현희;추태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44-553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consumer self-confidence and self-confidence in fashion coordination on the attitude toward secondhand fashion goods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secondhand fashion goods. Questionnaire data from 346 university student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ive factor solutions in consumer self-confidence: information acquisition, personal outcomes decision making, social outcomes decision making, consideration-set information, persuasion knowledge. Second, information acquisition, social outcomes decision making, and consideration-set inform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lf-confidence in fashion coordination, while personal outcomes decision making and persuasion knowledge had no effect on self-confidence in fashion coordination. Third, self-confidence in fashion coordin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toward secondhand fashion goods however, it had no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of secondhand fashion goods. Fourth, attitude toward secondhand fashion good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secondhand fashion goods. The results show diverse implications for marketers and managers of secondhand fashion g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