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ussion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5초

외상성 교합으로 인한 어린이의 치주질환 (PERIODONTAL DISEASE CAUSED BY TRAUMA FROM OCCLUSION IN A CHILD)

  • 최병재;고동현;김성오;이제호;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48-452
    • /
    • 2004
  • 외상성 교합은 교합력의 결과로서 치주조직에 가해지는 손상이다. 주된 증상은 치아의 동요도이고, 통증, 타진에 민감, 열에 민감한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교합력에 의해 치아가 이동을 할 수도 있다. 만성으로 진행시 치아의 과도한 교모가 나타나며 방사선학적으로 치근막 공간의 비후, 치조백선의 비후, 치조골의 방사선 투과성 치근흡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외상성 교합은 치주질환의 원인과 관련되어 있다. 증가된 치아동요도를 야기하며 외상성 교합 자체는 치은염과 치주낭을 발생시키지 않으나 국소적 치태와 염증이 존재하고 있는 하에서 골소실, 치주낭이 발생할 수 있다. 치은퇴축은 외상성 반월, 맥콜스 팽윤, 스틸만 균열의 형태로 나타난다. 본 증례는 하악 유견치 부위의 치주질환을 주소로 내원한 5세 남아로서 상하악 유견치의 조기 접촉에 의해 하악 좌우측 유견치의 중증도의 동요도, 교합마모, 치은 퇴축, 치조골 파괴의 증상이 나타났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연속 가압방식의 맥파 측정방법을 위한 시작점 검출 알고리즘 개발 (Novel Detection Algorithm of The Upstroke of Pulse Waveform for Continuously Varying Contact Pressure Method)

  • 배장한;전영주;김종열;김재욱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9권2호
    • /
    • pp.46-5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연속 가압방식으로 측정된 맥파 신호의 분석에 적합한 시작점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연속 가압방식은 가압의 크기를 조금씩 증가시키면서 맥파 신호를 측정하는 방식인데 이를 이용하면 가압크기에 대응하는 맥파 신호의 분해능이 크게 향상되기 때문에 현재 상용맥진기의 맥파 측정방식인 단계별 가압방식의 정확성과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시작점 검출을 위해서 고속 푸리에 변환을 이용한 주기계산, Center-to-edges 방법의 피크 검출, 기저선 보정, 접선 교점 방법에 의한 시작점 검출, 분석 구간 설정을 순차적으로 적용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3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의 정확도는 99.46%, 민감도는 99.51%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존 알고리즘보다 정확도 4.82%, 민감도 2.46%가 향상된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속 가압방식의 맥파 측정방법과 맥파 시작점 검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면 맥파 특징점의 정확한 검출은 물론 허실맥이나 부침맥 등의 맥상 판별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치료에 대한 반응이 없는 폐렴 (Unresolving Pneumonia)

  • 방도석;정인성;강기만;박범철;윤영걸;김재수;박열;이성훈;홍영철;고경태;박상민;나동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6호
    • /
    • pp.604-608
    • /
    • 2004
  • 외인성 지방성 폐렴은 흔한 질환은 아니지만 동물성, 식물성 및 광물성 지방 물질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발견된 예보다 훨씬 빈도가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자세한 병력 청취로 원인 물질에 대한 노출을 우선 확인하여 지방성 폐렴을 의심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전치 유도각의 인위적 증가에 의한 저작근과 하악 운동 양상의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FOR THE CHANGES OF THE MASTICATORY MUSCLES AND THE MANDIBULER MOVEMENT EFFECTED BY INTENTIONAL INCREASE OF ANTERIOR GUIDANCE ANGLE)

  • 이용식;최부병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45-257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changes of the mandibular movement and the masticatory muscular activities - anterior temporal and masseter muscle of both side - reflected by intentional increase of anterior guidance angie. For this study, 5 volunteers (3 males and 2 females with average age of 24.0) were selected. Each volunteer had Angle's classification I and did not have any missing tooth except third molar and any extensive restorations. Metallic guide plate was made at volunteer's working model fabricated by improved dental stone and cemented to the palatal surface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using resin cement(Panavia $21^{(R)}$) and then adjusted not to give any occlusal interferences at intercuspal position. The activity of masticatory muscles and the changes of mandibular movement were recorded by EMG and Sirognathograph in Biopak analysing system(Bioresearch Inc., Milwaukee, Wisconsin, USA). Measurement was done at before experiment, immediatley after placement, 1 week after placement, immediately after removal, and 1 week after remov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derate phonetic disturbance and mild headache were occured to 3 volunteers for 2 days after setting and 1 volunteer had positive reaction to percussion and slight midline diastema. But all of these clinical signs were diappeared 1 week after removal and the other volunteer did not have any special clinical sign. 2. In the EMG of the mandibular rest position, the mean value of anterior tempotal muscle was increased immediately after placement(p<0.01) and then decreased 1 week after placement(p<0.05) and increased 1 week after removal(p<0.05) but not recovered as before experiment. The mean value of masseter muscle was decreased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3. In the EMG during mandibular protrusive movement, all muscular activity was decreased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Reduced activity was not recovered 1 week after removal(p<0.03). 4. During the habitual opening, anteroposterior movement of mandible was decreased immediately after placement(p<0.05) and then increased 1 week after placement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Vertical movement was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during the experiment period(p>0.1). Lateral movement was decreased immediately after placement(p<0.05) and then increased 1 week after placement but not recovered as before exper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velocity of mandible was shown minor changes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5. During the habitual opening, anteroposterior movement of mandible was decreased 1 week after placement(p<0.05) and then increased immediately after removal and recovered 1 week after removal as before experiment. Vertical movement was not shown significant changes. Lateral displacement of mandible was increased continuously and recovered 1 week after removal. Opening velocity was temporarily increased immediately after removal but recovered and closing velocity was not shown significant changes. 6. During the right side chewing, anteroposterior movement of mandible was increased immediately after removal but recovered and vertical movement was not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Lateral displacement and velocity of mandible were not shown significant results. 7. During the left side chewing, the changes of mandibular movement pattern were not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 PDF

미완성된 근첨을 가진 영구치 치근 파절의 치유에 관한 증례 (TRAUMATIC ROOT FRACTURE IN YOUNG PERMANENT TEETH : A CASE REPORT)

  • 강선희;김대업;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76-580
    • /
    • 2003
  • 7세 남아가 맹출 중인 상악 영구 중절치의 외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아의 우측 중절치는 아탈구와 치근 파절을 보였고, 좌측 중절치는 함입성 탈구와 치근 파절을 보였다. 두 치아는 정복 후 선부자에 의해 고정하였다. 이후 주기적인 검진을 시행하였다. 4년이 지난 현재, 우측 중절치는 방사선 사진에서 파절편 사이에 방사선 투과성이 보이지 않고 정상적인 치조백선을 보여 경조직으로 치유되는 양상을 보였다. 좌측 중절치는 파절편이 분리되어있고 근관이 점차 폐쇄되는 소견을 보이고 있어 골과 결합조직의 개입에 의한 치유 양상을 보이고 있다. 임상 검사에서 정상적인 동요도와 타진 반응을 보였고, 전기치수검사에 양성 반응을 보였다. 외상을 받은 치아의 예후는 외상의 유형, 환자의 연령, 치근의 발육단계, 변위의 정도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증례는 개방근관을 가진 치아가 외상 후 우측 중절치는 석회화 조직으로 치유, 좌측 중절치는 골과 결합조직의 개입으로 치유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서로 다른 삽입로를 이용한 최소 삭제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의 임상 연구 (Modified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s utilizing tooth undercuts: a clinical case study)

  • 도레미;이근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06-113
    • /
    • 2011
  • 연구 목적: 전통적인 초기의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이 가능한 보존적이고 가역적인 치료를 추구했지만 유지력의 상실이 큰 문제가 되면서 임상적 성공률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여러 연구들 중, 자연 치아의 언더컷과 구조물의 각기 다른 삽입로를 이용하여 유지력을 얻는 3-piece형태의 변형된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이 제안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변형된 형태의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하여 수복 치료를 받은 환자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통하여 임상가들의 상실치 수복을 위한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한 개 혹은 그 이상의 치아가 상실되어 수복을 요하여 2007년부터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보철과에 내원하여 자연치아의 언더컷과 구조물의 각기 다른 삽입로를 이용하는 변형된 형태의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 수복 치료를 받은 23명의 환자중 주기적 검사가 가능한 2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임상 및 방사선 검사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및 결론: 자연치아의 언더컷과 구조물의 각기 다른 삽입로를 이용한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21명증례, 71 unit의 최대 25개월 (평균 7개월)간의 후향적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연치아의 언더컷과 구조물의 각기 다른 삽입로를 이용한 접착성 고정성 보철물은 단기간의 follow-up 에서 보철물의 탈락, 파절등의 기계적인 실패가일어나지 않았다. 2. 보철물 주변의 치주조직은 비교적 안정되었다. 3. 방사선 사진상 유의성있는 골흡수를 보이지 않았다.

Hypothermia Effect on Apoptotic Neuronal Death in Traumatic Brain Injury Model

  • Yoo, Do-Sung;Lee, Soon-Kyu;Huh, Pil-Woo;Han, Young-Min;Rha, Hyung-Kyun;Kim, Dal-So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8권3호
    • /
    • pp.215-220
    • /
    • 2005
  • Objective : Many researchers believe that the hypothermia shows neuro-protective effect on brain injury.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 of the hypothermic treatment, this study investigated its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cell death or survival related proteins such as p53, Bcl-2 and Bax in the rat traumatic brain injury[TBI] model. Methods : Twenty rats [Spraque Dawley, $200{\sim}250g$] were subjected to the brain injury of moderate severity [$2.4{\sim}2.6atm$] using the fluid percussion injury device and five rats were received only same surgery as controls. During 30minutes after the brain injury, the hypothermia group was maintained the body temperature around $34^{\circ}C$ while the control group were maintained that of $36^{\circ}C$. Five rats in each group were sacrificed 12h or 24h after brain injury and their brain sections was analyzed for physical damages by H-E stains and the extent of apoptosis by TUNEL assay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s. The tissue damage after TBI was mainly observed in the ipsilateral cortex and partly in the hippocampus. Results : Apoptosis was observed by TUNEL assay and the Bax protein was detected in both sample which harvested 12h and 24h after TBI. In the hypothermia treatment group, tissue damage and apoptosis were reduced in HE stains and TUNEL assay. In hypothermia treatment group rat shows more expression of the Bcl-2 protein and shows less expression of the Bax protein, at both 12h and 24h after TBI.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at the hypothermia treatment is an effective treatment after TBI, by reducing the apoptotic process.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hypothermia has a high therapeutic value for treating tissue damages after TBI.

말소리가 제한된 아동을 위한 말리듬을 이용한 난타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Nanta program using speech rhythm for children with limited speech sound production)

  • 박영혜;최성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67-76
    • /
    • 2021
  • 난타는 북과 같은 타악기를 이용한 "두드리기"라는 뜻으로 한국 전통 음악인 사물놀이의 리듬이다. 말소리 산출이 제한된 아이들을 위해 난타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되었다. 또한, 이 연구는 언어 리듬을 이용한 난타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 난타 음성 리듬 중재 프로그램은 말리듬을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난타 프로그램은 청각 자극, 다양한 소리와 박자, 리듬을 제공했으며, 리듬과 함께 호흡, 발성, 조음의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말소리 목록이 제한된 6명의 아이들이 이 연구에 참여했다. 아동들에게 소리와 박자를 탐색하고 소리와 박자를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였다. 또한, 리듬과 함께 단어를 모방하고 모방하는 단어에서 음절의 길이를 늘림으로써 다양한 말소리를 산출하도록 격려하였다. 매 회당 40분 동안 주 2회씩 총 15회의 세션이 실시되었다. 중재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치료 전후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와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 점수를 비교하였다. Wilcoxon rank test 결과, 중재 후 PRES에서 수용언어 점수(p=.027)와 표현언어 점수(p=.024) 및 수용어휘력(p=.028)과 표현어휘력 (p=.028)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난타 리듬 컨트롤 프로그램은 수용적이고 표현적인 어휘와 언어 발달에 상당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발견들은 리듬 컨트롤 프로그램이 제한된 음성 소리 생성을 가진 어린이들의 언어 발달과 어휘 향상에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싱잉볼 소리의 특성 및 임상적인 기전 (Acoustic Property and Clinical Mechanism of the Singing Bowl Sound)

  • 김성찬;홍금나;최민주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3-151
    • /
    • 2022
  • 배경: 싱잉볼은 그릇 모양의 타악기로 명상 및 치유 프로그램에 활용되고 있으나, 임상적 효과에 대한 기전이 명확하지 않다. 목적: 본 논문에서는 싱잉볼 소리의 독특한 음향학적인 특성을 개관하고, 싱잉볼의 효과를 유도하는 물리적인 기전에 대해 토의했다. 방법: 문헌을 고찰하여 연구하였다. 결과: 싱잉볼 소리는 인접한 다수의 피치의 소리가 포함되어 있어 맥놀이 현상이 발생한다. 싱잉볼 소리에서 느끼는 강하고 지속적인 소리의 울림은 맥놀이 현상의 결과이다. 싱잉볼 소리의 울림은 싱잉볼 악기 및 연주 방법에 좌우되며, 대체로 명상 상태에서 관찰되는 뇌파(세타파)와 유사한 리듬을 포함하며 명상 뇌파를 활성화하는 동조 현상을 유발한다. 싱잉볼 소리의 임상적 효과는 주로 싱잉볼 소리의 울림의 리듬과 뇌파의 동조 효과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 싱잉볼 소리의 임상적인 효과에 대한 기전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싱잉볼 소리의 울림에 대한 심리 및 생리적인 반응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지역사회기반 인지자극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주관적 기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munity-Based Cognitive Stimulation Program on Cognitive Fincion and Subject Memory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김미영;박우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67-7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기반 인지자극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주관적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경기도 소재 G시 D치매안심센터에서 2021년 4월부터 2021년 8월까지 3개월 이상 쉼터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용자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15명으로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은 3 개월 동안 주 3회 총 36회 인지자극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진행되었다. 인지자극프로그램은 지남력 강화, 인지훈련, 회상과 음악, 미술, 신체 놀이 등 다양한 활동으로 인지 기능을 자극하고, 사회기능 향상 목적으로 동용. 민요, 타악기, 국민체조, 춤, 게임, 전래놀이 등으로 구성되었다. 인지자극 프로그램 진행한 결과 인지기능은 인지자극프로그램 실시 전 평균이 26.33점에서 실시 후 평균이 28.46점으로 2.13점 증가 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p=0.000). 주관적 기억은 인지자극프로그램 실시 전 평균이 7.13점에서 실시 후 평균이 3.60점으로 3.53점 감소 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p=0.000). 이 결과를 통해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인지자극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다고 확인할 수 있다. 치매로 인한 비용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나 인지기능 저하는 노인의 삶의 질이 떨어지고 그로인한 다양한 부담을 가져온다. 앞으로 다양한 환경에 적용되는 인지자극프로그램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