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n career education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2초

과학 관련 진로 및 진로교육에 대한 초등학생과 교사의 인식 (Elementary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n Science-Related Career and Career Education)

  • 이현이;임희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1호
    • /
    • pp.50-6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과학과 관련된 진로에 대한 인식과 초등 교사의 과학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196명과 교사 100명이었다. 분석 결과, 28.1%의 학생이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였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취도인지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과학 관련 희망 비율이 높았다.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지 않는 경우 그 이유는 과학에 대해 관심이 없고 과학이 재미없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사회문화적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경우 42%만이 과학 관련 진로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진로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교사들은 과학 관련 진로교육이 크게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 주된 이유였다.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학생들의 부정적인 인식과 교사의 과학 관련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의 부족은 학생들의 과학 진로 선택 여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파악되며, 학교와 가정에서 이러한 요인들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Learners' Perception on Parents Academic Involvement on Career Matur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 소연희
    • 직업교육연구
    • /
    • 제30권4호
    • /
    • pp.203-220
    • /
    • 2011
  •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생 443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 및 진로성숙도들 간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 변인의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의 하위변인들 중 학습지도와 자녀교육지원이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들과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들 중 자기이해와 미래직업태도와 상대적으로 높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연구모형 적합도 검증결과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 적응을 완전히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모형이 적합하였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 간접적인 효과 분석결과 총 효과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직접적인 효과는 학교생활적응이 가장 높았으며, 간접적인 효과는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실제 학교현장에서 초등학생들에게 맞는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인사제도에 대한 구성원 인식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mployee's Perception of HR Practices 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ed Effect of Career Plateau)

  • 송민영;김승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53-464
    • /
    • 2019
  • 본 연구는 인사제도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내용적 경력정체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내용적 경력정체성을 독립변수인 교육훈련제도와 평가보상제도, 종속변수인 조직몰입과 이직의도간의 매개변수로 설정한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 모형을 실증하기 위해 보건의료업종의 근로자 442명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공분산구조분석 결과, 교육훈련제도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나, 평가보상제도에 대한 인식은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 분석 결과, 내용적 경력정체성은 교육훈련제도 인식도가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간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구성원들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를 관리하는데 있어 내용적 경력정체성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그 관리 방법으로서 조직 내 인사제도들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을 충분히 검토하여 제도 설계와 시행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직업관 및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The Occupational View and Perception on Career Education of Teachers and Parents in Elementary School)

  • 이세나;최미화;서강석
    • 아동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73-488
    • /
    • 2009
  • This research studied occupational view and perceptions of care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13 teachers and 523 parents. Data were analyzed by ${\chi}^2$ and t-test.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occupational view by sex, educational background, field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and experience of inservice teacher educ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s' occupational view by sex and ag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occupational view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perceptions of career education. Occupations providing stable livelihood were preferred by parents, by male teachers, teachers with masters' degrees, and by teachers whose education had included inservice training.

  • PDF

가상현실(VR) 활용 미래사회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Future Society Using Virtual Reality(VR))

  • 김대권;이동국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835-845
    • /
    • 2021
  • 가상현실(VR)은 실재감과 다양한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학습자에게 풍부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VR 활용 미래사회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3학년 29명을 대상으로 8 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진로인식의 변화와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VR 활용 미래사회 진로체험 프로그램은 자기 이해와 진로 태도에서의 진로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은 VR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높은 흥미도와 만족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교육에서 VR의 적극적 활용, 성취기준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콘텐츠 개발, VR 학습환경 구축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국내 건설사업관리(CM) 민간자격 인증자들의 경력개발에 대한 인식조사 (The Perception Research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 Non-Certified Qualification Acquisitors of Nat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 유회찬;안형준;김주형;김재준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31-234
    • /
    • 2009
  • Recently, the roles of the construction engineers become more important in all phases of construction project life cycle. Construction engineers' capabilities is one of the key factors to accomplish construction project objectives. After acquiring basic Knowledge and skills in colleges, the construction engineers have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abilities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provided by companies, associations, colleges, and so on. The current eduction system is not sufficient enough to assist engineers to develop their potentials. The construction professionals training system that help career development, career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is need to raise excellent engineers in a long term perspectiv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and the element in the career development support, I perfromed the perception about the career deveolopment by doning question investigation.

  • PDF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상경력개발시스템에 대한 인식과 지불의사 (Nurses' Perception and Willingness to Pay for Nursing Career Ladder System in General Hospital)

  • 이미준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1-71
    • /
    • 2019
  •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urses' perception on the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which was introduced to enhance the nursing capabilities in general hospital. Methods: Research data has been collected for approximately 30 days since March 28, 2017 from 171 nurses who had been involved in the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177 nurses who had not participated, and a total of 348. Finding: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nurses' perception on the cost effectiveness of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i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x, age, program experience, personal stage in the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and the individual's health condition. In addition, the nurses' willingness to pay for the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department and the needs for the system. With adjusted age, gender, position,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nursing competency was 8.71(95% Confidence Interval; 4.79 to 12.63) in the presence of system experience, but the perception on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was 4.34(95% Confidence Interval; -6.84 to -1.84).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expect that more hospitals introduce the clinical career ladder system and also use these study results as basic data for securing excellent nurses.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 진로태도, 직업가치관, 사회적지지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Career Attitude, Occupation Value,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강란혜;이미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941-95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mographic, occupation value, career attitude, and social support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Korean Survey on of the Career and occupation of Youth in 2009(N=3,499).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SPSS 17.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gender was much higher for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school years. The first year students' perception in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higher than the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The first year students' perception in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higher than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Seco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work value, career attitude, family support, and school support. Third,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areer decisiveness and family support was a strong factor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among all factors, the career decisiveness of career attitude was prov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study discuss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programs.

과학자 되어보기 활동 중심의 초등 저학년용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ce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주나희;권난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3호
    • /
    • pp.443-456
    • /
    • 2022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초등학교 저학년에서의 과학 진로교육의 가능성과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를 위하여 먼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이 가진 과학자와 과학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고,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과학자와 과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 과학자 되어보기 활동을 통하여 과학에 대한 흥미를 알아보고,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설문지와 면담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저학년용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자와 과학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초등 저학년용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에 영향을 준다. 셋째, 초등 저학년용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도, 참여도, 이해도 모두에 높은 점수를 주었다.

과학에 대한 인식 및 학교 밖 경험이 중학생의 과학 진로 희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cience and Out-of-School Experience on Science Career Aspiration)

  • 손지현;송영욱;최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3호
    • /
    • pp.447-461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과학성적, 과학에 대한 인식, 학교 밖 경험이 과학 진로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181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과학 진로 희망 여부에 따라 과학에 대한 인식과 학교 밖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고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도출한 8개의 변인과 성별, 과학 성적 등이 과학 관련 진로 희망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선호'와 '일상 도구 사용' 변인만이 과학 진로 희망 여부를 유의미하게 설명할 수 있는 설명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과학 진로를 희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선호를 높이고 일상생활에서 도구를 사용하는 경험을 늘리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