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lla seed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3초

들깨 종자의 발아에 따른 단백질 및 지방의 조성 변화 (Changes of Protein and Lipid Composition During Germination of Perilla frutescens Seeds)

  • 정대수;김현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18-325
    • /
    • 1998
  • To investigate changes in protein and total lipid contents, seed storage protein patter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germination perilla(Perilla frutescens) seeds. Also, the corresponding value components in cotyledons, hypocotyles and roots were measured according to germination stag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During germination, pertein and total lipid contents of Yepsilldalggae and Kwangyang cultivar were decreased continuously. In particular, protein contents rapidly decreased to the 3 days after germination(DAG), and then total lipid contents rapidly decreased between 3 DAG and 10 DAG. In changes of protein and total lipid contents of cotyledons, protein contents of Yeupsildalggae was increased during the germination, but Kwangyang cultivar was de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s. The total lipids contents of Yeupsildalggae and Kwangyang cultivar were decreased during the germination. According to SDS-PAGE analysis, there was no detectible polypeptide bands on the gel before seed germination suggesting that this may be due to the rapid degradation of the storage proteins in the mature seed by hydrolyttic enzymes during the stage. During germinatation , the polypeptide band with 27$\sim$28KD of Yeupsildalggae and Kwangyang cultivar were accumulated gradually. In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 of Yeupsildalggae and Kwangyang cultivar , 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increased during the germination. On the other hand, unsaturated fatty acid such as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de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s. However, oleic acid increased to the 5 DAG, and then was repidly decreased.

  • PDF

들깨 가식부위별 최적 추출 조건 확립을 위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평가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n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of Different Edible Parts of Perilla (Perilla frutescens L.))

  • 김민영;김정인;김상우;김성업;오은영;이정은;이은수;안연주;이명희;김춘송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51-560
    • /
    • 202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perilla(Perilla frutescens L.) seed, flower and leaf according to extraction condition. Perilla seed extracts(PSE), perilla flower extracts(PFE), perilla leaf extracts(PLE) was extracted by stirring extraction (STE, 25℃), shaking extraction (SHE, 80℃), and sonication assisted extraction(SAE, 25℃) with 94% ethanol, 60% ethanol and distilled water, followed by analysis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and testing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5.47, 9.36, 38.58 mg gallic acid equivalent/g), total flavonoid content(5.77, 8.62, 46.44 mg catechin equivalent/g), ABTS(10.68, 19.46, 63.56 mg trolox equivalent/g) and DPPH(6.51, 7.69, 79.73 mg trolox equivalent/g)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SE, PFE and PLE was observed in the HWE with 60% ethanol,. Among the three extraction method, SHE provided the best results for yield, polyphenol, flavonoid content of perilla seed, flower, leaf in comparison to STE or SAE. SHE with 60% ethanol of perilla seed, flower, leaf more effectively inhibited secretion of nitric oxide(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in RAW 264.7 macrophage exposed to LPS compared to other extraction solvent and method. Therefore, these extracts obtained from perilla seed, flower, leaf could be used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ingredients in the food industry.

Characterization of Grape Seed Oil

  • Kang, Han-Chul;Park, Won-Jong;Kim, Si-Dong;Park, Jong-Cheo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8호
    • /
    • pp.578-582
    • /
    • 1998
  • Grape seed oil was characterized to assess the usefulness in the food industry. Among the various oils, the initial antioxidant activity was the highest for grape seed oil. Heating the oil at $180^{\sim}C$ for 20 min retained 86% of the initial activity. Grape seed and sesame oils showed a low peroxide value, about 2, implying a less oxidative reaction. The oxidation of grape seed oil was increased to a less extent by heat-treatment than other oils. Light exposure for 1 month resulted in a slight decrease i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oil, maintaining 96% of the initial activity. Other oils were all light-susceptible and the activities decreased significantly. The peroxide values of all the oils increased by light exposure, but the extent of oxidation was still the least for grape seed oil. The addition of grape seed oil to perilla oil was very effective, in that the peroxide value was 5-times decreased by 1 : 5 composition of grape seed oil versus perilla oi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ape seed oil can be used as a good cooking oil or an additive for other oils.

  • PDF

들깨 유전자원의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조성 (Variation of Protein Content and Amino Acid Composition in Perilla Germplasm)

  • 이정일;방진기;이봉호;김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49-463
    • /
    • 1990
  • 들깨 장려품종과 지방수집재래종 도입종 등을 대상으로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조사하여 고단백 양질 다수성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들깨 유전자원의 단백질 함량은 최저 17.9%에서 최고 28.1%까지 10.2%의 변이폭을 보여 주었고 평균 함량은 23.6%였으며 대부분 21-25% 범위에 분포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단백질 함량이 높은 남지종, 산동종, 은진종 등 7품종을 선발하였다. 2. 단백질 함량은 유래별로는 전남지역에서 수집된 품종이 가장 높았고 숙기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종파색은 은회색이, 1,000립중은 무거운 대립종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3. 단백질 함량과 임실율은 유의적인 부의 상관을 보였고 단백질 함량과 기름함량은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단백질 함량과 1,000 립중간에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4. Micro-kjeldahl법과 비교한 NIR법의 단백질 calibration 정밀도는 0.27%였다. 5. 들깨 95품종을 대상으로 micro-kjeldahl법과 NIR 분석법에 의한 단백질 함량 차이는 유의성이 보이지 않았으며 표준편차 차이는 0.34%를 보여 주었고, 분석방법간에 고도의 정상관이 인정되었다. 6. 엽실들깨등 4품종의 아미노산 조성은 FAO권장량보다 높아 그 우수성이 인정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에서 총량은 품종간에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lysine과 methionine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7. 들깨의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와 arginine아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Elements and Yield of Perilla in Yeosu Area

  • Kwon, Byung-Sun;Park, Hee-Jin
    • Plant Resources
    • /
    • 제6권3호
    • /
    • pp.178-182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early variations of climatic elements and yearly variations of productivity in perilla. In addition,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yield and yield components were estimated. The data of yield and yield components were investigated for 10 years from 1991 to 2000. The meteorological data gathered at the Yeosu Weather Station for the same period were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climatic elements and productivity. Yearly variation of the amount of precipitation in September was large with coefficients of variation(c. v.) of 11.1%, but the coefficient of variance(c. v.) in July and August were relative small with 1.8, 2.1%, respectively. Number of cluster per hill and weight of 1,000 grains were greatly with c. v. of 76.1, 79.3%, respectively, but the coefficients of variance(c. v.) of plant height and seed yield were more less with 9.58, 10.60%, respectively.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recipitation of September and seed yield wer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at the level of 5.1%, respectively, but the duration of sunshine in September and seed yield were negatively significant at the level of 5.1%, respectively.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se, the plant height, number of branches per plant, cluster length, number of cluster per hill, weight of 1,000 grains and seed yield were positively significant at the level of 5.1% respectively.

  • PDF

들깨종자의 성숙과정중 지방질의 변화 (Changes' of lipids during maturation of perilla seed(Perilla frutescens))

  • 민용규;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3호
    • /
    • pp.139-145
    • /
    • 1992
  • 들깨종자의 지방질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원 10호와 제주의 두 품종을 시료로 하여 성숙과정중에 지방질의 구성성분과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에테르추출 지방질 함량은 성숙됨에 따라 크게 증가하여 완숙종자에는 수원 10호가 46.3%, 제주가 24.0% 이었다. 완숙종자로부터 추출한 에테르추출 지방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으로는 포화지방산인 팔미트산이 $9.4{\sim}18.2%$, 스테아르산이 $2.2{\sim}5.1%$ 이었고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이 $19.1{\sim}32.7%$, 리놀레산이 $12.4{\sim}15.3%$, 리놀렌산이 $30.6{\sim}54.1%$여서 불포화지방산이 많았다. 그러나 성숙후기에는 반대로 포화지방산이 불포화지방산보다 많았는데 이 경향은 제주에 비하여 수원10호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종자의 성숙중 중성지방질은 증가하였다. 완숙종자의 지방질을 구성하는 중성지방질은 수원 10호는 70.1% 였으며, 제주에서는 51.5% 들어 있었다. 에테르추출중성지방질의 주요 구성성분은 트리글리세리드, 유리지방산 및 디글리세리드였으며 특히 트리글리세리드는 성숙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여 완숙종자에는 수원 10호가 61.4%, 제주가 68.2% 이었다.

  • PDF

전.후작물 도입에 의한 중부지역 들깨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ropping System of Perilla in Middle Provinces of Korea)

  • 남상영;김인재;김민자;이철희;김태수;박충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4-140
    • /
    • 2003
  • 몇가지 전$.$ 후작물을 도입하여 들깨에 관한 작부체계 확립으로 안정생산 기반을 구축하고자, 들깨단작 등 6작부유형을 도입하여 2001년부터 2002년까지 2년에 걸쳐 시험한 결과 잡초발생은 보리+들깨, 흥화+들깨에서 많았다 보리+들깨와 홍화+들깨의 작부유형은 전$.$후작물의 생육에 지장이 없으며, 홍화+들깨는 전작물의 비닐 피복물을 후작물에서도 이용할 수 있어 생력화와 경영비를 절감할 수 있었으나, 참깨가 전작물로 도입 시에는 파종기가 늦어 생육이 부진하고 수량이 감소되었다. 소득은 들깨단작에 비하여 보리+들깨와 홍화+들깨에서 각각 4.1배, 5.2배 높았다. 작부유형별 토양 물리성 개선효과는 보리+들깨와 홍화+들깨에서 양호하였다.

$\alpha$-Linolenic Acid가 농축된 들깨지방산 에스테르에 대한 참깨 Lignan 물질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 of Sesame Lignans on $\alpha$-Linolenic Acid-Concentrated Perilla Fatty Acid Esters)

  • 정보영;류수노;허한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033-1038
    • /
    • 1997
  • Antioxidant effect of several antioxidative components on the high purity $\alpha$-linolenic acid(HALA; ALA, 78.1%) ethyl ester concentrated from perilla oil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weight-gains and peroxide value(POV) during storage at 5$0^{\circ}C$, 23$^{\circ}C$ and 4$^{\circ}C$. Amounts of antioxidant components were 0.2g/kg HALA ethyl ester for sesamin, sesangolin and butylated hydroxytolune(BHT), and 0.1g/kg for sesamol and 100g/kg for ether extracts from perilla seed. The oxidative stability of HALA ethyl ester was particularly increased by adding sesamol, ether extracts and BHT, but sesamin and sesangolin scarcely showed an antioxidant effect. POV on the HALA ethyl ester added sesamol and ether extract was less than 15.0meq/kg by 9 weeks of storage at 23$^{\circ}C$. However, in the case of low temperature storage at 4$^{\circ}C$, all the samples estimated showed less than 7.0meq/kg in POV by 5 months. Consequently, sesamol and ether extracts were recognized as available antioxidant components on the HALA ethyl ester from perilla oil.

  • PDF

종실용 들깨의 기계수확에 적합한 최적 파종시기 설정 (An Establishment of the Optimum Sowing Time for a Machine Harvest of Perilla for Seed)

  • 곽강수;한원영;류종수;배진우;박진기;백인열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0-375
    • /
    • 2018
  • 본 연구는 근래에 건강 기능성효과가 널리 알려지면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 종실용 들깨의 기계화재배를 촉진하기 위하여 수확 때 종자탈립에 의한 손실률은 최소화하고 수량성을 높일 수 있는 최적 파종시기를 설정하고자 수행하였다. 1.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파종후 개화기까지 생육일수는 짧아져 6월 15일 파종대비 6월 30일, 7월 15일 및 8월 1일 파종에서 각각 14일, 26일 및 31~32일 짧아졌으며, 또한 경장과 경태는 짧아지거나 가늘어졌으며 마디수가 적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2. 유효분지수는 6월 15일 파종대비 6월 30일, 7월 15일 및 8월 1일 파종에서 각각 82%, 61% 및 56%로 7월 15일 파종부터 급격히 낮아져 수량성 확보에 불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최저화방군의 높이는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대체로 짧아지는데, 소담의 7월 15일과 8월 1일 점파구의 경우 15 cm 이하로 예취기를 이용한 기계수확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 파종기와 수량성 간에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는데, 총수량은 6월 15일, 6월 30일 및 7월 15일 파종에서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지만, 종실탈립률의 경우 7월 15일, 8월 1일(30.3%) > 6월 15일(15.3%) > 6월 30일(13.5%) 파종의 순이었는데, 탈립된 종실을 제외한 순수량은 6월 30일$${\geq_-}$$6월 15일 > 7월 15일 > 8월 1일 파종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품종 및 파종방법에 관계없이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이었다. 4. 들깨 종실의 단백질 함유율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대체로 증가하여 8월 1일 파종에서 가장 높았으며, 조지방 함유율의 경우 소담은 6월 15일과 7월 15일 파종에서, 들샘은 6월 30일과 7월 15일 파종에서 비교적 높았으며, 리놀렌산의 함량율은 8월 1일 파종에서 특이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5. 위의 결과, 종실용 들깨의 예취기를 이용한 기계수확을 위한 최적 파종시기는 6월 30일 경으로 이때 파종하면 수확 때 종실탈립에 의한 손실률은 최소화하면서 수량증대에 유리하여 기계수확에 가장 적합한 파종시기로 판단되었다.

들깨의 식이 섬유소 함량분석과 들깨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Quantitative Analysis of Dietary Fibers from Perilla frutescens Seeds and Antimutagenic Effect of Its Extracts)

  • 박동숙;이경임;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00-90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들깨의 불용성 및 수용성 식이 섬유소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들깨의 methanol 추출물, hexane 추출물, MSF 및 식이 섬유소를 추출하여 항돌연변이 효과를 관찰하였다. 들깨의 총 식이 섬유소의 함량은 신선물인 경우 17.2%였고 건조물인 경우 18.2%였으며 이 가운데 94%가 불용성식이 섬유소였다. 들깨의 용매 추출물 중에서 methanol 추출물과 MSF는 AFB$_{1}$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를 상당히 억제시켰으며 methanol 추출물과 MSF를 2.5mg/assay 첨가군에서 각각 91%와 87%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같은 농도에서 SDF의 첨가군은 억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hexane 추출물은 2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직접 돌연변이원인 MNNG를 돌연변이원으로 사용한 경우에 항돌연변이 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즉 SDF를 1.25mg/assay 첨가한 군은 17%, MSF 2.5mg/assay 첨가군은 27%의 저해율을 보였을 뿐 methanol과 hexane 추출물 첨가군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들깨의 용매 추출물은 간접 돌연변이원에 의한 돌연변이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또한 불용성 식이 섬유소의 경우 Trp-P-2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를 다소(13~18%)억제 하는것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