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utaneous coronary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6초

동적 심혈관 로드맵을 이용한 중재적 시술이 투시 시간 및 환자 피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ngle Vessel PCI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using DCR (Dynamic Coronary Road map) on Fluoroscopy Time and Patient Radiation)

  • 곽종길;서영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51-556
    • /
    • 2023
  • 관상동맥 질환을 평가하고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혈관조영장비는 방사선을 사용한다는 공통점이 존재하여 회사별 선량 저감화를 위한 기능 개발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단일 혈관 중재술 중 혈관조영장비에 탑재되어 있는 동적 관상동맥 로드맵 기능 유무의 차이에 따른 방사선학적 관계를 평가하여 로드맵을 이용한 피폭 절감 효과를 입증하고자 한다. 2021년 03월부터 2023년 02월까지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431명 중 후향적 데이터가 확보된 25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확보한 250명의 대상 중 단일 혈관 중재술 시 심혈관 로드맵 기능을 이용한 환자는 91명이었고, 로드맵을 이용하지 않고 시술한 환자는 159명이었다. 동적 심혈관 로드맵 기능을 이용한 군이 이용하지 않은 군보다 총 흡수선량 (34.57 uGy/m2 : 69.15 uGy/m2), 총 공기 중 선량 (688.47 mGy : 1640.4 mGy), 투시 조영 선량 (23.87 uGy/m2 : 49.91 uGy/m2), 투시 조영 시간 (723.55 s : 366.03 s), 촬영된 총 시리즈 수 (17 : 26)에서 더 낮은 값들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동적 심혈관 로드맵을 사용한 단일 혈관 관상동맥 중재술이 로드맵을 사용하지 않고 진행한 시술보다 더 적은 투시 시간 및 투시 선량 등을 나타냈다. 따라서 단일 혈관 관상동맥 중재술에서 는 심혈관 로드맵 기능사용이 시술자와 환자 모두에게 피폭 저감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심혈관 로드맵 사용에 대해 적극적으로 권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경피적 신동맥 혈관 성형술로 치료한 신혈관 고혈압증 1례 (A Case of Renovascular Hypertension Controlled by Percutaneous Transluminal Renal Angioplasty with Balloon Dilatation)

  • 박성우;정수호;전용선;전용훈;홍영진;이지은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2권1호
    • /
    • pp.105-110
    • /
    • 2008
  • 신성 고혈압은 소아기 이차성 고혈압의 흔한 원인이며, 그 중 신동맥 협착에 의한 신혈관성 고혈압은 치료 가능한 고혈압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신혈관성 고혈압 치료로 최근 경피적 신동맥 혈관 성형술은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각광 받고 있다. 저자들은 작은 직경을 가진 신동맥 분지 혈관 협착에 의한 신혈관성 고혈압 소아에서 관상동맥용으로 쓰이는 풍선 카테터를 이용하여 경피적 신동맥혈관 성형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경험을 하였으므로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약물방출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 후 스텐트 혈전증 발생 환자의 임상경과 (Clinical Outcomes of Stent Thrombosis after Drug-Eluting Coronary Stent Implantation)

  • 김인수;정명호;한재복;장영일;장성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880-892
    • /
    • 2013
  • 약물방출 스텐트 (drug-eluting stents, DES)는 일반금속 스텐트에 비하여 재협착을 현저하게 줄었지만, DES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한 스텐트 혈전증 (stent thrombosis, ST)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혈전증 유형의 정의는 Early ST ; (EST)은 30일 이내, Late ST ; (LST)은 31일 이상에서 1년 이내 그리고 Very late ST ; (VLST)은 1년 이상으로 분류 하였다. 스텐트 세대별 (시장 출시와 스텐트 디자인, Polymer 향상에 따른) ST발생빈도, 임상 양상 및 예후를 알아보았다. 2003년 6월부터 2013년 6월까지의 전남대학교병원 심혈관센터에서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 받은 10,273명 중 ST 발생은 134명 (1.30%) 이었다. 세대별 발생빈도는 1세대에서 81명 (0.79%)으로 높았으며, 세대별 ST 유형은 1세대에서는 VLST의 발생률이 높았고 (p=0.002), 2세대에서는 EST와 LST의 발생률이 높았지만 (p=0.025), 3세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78). ST로 인하여 사망한 14명은 EST 10명 (18.2%), LST 2명 (8.3%), VLST 2명 (3.6%)로서 EST에서 사망률이 높았다 (p=0.042). DES 시술 후 발생하는 ST는 1.3% 이였고, VLST는 1세대 스텐트에서 많았으며, 입원 중 사망률은 EST에서 높았다.

Surgical Repair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after Myocardial Infarction: A Single Center Experience during 22 Years

  • Park, Sung Jun;Kim, Joon Bum;Jung, Sung-Ho;Choo, Suk Jung;Chung, Cheol Hyun;Lee, Jae W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6호
    • /
    • pp.433-438
    • /
    • 2013
  • Background: Surgical repair of post-infarct ventricular septal defect (VSD)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challenging procedures having high surgical mortality.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e surgical repair of post-infarct VSD. Methods: From May 1991 to July 2012, 34 patients (mean age, $67.1{\pm}7.9$ years) underwent surgical repair of post-infarct VSD. A retrospective review of clinical and surgical data was performed. Results: VSD repair involved the infarct exclusion technique using a patch in all patients. For coronary revascularization, 12 patients (35.3%) underwent concomitan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3 patients (8.8%) underwent preoperative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nd 9 patients (26.5%) underwent both of these procedures. The early mortality rate was 20.6%. Six patients (17.6%) required reoperation due to residual shunt or newly developed VSD. During follow-up (median, 4.8 years; range, 0 to 18.4 years), late death occurred in nine patients. Overall, the 5-year and 10-year survival rates were $54.4%{\pm}8.8%$ and $44.3%{\pm}8.9%$, respectively. According to a Cox regression analysis, preoperative cardiogenic shock (p=0.069) and prolonged cardiopulmonary bypass time (p=0.008)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mortality. Conclusion: The early surgical outcome of post-infarct VSD was acceptable considering the high-risk nature of the disease. The long-term outcome, however, was still dismal, necessitating comprehensive optimal management through close follow-up.

The Characteristics of Risk Factors in Korean CAD Patients Comparing to American Counterpart and Its Implications to Prevention of CAD

  • Kim, Wan-Soo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20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the risk factors of coronary artery disease (CAD)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AD patients to determine the discriminant factor for each group, as well 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be reflected in the national concern of health.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48 Korean and 107 American CAD patients who underwent eith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o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By using t-test and $X^2$-test, risk factors were compared between the Koreans and Americans. To elucidate which risk factor was the most discriminant for each group,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All risk factors, except diastolic blood pressur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X^2$-tes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respect to the smoking rate between the female groups. Moreo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blood total cholesterol (TC) and triglyceride, and between the male groups, 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bloo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 Diabetes mellitus (DM) was the most discriminant factor for Korean patients while TC/HDL is the most discriminant for the Americans.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CAD risk factors were determined to be different between Koreans and Americans in this study. TC/HDL was a discriminant factor for Americans while DM was a discriminant factor for Koreans. This result implies that DM should primarily be given attention to prevent CAD in Korean adults.

관상동맥 우회술후 관상동맥 조영검사 소견 (Coronary Angiograph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최진호;박계현;전태국;이영탁;박표원;채헌;이종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182-187
    • /
    • 2002
  • 배경: 그간 관상동맥 우회수술후의 관상동맥 조영술 결과는 주로 우회도관의 개존률에 초점을 맞추어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수술후의 관상동맥 조영술 검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정보의 폭은 훨씬 넓으며, 이는 수술 전략 설정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1월부터 1999년 3월까지 관상동맥 우회수술을 시행받고 퇴원한 환자 448명중 1개월 이상 경과후 관상동맥 조영술 추적이 이루어진 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후 평균 10.6개월 경과시 관상동맥 조영술 검사가 시행되었고 검사 이유는 협심증의 잔존이나 재발이 54명, 심근관류검사나 초음파검사상의 이상이 13명, 단순한 추적목적이 6명이었다. 결과: 우회도관 개존률은 단순추적검사 환자들에서는 80.9%(내흉동맥 100%, 복재정맥 75.0%), 심근 허혈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환자들에서는 61.6%(내흉동맥 81.1%, 복재정맥 55.3%)였다. 50명(68.5%)의 환자에서 우회도관 조성 근위부의 관상동맥 내경협착이 20% 이상 진행한 곳이 한 군데 이상 나타났다. 수술 전 완전 폐쇄되지 않았던 201개의 관상동맥 분지중 95개(47.3%)에서 협착 정도가 20%이상 진행하였고 이중 64개(31.8%)는 완전 폐쇄로 진행하였다. 협착이 진행하는 빈도는 수술후 경과한 시간이나 수술전의 협착정도와는 연관이 없었고 우회도관이 폐쇄된 경우(36.3%)보다 개통되어 있는 상태(56.5%)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p<0.05). 내흉동맥과 복재정맥의 비교시 개존률(83.3% vs 56.6%) 뿐만 아니라 경피적 중재술이 필요한 경우 성공적으로 시행될 확률도 큰 차이를 보였다(100% vs 62%, p<0.05). 결론: 관상동맥 우회술 후 비교적 조기에 우회도관 조성 근위부의 관상동맥 협착이 진행하는 빈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난 만큼 복재정맥의 불량한 장기 개존률을 고려할 때 중등도 이하의 협착을 가진 관상동맥 분지의 우회로 조성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 관상동맥 우회수술시 좌전하행지 우회로의 중요성과 함께 내흉동맥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장 스텐트 시술과 의료사고 예방 (Cardiac Intracoronary Stenting vs CABG: Prevention of Medical Accident)

  • 김경례;박국양
    • 의료법학
    • /
    • 제18권2호
    • /
    • pp.163-194
    • /
    • 2017
  • 관상동맥 질환은 2017년 고령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에서 앞으로 더 많은 관심을 가질 것이다. 고령화가 될수록 고혈압, 당뇨 등 복합적인 질환이 합병되어 혈관상태도 상대적으로 더 나빠져 관상동맥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심혈관 질병은 심장외과와 심장내과와의 긴밀한 협진이 필요하다. 따라서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환자를 먼저 진료하게 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임상현장에서 객관적인 심장내과 의사의 치료방침에 대한 판단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심장내과의 비수술적 중재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무리한 스텐트 시술로 의료사고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관상동맥 3개혈관이 모두 막힌 삼중혈관이거나 석회화가 심해 혈관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가 문제이다. 또한 심장외과 의사가 없는 병원에서 무리하게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을 실시하다가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관상동맥이식술 등 외과적 대처가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최근 2년간 한국소비자원(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의료분쟁 조정결정 8사례를 분석한 결과, 심장 중재술을 시행한 병원 중 심장외과 의사가 상주한 곳은 2곳으로 확인됐다. 8사례 모두 심장내과 진료 후 풍선확장술 및 스텐트 삽입한 경우로 7명이 사망했고 이중 5명은 시술 당일에 사망했다. 8사례 중에 3중혈관 환자는 5건이고, 나머지도 석회화가 심하거나 완전폐쇄로 혈관상태가 좋지 않은 상태였다. 2017년 심장내과 스텐트 시술 건수 조사 보고에 의하면 3개 이하 약물 방출 스텐트 시술이 98%로 보고됐다. 2015년 스텐트 시술 건수가 38,922건으로 약800건(2%)은 스텐트가 4개 이상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무리한 스텐트 시술로 마지막 여명에 급사함으로써 신변정리 기회상실은 물론 여명단축에 따른 손해로서 '지도 설명의무' 책임을 물어 전 손해에 대한 배상을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최근 심평원 보험적용 스텐트 시술 개수 제한규제가 없어지면서 무리한 시술과 심장외과 의사 확충에 대한 문제가 있다. '다학제통합진료' 같은 병원차원의 해결방안은 물론 필수요원에 해당하는 심장외과를 공무원으로 확충하는 등 국가차원의 해결방안이 요구된다.

  • PDF

Resveratrol pretreatment alleviates NLRP3 inflammasome-mediated cardiomyocyte pyroptosis by targeting TLR4/MyD88/NF-κB signaling cascade in coronary microembolization-induced myocardial damage

  • Chang-Jun Luo;Tao Li;Hao-Liang Li;You Zhou;Lang Li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7권2호
    • /
    • pp.143-155
    • /
    • 2023
  •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nd acute coronary syndrome are both closely tied to the frequently occurring complication of coronary microembolization (CME). Resveratrol (RES) has been shown to have a substantial cardioprotective influence in a variety of cardiac diseases, though its function and potential mechanistic involvement in CME are still unclear. The forty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randomly: CME, CME + RES (25 mg/kg), CME + RES (50 mg/kg), and sham (10 rats per group). The CME model was developed. Echocardiography, levels of myocardial injury markers in the serum, and histopathology of the myocardium were used to assess the function of the cardiac muscle. For the detection of the signaling of TLR4/MyD88/NF-κB along with the expression of pyroptosis-related molecules, ELISA, qRT-PCR, immunofluorescence, and Western blotting were used, among other techniqu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myocardial injury and pyroptosis occurred in the myocardium following CME, with a decreased function of cardiac, increased levels of serum myocardial injury markers, increased area of microinfarct, as well as a rise in the expression levels of pyroptosis-related molecules. In addition to this, pretreatment with resveratrol reduced the severity of myocardial injury after CME by improving cardiac dysfunction, decreasing serum myocardial injury markers, decreasing microinfarct area, and decreasing cardiomyocyte pyroptosis, primarily by blocking the signaling of TLR4/MyD88/NF-κB and also reducing the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Resveratrol may be able to alleviate CME-induced myocardial pyroptosis and cardiac dysfunction by impeding the activation of NLRP3 inflammasome and the signaling pathway of TLR4/MyD88/NF-κB.

Repair of Acute Post Infarction Mitral Regurgitation with Papillary Muscle Reimplantation - A case report -

  • Park, Won-Kyoun;Kim, Joon-Bum;Choo, Suk-Ju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4호
    • /
    • pp.285-287
    • /
    • 2011
  • A 53-year-old man presenting with dyspnea and chest pain was diagnosed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secondary to occlusion of the left circumflex coronary artery. Urgent revascularization by percutaneous stenting was successfully performed. However, the post-echocardiography revealed a ruptured papillary muscle that was causing severe mitral regurgitation and aggravation of congestive heart failure. The patient subsequently underwent mitral valve repair with papillary muscle re-implantation. Postoperative echocardiography showed a competent mitral valve without residual stenosis or regurgitation. The patient wa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with an uneventful recovery and has been doing well on outpatient follow up.

Coating defects in polymer-coated drug-eluting stents

  • Bedair, Tarek M.;Cho, Youngjin;Park, Bang Ju;Joung, Yoon Ki;Han, Dong Keun
    • Biomaterials and Biomechanics in Bioengineering
    • /
    • 제1권3호
    • /
    • pp.131-150
    • /
    • 2014
  • Vascular stenting has a great attention as a treatment for coronary arteries diseases as compared with percutaneous balloon angioplasty. In-stent restenosis and thrombosis are side effects resulting from using bare metal stent (BMS). Employing platelet therapy allowed to reduce the rate of thrombosis, however, the rate of restenosis remains a major problem. In 2002, drug-eluting stents (DESs) were introduced as an effort to reduce the restenosis. The commercially available DESs continue to suffer from coating defects that might lead to a series of adverse effects. Most importantly, multiple concerns remain regarding the polymer coating integrity on metal surfaces or the relation of polymer irregularities to longterm adverse ev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