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model

검색결과 1,756건 처리시간 0.027초

우리나라 공공기관 행정감시자의 정보추구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formation Seeking Conducted by Surveillants Against the Public Sector Organizations in Korea)

  • 임진희;이준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9-276
    • /
    • 2009
  • 이 연구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행정감시자들이 국정감사와 정보공개 청구 등의 설명책임 메커니즘을 통해 공공정보를 추구하는 절차와 그 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기관에 대해 직업적으로 행정감시 활동을 수행하는 국회의원 보좌관,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언론 기획탐사보도팀의 전문리서처 등의 정보추구자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심층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근거이론 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여 행정감시자들의 공공정보 추구절차를 정의하였으며, 추구과정에 연관된 56개의 개념, 17개의 범주, 6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한 후 각 범주들이 추구과정에 미치는 영향의 범위에 따라 배경요인, 상황요인, 절차 상의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다뤄지지 않았던 행정감시자의 정보행동모형을 구성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공헌이 있으며, 행정감시자의 공공정보 추구과정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양상을 질적 자료를 통해 의미있는 개념을 범주화했다는 점에서 방법론적 의의가 있으며, 행정감시자 집단에게 공공정보 추구 전략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공기관에게 행정감시자들의 정보요청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요건의 기초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공헌이 있다.

한방의료기관평가에 대한 한방의료기관 근무자의 인지도 (A Study on Cognition of Oriental Medical Hospital Employees on the Oriental Medical Institution Assessment)

  • 전현숙;정상혁;유승흠;정우상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14-122
    • /
    • 2008
  • Objective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assessment of Oriental medical institutions under the Oriental Medical Institution Assessment System and thereupon, provide for some basic data and alternative measures for assessment of Oriental medical institutions. Methods: The researcher sampled 320 people employed by 26 Oriental medical institutions designated as model Oriental medical institutions subject to assessment in 2008 and 2009 and thereupon, used a structured and open-ended survey table for them to collect the data. The size of the final sample was n=302. Results: The Oriental medical institution staff were highly aware of the Oriental medical institution assessment (OMIA), After adjusting the other factors by multiple regression, the factors affecting such recognition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depending on age (those in their 30's), types of job (nurses and treatment assistants) and locations of hospital (GyeongSang-do). The staff expected the OMIA could helpful for improving facilities and system of hospitals, thus promoting satisfaction of patients. To do so, they felt it necessary to develop an assessment scale reflecting the special conditions besetting the Oriental medical institutions as well as the indices for improvement of Oriental medical service quality. Conclus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comparatively analyze Oriental medical institution staff's perception of the assessment system before and after its operation and thereby, suggest some ideal policy alternatives for assessment of the Oriental medical institutions. Furthermore, future studies are requested to research into Oriental medical institution staff's needs and consumers' needs as well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ental medical institutions and thereupon, suggest some alternatives for continued education,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tools, methods and policies.

  • PDF

분산주의와 초점주의의 신경기제 및 시각 통계표상과의 관계 (The neural mechanism of distributed and focused attention and their relation to statistical representation of visual displays)

  • 정상철;주성준
    • 인지과학
    • /
    • 제18권4호
    • /
    • pp.399-415
    • /
    • 2007
  • 통상적인 시각 장면은 다수의 물체를 포함한다. 하지만 시각시스템이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용량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시각 장면에 제시된 다수의 자극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는 시각 체계의 매우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선택적 주의와 통계표상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 서로 다른 두 방법이다. 이 둘 간의 신경 기제를 밝히기 위해 fMRI를 사용하여 하나의 원에 주의를 주었을 때(초점주의)와 평균 크기 판단을 위해 모든 원에 주의를 주었을 때(분산주의) 억제적 상호작용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각 영역 V4에서 무주의 조건에 비해 초점주의는 억제적 상호작용을 감소시킨 반면, 분산주의는 억제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 결과는 초점주의는 현재의 목적에 맞지 않는 자극을 여과하고 선택된 자극만을 편향되게 처리하지만, 분산주의는 다수의 자극에 대한 신경 반응을 각 자극에 대한 반응들의 평균값으로 수렴시켜 평균표상을 하게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검색 광고 마케팅 서비스 유형 분석과 서비스 품질 개선방안 (Analytical Study on Classification and Service Quality Improvement for Keyword & Blog Advertising Marketing Services)

  • 최윤호;이재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456-466
    • /
    • 2015
  • 본 연구는 검색포탈의 키워드 검색과 광고주 블로그를 융합적으로 활용하여 바이럴 마케팅을 실행하는 검색광고 마케팅 서비스를 연구의 대상으로 한다. 키워드 검색 결과의 상단에 블로그를 통해 간접광고를 노출하여 소비자를 유인하는 서비스를 운영 중인 회사에 대한 사례조사를 통해서 제공되고 있는 검색광고 마케팅 서비스의 거래 당사자들 간의 거래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서비스 유형을 분석하고, 서비스의 품질인식정도와 사용자 그룹간의 인식의 차이를 조사 및 분석하여 운영서비스의 개선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수행 방법으로는 검색광고 솔루션을 사용하는 광고 마케팅 커뮤니티의 게시물 분석을 수행하여 서비스 솔루션의 4가지의 유형과 거래관계를 표현하는 4가지 서비스 구조도 유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면접법을 사용한 사전 연구로 설계된 SERVQUAL 기반의 설문조사를 사용하여 광고주와 광고대행사 그룹간 서비스에 대한 품질인식 정도와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론화의 한계를 갖고 있는 검색광고 마케팅 서비스에 대한 사례기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RBF 신경망을 이용한 내용 기반 영상 검색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RBF Neural Network)

  • 이형구;유석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9권3호
    • /
    • pp.145-155
    • /
    • 2002
  • 내용 기반 영상 검색에서 대부분의 기존 방법들은 서로 다른 특징들 사이의 선형 관계를 가정하고 또 사용자가 직접 각 특징의 가중치를 설정하도록 한다 허나 특징들 사이의 관계가 선형적으로 가정된 하에서는 고차원의 개념과 인간의 지각 주관성을 충분히 표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에 기반한 영상 검색 모델이 제안된다. 이는 RBFN을 이용한 내용 기반 영상 검색 기법과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의 접근 방법을 기반으로 구축되었다. RBFN을 이용하여 특징들 사이의 비선형적 관계를 추출해낼 수 있고 사용자가 처음에 질의 영상을 선택하고 관련성 피드백을 통하여 점차적으로 목표 영상을 찾아나가도록 함으로써 영상의 비교를 더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실험은 145개의 클래스로 구분되며 1,015개의 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타베이스를 사용하여 재생과 정도를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의 재생과 정도가 각각 93.45%과 80.61%로서, 기존의 선형 결합 방법이나 순위 기반 방법 그리고 역전파 알고리즘에 기반한 방법보다 더 뛰어난 검색 성능을 지님을 보여준다.

판매원 브랜드 동일시가 개념적 유창성, 서비스 만족도,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esperson Brand Identification on Conceptual Fluency, Satisfaction, and Brand Evaluation)

  • 최순화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75-82
    • /
    • 2018
  • Purpose - As the role of salespersons in retail stores has expanded from selling products to sharing brand experiences with customers,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salesperson-brand relationships has grow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salespersons' brand identification on conceptual fluency and customers' service and brand evaluations. It was supposed that salespersons' brand identification is affected by brand knowledge, which is a core dimension of internal brand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author developed a structural model in which salespersons' brand knowledge influences brand identification, hence customers' perception of salesperson-brand image congruence. And it is hypothesized that salesperson-brand image congruence influences conceptual fluency which affects customers' satisfaction and brand evalu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five department stores in Seoul. Results - First, salespersons' brand knowledg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identification. The more a salesperson knows about the affiliated brand, the higher her level of brand identification. Second, salespersons' brand identification influenced salesperson-brand image congruence. Third, salesperson-brand image congru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conceptual fluency. Customers who perceive salesperson-brand image congruent are more likely to process information easily. Finally, conceptual fluency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store loyalty and brand value evaluation.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y importance of salesperson's brand identification on customers' service and brand evaluations. To enhance salespersons' brand identification, retailers shoul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ternal branding and communication, especially by sharing brand vision, values, and identity with employees at customer contact points. Also, as brand conceptual fluency is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customer responses, retailers need to deliver consistent messages through various components of store environments, including salespersons' attitudes, appearances, and manners, as well as physical store design. With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salesperson-brand relationship and brand conceptual fluency, retailers will be able to create more effective brand strategies to enhance their performances. Future studies should consider data from various retail types, such as discount stores, to generalize the findings.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선택과정에서 전자적 구전의 효과 (The Effects of E-WOM in Selecting the Mobile Application)

  • 이국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80-91
    • /
    • 2017
  • 온라인 소비자들의 구매의사결정에 전자적 구전의 효과는 상당하다 볼 수 있다. 실제로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온라인 리뷰를 통한 제품정보의 획득이 구매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기도 하였다. 온라인 구전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인 검토를 통해 온라인 리뷰의 유용성의 결정요인과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모바일 앱 수용과정의 영향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모바일 앱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특성들을 선행연구로부터 도출하였으며, 온라인 리뷰의 유용성과 성과에 대한 기대, 그리고 정보원 신뢰성이 리뷰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모바일 앱을 구매(무료 또는 유료)한 경험이 있는 228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 PLS(Partial Least Square) 기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모바일 앱에 대한 사용자 리뷰의 신뢰성과 충분성, 도움정도 그리고 설득력이 리뷰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정보원 신뢰성 역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운전자 판독능력을 고려한 VMS 메시지 설계 방법론 개발 및 적용 (Method for Designing VMS Messages Based on Drivers' Legibility Performance)

  • 김성민;오철;장명순;김태형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99-109
    • /
    • 2007
  • VMS는 교통상황과 사고발생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ITS의 중요 구성요소 중의 하나이다. VMS 메시지는 운전자가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인간공학적 요소를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 실험을 통하여 VMS 메시지에 대한 운전자의 판독능력을 분석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기법을 이용하여 설명변수로 정보량, 정보제공시간, 연령, 성별을 선정하고 종속변수인 운전자 인식률과의 관계를 모형화 하였다. 개발한 모형을 통해 산출되는 운전자 정보인식확률은 운전자의 판독성을 고려한 VMS 메시지 설계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인간공학적 관점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VMS 메시지를 설계할 수 있는 통계적 모형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VMS 메시지 현시와 표출시간을 설계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 상점에 대한 여성고객의 신뢰와 서비스 품질$\cdot$고객 충성도 간의 관계 (Female Customers' Trust on Internet Stores and its Relationships with Service Quality and Loyalty)

  • 민동권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4권2호
    • /
    • pp.293-317
    • /
    • 2005
  • Female customers form a major customer group for Internet shopping and their trust on Internet stores seems to b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ir transactions. This paper focuses on female customers' trust on Internet stores, hypothesizing that online service qual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rust and that trust, in turn, together with service qu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loyalty. We investigate trust from three dimensions(benevolence, integrity, and ability) and at the same time, unlike existing research, treat service quality to have five dimensions (in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empathy) as known in SERVQUAL(Parasuraman et al., 1988). Survey data is obtained from the female college student sample. Our research model is justified in terms of construct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and goodness of fit. Research hypotheses are tested using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surance and empathy 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have significant impacts on benevolence/integrity dimension of trust. Second, out of the five service quality dimensions, only assur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ability dimension of trust. Third, assurance dimension of service quality and ability dimension of trust are positively related with customer loyalty.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female customers' loyalty are found to be assurance(service quality) and ability(trust). The significance of assurance is in line with findings from existing research. But its relationship with the trust dimensions is uncovered in this research, and the only dimension that impacts on ability is assurance. We find that female customers build trust about internet stores based on their ability rather than on their benevolence/integrity and that the female customers' perception on the internet stores' ability can be improved by higher service quality from the aspect of assurance. Importantly enough, these findings offer practical guidelines to Internet stores to boost female customers' loyalty.

  • PDF

주부의 여가시간과 생활의 질 인식에 관한 연구 - 교육기 자녀를 가진 비취업 주부를 중심으로 (Wives Leisure Time and the Perceive Quality of Life)

  • 한경미;황덕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8권1호
    • /
    • pp.69-82
    • /
    • 1990
  • The purposes of this are to figure out the amounts of leisure time of full-time homemakers and to find out leisure time factors contributed to raise the quality of life. The major findings are the followings: 1) Full-time homemakers spend 353 minutes(5.9 hours) on the average per day on the leisure. Time for active leisure(creative activities, sports activities, spectator events, going to the party, and so on) is 70 minutes, while that for passive leisure(watching TV. listening to the radio, reading newspapers. magazines. Books, chating, relaxing, card playing) is 283 minutes(4.7 hours). The passive leisure is the main type of spending leisure time. 2) The total leisure time of wives is significantly related to SES factors. The higher the wives age and education, the family income, and the age of the latest child, the more the wives total leisure time. But the more the family numbers, and the child numbers, the lower the leisure time. Active leisure time is highly rela ed to family income, while passive leisure time is considerably family composition. 3) The wives are mostly satisfied with their lives. The wives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life is related to wives's education, house type, and family income. 4) The wives total leisure time is not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tive leisure time and the quality of life, while a negative relationship is between passive leisure time and the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life. 5) In analysis of causal model, it appears that family income and active leisure time of wives directly affect the perceived quality of life. The more the family income and active leisure time,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it is implicated for wives to take and active attitude and to reduce, if possible, passive leisure time and to increase active leisure ti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