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lla seeds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 일본에서 수집한 들깨와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들의 종자발아 변이 (Variation of Seed Germination Among Cultivated and Weedy Types of Perilla Crop in Korea and Japan)

  • 정지나;유창연;김종화;이주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70-278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재배 및 이용하고 있는 들깨, 차조기 그리고 이들 잡초형 69 계통들에 대하여 종자 특성 및 종자발아 변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배형 들깨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177 g에서부터 0.402 g까지의 범위였고, 종자경도는 대부분의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는 부드러운 특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일부 계통들은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반면에 잡초형 들깨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45 g에서부터 0.172 g까지의 범위였고, 종자경도는 모든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2. 재배형 차조기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54 g에서부터 0.101 g까지의 범위였고, 잡초형 차조기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59 g에서부터 0.135 g까지의 범위였으며, 그리고 이들의 종자경도는 모든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3. 실온 및 $28^{\circ}C$ 항온조건의 발아율 조사에서 수확 후 1개월째에서는 들깨의 잡초형 그리고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대부분이 50% 이하의 낮은 발아율을 나타내었으나, 재배형 들깨의 일부 계통들이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2개월 및 3개월이 경과한 상태에서 들깨의 재배형 및 잡초형 그리고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는 계통들이 많이 나타났다. 4. 들깨와 차조기 작물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서의 평균발아율 및 평균발아세는 수확 후 1개월째에서 가장 낮고 수확 후 3개월째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실온 및 $28^{\circ}C$ 항온조건에서의 발아율과 발아세는 $28^{\circ}C$ 항온조건 보다는 실온조건에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탈지들깨박 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Studies on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Defatted Perilla Flour)

  • 윤석권;김정한;김재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0-164
    • /
    • 1993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defatted perilla flour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peroxide value of perilla oil during storage at $45^{\circ}C$.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was also compared with BHA, BHT and tocopherol.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was also examined in corn oil and lard. The ethanol extracts contents of defatted perilla flour and the original perilla seed were 7.69 and 4.56%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was superior to that of 0.02% BHT, BHA and tocopherol in the perilla oil substrate, merely in concentration of one-twentieth as much as that contained in original perilla oil seeds. The fractions of non-polar solvent (hexane and chloroform) obtained from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are less effective than that of polar solvent as an antioxidant. Antioxidant activity of partially purified ethanol fraction is slightly inferior to that of original crude ethanol extracts. Ethanol extracts were also effective in corn oil and lard almost same as in perilla oil.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of crude ethanol extracts and partially purified ethanol fraction were 9.3, 6.4%, respectively.

  • PDF

자외선 흡수특성을 이용한 참기름의 이종기름 혼입판별에 관하여 (Determination of Sesame oil Adulterated with other Vegetable oils by Spectrophotometric Method)

  • 이영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51-155
    • /
    • 1993
  • 참기름에 이종의 식용유를 혼합하였을 때 이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순수한 참기름을 비롯한 일반적인 식용유 5종의 UV흡수양상을 조사하여 각 식용유의 UV흡수특성을 이용하여 순수한 참기름과 혼합 기름을 구별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순수한 참기름의 spectrum은 215, 230 및 290 nm에서 흡수피크를 형성한 반면, 옥수수유, 들기름 및 대두유는 모두 215, 230 및 280 nm에서, 그리고 미강유는 215, 290 및 320 nm에서 흡수피크를 형성하였다. 참기름의 290 nm에서의 흡수피크는 참기름 제조과정인 참깨의 볶는 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그 흡광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일반적인 조건으로 추정되는 $200^{\circ}C$, 60분간 볶은 후 제조한 참기름은 대략 0.7 정도의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참기름에 미강유를 혼합한 기름에서는 320 nm에서 미강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흡수피크가 나타나고, 참기름에 옥수수유, 들기름 또는 대두유를 각각 혼합한 기름들은 290 nm에서의 흡광도가 순수한 참기름의 흡광도에 비하여 적었으며, 이종기름의 혼합율이 높을수록 비례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 PDF

고온에서 $GA_3$처리가 자소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_3$ on Germination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under High Temperature)

  • 이중호;권지웅;이승엽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98-204
    • /
    • 2001
  • 자소엽의 연중생산에 필요한 파종전처리 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자소종자의 $GA_3$ 처리시 적정 처리농도, 침지시간 및 고온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만기파종시 포장에서 $GA_3$ 처리, 복토깊이 및 왕겨피복 등이 출아에 미치는 상호작용을 비교하였다. $GA_3$ 처리농도에 따른 발아특성은 100 ppm에서 가장 좋았으며, 100 ppm $GA_3$ 처리시 종자의 침지시간에 따른 발아특성은 12시간 이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발아온도에 따른 100 ppm $GA_3$ 처리효과는 온도가 높을수록 발아속도와 발아일수가 빨라졌으며, 11일째에는 발아온도에 관계없이 95%이상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나, 무처리구는 $20^{\circ}C$ 이상 온도가 높을수록 발아율이 낮았다. 만기파종시 출아율은 파종시기에 관계없이 100 ppm $GA_3$용액에 침지파종후 5 mm의 복토와 10 mm 왕겨피복구에서 가장 높았다.

  • PDF

볶음공정과 산화방지제가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asting Process and Antioxidants on Oxidative Stability of Perilla Oils)

  • 김영언;김인환;이영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79-38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볶지않은 들깨와 볶은 들깨에서 착유한 들기름에 몇가지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여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을 검토하였다. $190^{\circ}C$에서 20분동안 볶은 들깨와 볶지 않은 들깨에서 착유한 들기름에 ${\alpha}$-토코페롤, ${\delta}$-토코페롤을 100, 200, 300과 400 ppm, BHA, BHT와 TBHQ를 50, 100, 150과 200 ppm으로 농도별로 첨가하여 $50^{\circ}C$에서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과산화물가는 antioxidative index (항산화제를 첨가한 들기름의 유도기간/항산화제를 첨가안한 들기름의 유도기간)로 환산하여 산화적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볶지 않고 착유한 들기름보다 볶은 들깨에서 착유한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이 뛰어나, 볶음공정이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에 약 4배 정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첨가된 토코페롤류는 들기름의 산화를 촉진하였다. 합성산화방지제인 BHA는 산화방지 효과가 없었고, BHT는 미약한 산화방지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TBHQ는 강한 산화방지 효과를 보였다. 이 결과로 미루어 볼때 TBHQ를 법적 허용 기준치인 200 ppm이내에서 첨가하였을때 들기름의 저장안정성을 약 5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TBHQ가 들기름의 산화 안정성 향상에 가장 적합한 산화방지제로 판단되었다. 또한 볶음조건을 조절함으로써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들깨의 발아가 들깨지방질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Germination on Characteristics of Perilla Seed Lipids)

  • 최은옥;황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1-57
    • /
    • 2011
  • Color,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and tocopherols and polyphenols contents of perilla seed lipids in response to seed germination were studied. Perilla seeds were germinated at $30^{\circ}C$ in the dark for 12, 36, or 48 h, after which total lipids were extracted by the Folch method using chloroform and methanol (2:1, v/v). Seed germination resulted in a decrease in yellowness and greenness in perilla seed lipid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composition of the lipids including major neutral lipids (>90%). Contents of phosphatidylcholine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in the perilla seed lipid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sponse to germination. Linolenic acid (>63%) was the most abundant fatty acid. Seed germination tended to decrease the relative content of linolenic acid and increase the contents of oleic and stearic acids. Contents of antioxidants, especially ${\alpha}$-tocopherol and polyphenols, increased in response to seed germination. As the germination period was extended, the antioxidant content increased. Therefore, increases in useful components, phosphatidylcholine, phosphatidylethanolamine, ${\alpha}$-tocopherol, and polyphenols contents by seed germination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erilla seed utilization in food industry.

Molecular Modification of Perilla Lipid Composition

  • Hwang, Young-Soo;Kim, Kyung-Hwan;Hwang, Seon-Kap;Lee, Sun-Hwa;Lee, Seong-Kon;Kim, Jung-Bong;Park, Sang-Bong;Tom Okita;Kim, Dongher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1권1호
    • /
    • pp.20-30
    • /
    • 1999
  • In order to modify lipid production of Perilla qualitatively as well as quantitatively by genetic engineering, genes involved in carbon metabolism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These include acyl-ACP thioesterases from Perilla frutescens and Iris sp., four different $\beta$-ketoacyl- ACP synthases from Perilla frutescens, and two $\Delta$15 a-cyl-ACP desaturases(Pffad7, pffad3). Δ15 acyl-ACP desa turase (Δ15-DES) is responsible for the conversion of linoleic acid (18:2) to $\alpha$-linolenic acid (ALA, 18:3). pffad 3 encodes Δ15 acyl-desaturase which is localized in ER membrane. On the other hand, Pffad7 encodes a 50 kD plastid protein (438 residues), which showed highest sequence similarity to Sesamum indicum fad7 protein. North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the Pffad7 is highly expressed in leaves but not in roots and seeds. And Pffad3 is expressed throughout the seed developmental stage except very early and fully mature stage. We constructed Pffad7 gene under 355 promoter and Pffad3 gene under seed specific vicillin promoter. Using Pffad7 construct, Perilla, an oil seed crop in Korea, was transformed by Agrobacterium leaf disc method. $\alpha$-linolenic acid contents increased in leaves but decreased in seeds of transgenic Perilla. Currently, we are transforming Perilla with Pffad3 construct to change Perilla seed oil composition. We isolated three ADP-glucose pyrophosphorylase (AGP) genes from Perilla immature seed specific cDNA library.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two of three AGP (Psagpl, Psagp2) genes encode AGP small subunit polypeptides and the remaining (Plagp) encodes an AGP large subunit. PSAGPs, AGP small subunit peptide, form active heterotetramers with potato AGP large subunit in E. coli expressing plant AGP genes.

  • PDF

들깨의 발아가 들깨유의 산화 및 토코페롤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Germination on Oil Oxidation and Tocopherol Stability of Perilla Oil)

  • 황현숙;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55-26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비발아들깨와 12, 36, 48시간 발아시킨 들깨로 부터 유지를 추출한 후 $60^{\circ}C$의 빛이 차단된 상태 또는 빛의 존재 하에 4일 동안 저장하면서 가속조건에서의 유지 산화 및 토코페롤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들깨유의 과산화물값과 공액이중산 값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비발아 들깨유에 비해 발아들깨유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빛이 차단된 조건에 비해 빛 존재 하에서 들깨유의 산화와 토코페롤 분해가 더 많이, 더 빨리 진행되었다. 들깨유 중 12시간 발아시킨 들깨로부터 추출한 들깨유는 유의하게 낮은 공액이중산값과 토코페롤의 낮은 분해속도 등에 기인하여 가장 높은 자동산화, 광산화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머루 줄기와 자소자로부터 분리한 Resveratrol 올리고머와 Flavonoid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Resveratrol Oligomers and Flavonoids from the Stems of Vitis coignetiae Pulliat and the Seeds of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 손락호;진휘승;함아름;마응천;남궁우
    • 약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2-26
    • /
    • 2010
  • We studied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fiv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stems of Vitis coignetiae Pulliat and the seeds of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Based on spectroscopic evidence, compounds 1 to 5 were characterized as resveratrol, $\varepsilon$-viniferin, ampelopsin E, apigenin, and luteolin, respectively.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Gram-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negative (Pseudomonas aeruginosa) bacteria and a fungus (Candida albican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disc diffusion and broth dilution methods. C. albicans was not inhibited by the five compounds. Compounds 2 and 5 had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and the 50%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of compound 2 against S. aureus was 7.2 ${\mu}M$. Compounds 4 and 5 significantly inhibited P. aeruginosa and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compounds 2 and 5 was 0.07 and 2.0 ${\mu}M$, respectively. Compounds 2, 4, and 5 ha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and P. aeruginosa.

재래종(在來種) 들깨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Korean Native Perillas)

  • 성환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9-74
    • /
    • 1976
  • 우량종으로 선발된 6종의 재래종 들깨를 동일조건으로 재배하여 그 종실(種實)과 잎의 일반성분과 무기물을 분석하고 우수품종에 대한 유리 amino acid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실(種實)의 유지 함유량은 인천 군산 재래종이 각각 52%, 50.87%였고, 전부 45%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2) 종실(種實)의 단백질 함유량은 대구 대전 재래종이 각각 22.31%, 19.15%이고, 잎의 단백질을 대전 대구 재래종이 5%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3) Vitamin C와 $B_2$ 는 잎에 각각 60mg, $170\;{\mu}g%$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4) 종실(種實)의 무기질은 K Mg가 많고, 잎에는 K Ca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무기질은 종실(種實)에 비해서 잎이 $2{\sim}10$배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5) 대전 재래종의 종실에는 유리 amino acid로서 arginine 54.2mg%, alanine 23.9mg%가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glutamic acid 24.8mg%, alanine 9.1mg%가 함유되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