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about career related to scienc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과학 관련 진로 선택 과정의 구조 방정식 모형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he Process of Science Related Career Choice)

  • 윤진;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17-530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 요인들 사이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여, 학생들의 과학진로 선택과정을 잘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을 찾는 것이다. 요인 분석을 통하여 과학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요인으로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 과학 학습에 대한 선호, 과학 관련 활동에의 참여 등 세 요인을 선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공변량 구조분석이 가능하도록 과학관련 진로 선택 요인을 알기 위한 설문지를 문헌연구와 예비검사를 통해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등 전체 947명으로, 학년별 남녀별 학생 수는 거의 같게 구성하였다. 과학관련 진로 선택의 주요 요인들 사이의 인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한 공변량 구조 분석의 결과, 이론 모형을 수정하여 자료와 잘 맞는 4가지 모형을 얻었다. 네 수정모형 모두에서,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은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이었고,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와 과학 관련 활동 참여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적합도 지수가 가장 좋은 모형에 의하면,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대하여,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은 0.82의 직접 효과와 0.21의 간접 효과를 합한 1.03의 전체효과를 주고,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는 과학 관련 활동 참여에 영향을 주면서 0.65의 간접 효과를 주고, 과학 관련 활동 참여는 과학 관련 진로 인식에 영향을 주면서 0.79의 간접 효과를 주었다. 학교의 과학 교육에 대한 시사점으로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 관련 진로를 선택하게 하려면, 과학관련 진로인식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효과를 줄 수 있으며, 다음으로는 다양한 관학관련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과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과학관련 진로선택 과정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서는, 과학관련 진로 선택 요인들을 더욱 포괄하는 모형의 구축이 필요하여, 연구대상을 과학고 학생들이나, 과학기술계 대학생들로 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다. 과학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고려한 과학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투입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과학 관련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the Scienc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Choice)

  • 박효정;신영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2호
    • /
    • pp.380-400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application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the science of the elementary school on the career choice. For this study, a total of 32 lessons (4 units) utiliz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he science curriculum were developed. The study subjects were 128 students from Y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ncheon. A test with regard to the science related career choice and the science related career choice factors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lessons. For more detailed analysis,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f female and male students; students who hope and do not hope career in science-related fields. As a result of the performance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it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ce related career choice'. And, it also showed all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cience related major/department, education lecture selection'.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 students who do not wish science related jobs in the future also changed their mind on to the science. In addition, all the subcategories of the 'preference for science learning' area such as 'preference for science subject', 'preference for experiment', 'recognition of science subject availability', 'recognition of the impact of teacher'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The 'perception about career related to science'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whole.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whole in 'participation in science related activities'.

과학 진로와 관련된 초중등 학생들의 인식 조사 (A Survey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Views in Relation to a Career in Science)

  • 윤진;박승재;명전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75-690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과학진로교육 프로그램 및 자료를 개발하기 위한 첫 단계의 연구로,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초, 중, 고 학생들의 생각을 조사하는 것이다. 검사도구는 두 차례의 예비조사를 거쳐 연구자가 개발하였고, 연구대상은 지역 규모에 따른 계층별 표집을 한 초등학생 1036명, 중학생 1137명, 고등학생 1435명, 총 3608명이다. 과학에 대한 이미지, 과학선호도, 과학학습선호도, 과학성적에 대한 인식, 본인의 진로 희망, 과학 직업에 대한 희망 정도, 과학 진로에 대한 인식, 과학 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 요인, 과거 및 현재의 과학 관련 진로 희망 여부 및 그 이유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이미지는 '실험활동으로서의 과학'을 가장 많이 지니고 있었고, 과학선호도와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도는 과학성적에 대한 인식보다 긍정적이었다.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의 비율은 21%였으며, 중학생의 경우가 특히 낮게 나타났다. 과학 진로를 선택할 때의 좋은 점으로는 '나라 발전에 도움되므로',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으므로', 나쁜 점에 대해서는 '위험하므로', '공부를 많이 해야 하므로' 등을 많이 들었다. 학생들이 과학 관련 진로를 선택하는 이유는 '과학 및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부터 과학진로교육의 기본적 방향은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도와 흥미를 높이는 것을 바탕으로 과학직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미래 사회에서의 과학관련 직업 전망을 제시해 줄 수 있어야 하며, 대상 학생의 발달 단계와 특성에 맞는 과학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이 더욱 중요하다.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 (Factors of Students' Career Choice Related to Science)

  • 윤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906-921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희망을 조사하여 학년별, 성별 및 과학 관련 분야별로 그 비율을 파악한 다음, 요인분석으로 과학 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 요인들을 규명하여 이들 요인들에 대한 응답의 집단별 차이를 비교하고 요인들간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하여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의 학년별 변화 과정과 성별 차이를 보고자 하는 것이다. 요인 분석을 통하여 과학 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 요인으로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 과학 관련 활동에의 참여, 과학 학습에 대한 선호 등 세 요인을 선정하였는데 이들은 각각 3, 4개의 하위요인들을 가졌다. 이들 세 요인들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일원 변량 분석으로 진로 희망의 과학 관련 유무와 학년 및 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고, 이들 요인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등 전체 947명인데, 학년별, 남녀별, 비율이 거의 같도록 구성되었다. 문헌연구 및 예비검사를 통하여 개발한 지필형 설문지를 사용하였는데, 이 설문지는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희망과 배경 자료 수집을 위한 부분과,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선택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대상 전체 학생 중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의 비율은 26%로 높지 않았으며, 학년별 비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남학생의 과학 관련 진로 희망 비율이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p < 0.001). 과학 관련 진로 희망을 가진 학생 239명의 구체적인 과학 관련 희망 분야를 조사한 결과, 정보전산 과학자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의사, 순수과학자, 그리고 공학자임을 볼 수가 있었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순수과학자를 희망하는 비율은 줄어들었다. 과학 관련 진로 선택의 세 가지 주요 요인을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 과학 학습에 대한 선호, 과학 관련 활동 참여 등으로 선정하였을 때, 이들 요인들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 및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성은 학년별, 성별로 차이가 있었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 관련 진로 희망을 갖게 하려면,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고, 다양한 과학 관련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갖도록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받을 수 있다. 학년별로 성별로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에서 차이가 나는 점들을 파악한 결과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선택을 도울 수 있는 과학 관련 진로 교육의 자료를 구성할 것이 요청된다. 더 나아가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서 나타난 남녀 학생들 간의 차이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초중고 각 단계별로 바람직한 과학 관련 진로교육의 자료를 구성하고 실제로 학생들에게 투입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실버케어 전문가' 미래직업 연계형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래지향 시간관, 진로인식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lver Care Expert' Future Career-related STEAM Program for the Elementary Students' Future Time Perspective, Career Awareness and Scientific Attitudes)

  • 유미현;최정진;박문숙;채수진;김보라;손미현;임은경;유화수;서종원;김주미;김수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1호
    • /
    • pp.111-134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실버케어 전문가'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교에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초등학생 110명이 참여하였다. 54명은 실험 집단으로, 56명은 비교집단으로 배치하였으며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미래지향 시간관, 진로인식,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버케어 전문가'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미래지향 시간관 전체 점수와 2개 하위 영역 모두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둘째, '실버케어 전문가'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진로인식 전체 점수와 4개 하위영역 점수가 비교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셋째, '실버케어 전문가'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과학적 태도 전체 점수와 7개 하위영역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넷째, '실버케어 전문가' STEAM 프로그램에 대한 실험집단 학생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나는 과학기술 분야와 관련된 직업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라는 항목에서 가장 높은 긍정적 인식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 적용한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래지향 시간관, 진로인식,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방문건강관리사업 영양사의 나트륨 관련 인식도, 식태도, 저감화 교육 요구도 (Sodium Related Recognition, Dietary Attitude and Education Needs of Dietitians Working at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 모윤정;김숙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58-567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cognition, dietary attitude and education needs for reducing sodium intakes of dietitian at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CHVHS). Methods: The subjects were 75 dietitian at CHVHS. We investigated several variables (recognition, dietary attitude, education needs for reducing sodium intakes) and determined sodium intakes level of subjects as 'low', 'middle' and 'high' by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25 (DFQ 25). Also, we assessed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dietary attitude, sodium intake level and education needs by dietitian career period (under 3 yrs vs. over 3 yrs) at CHVHS. Results: In recognition related reducing sodium intake, they showed 'checking a sodium content in nutrition labeling' score 2.5/4.0 and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sodium and salt' score 3.1/4.0.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between under 3yrs' group and over 3yrs' group. In dietary attitude related reducing sodium intake, they showed 'palatability for salty taste' score 0.8/1.0, 'attitude in related soups' 0.7/1.0, 'attitude in related using natural spice' 0.6/1.0. There was a difference in 'attitude in related soups' between under 3yrs' group and over 3yrs' group (0.6 vs. 0.7). In sodium intake level by DFQ 25, they showed 'low group' 41.3%, 'middle group' 41.3% and 'high group' 17.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sodium intake level by the career. In education needs related reducing sodium intakes, there were 'teaching experience' 93.3%, 'have a difficulty in teaching about reducing sodium intakes' 86.6%, and 'necessity of education for CHVHS dietitians' 100.0%. 'Needed education contents for CHVHS dietitians' were ranked as 'cooking way to reduce sodium intake' 58.7%, 'relation between hypertension and sodium' 17.3%, 'composing way to reduce sodium intake' 17.3%. There was a difference in needed education contents 'relationship between hypertension and sodium' (33.3% vs. 2.6%) and 'The cooking way to reduce sodium intake' (38.9% vs. 76.9%) by the career.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a capacity training program for reducing sodium intake may be needed for dietitians at CHVHS to improve health of the community elderly. For effective training program related reducing sodium intake for dietitians at CHVHS, it may be necessary to consider the career period as dietitians at CHVHS.

언어네트워크분석에 기초한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the Purpose of Science Learning based o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 박경진;정덕호;하민수;이준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71-581
    • /
    • 2014
  • 이 연구는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일반화가 가능한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례층화표집 방식을 통해 전국의 160개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교사와 학생에게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개방형 설문 결과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은 과학학습의 목적으로 인지적 영역과 관련된 내재적 가치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지만 학생들은 개인적 유용성 영역과 관련된 외재적 가치를 보다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의 교직경력에 따라 다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초임교사들은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를 함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경력교사들은 과학지식 이해의 인지적 영역을 주로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선택계열에 따라서도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즉, 인문계열 학생들은 과학을 배운다면 일상생활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자연계열 학생들은 과학학습의 목적이 무엇보다도 진로선택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아동병동 간호사의 경력에 따른 아동 통증지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Related to Children's Pain of pediatric Nurses According to their Career)

  • 최선일;최명애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7권1호
    • /
    • pp.69-87
    • /
    • 2005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diatric nurses's knowledge related to children's pain and pediatric nurses' career including educational experience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of their knowledge according to their career. Method : Subjects of this study was 115 pediatric nurses of one university hospital who understood purpose of this study and accep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Subjects responded questionnaire by self report. The data were gathered for 7 days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20 to October '2:7, 2003. The pediatric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survey regarding pain developed by Manworren(2001) was used to identify the knowledge related to children's pain of pediatric nurses. Nurses' career consisted of level of education, presently working ward, duration of experience at clinic, pediatric clinic and presently working ward and educational experience related to children's pain during undergraduate courses, ward orient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Educational experience regarding children's pain was measured by whether they had education related to children's pain during undergraduate courses, ward orient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or not and their perception on the contents of education was measured by 5 point Likert type scale. SPSS Window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Scores of the knowledge regarding children's pain and career including educational experience of pediatric nurses were presented 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Mean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responded by the subjects was presented under the category of introduction, assessment,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children's pain. The difference of scores of the knowledge regarding children's pain according to nurses' career was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Tukey as a post hoc.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ccepted at the level of p<.05. Result : Pediatric nurses had deficient knowledge related to children's pain on the whole and did not trust pain complaint and underestimated the pain. They were short of concrete practical knowledge about pain assessment and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children's pain. They were excessively concerned with side effect and addiction of analgesic drugs and had a negative view point on nonpharmacological pain intervention. About 50% of the subjects received education regarding children's pain while their undergraduate courses. The number of nurses who received education regarding children's pain while their undergraduate courses was found to be greater among the recently graduated nurses. In ward orient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only less than 10% of the nurses received education regarding children's pain. Nurses perceived their experienced educational content deficient; experienced educational content consisted of pain introduction, assessment and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children's pain while their undergraduate course, ward orient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knowledge regarding children's pain of pediatric nurses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duration of experience at clinic, pediatric clinic and presently working ward. Scores of the knowledge regarding children's pain of nurses at neonatal ward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nurses at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Scores of the knowledge regarding children's pain of pediatric nurses who received education during their undergraduate course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who did not receive it during their undergraduate courses. Also scores of the knowledge regarding children's pain of pediatric nurses who received one kind of educational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who had no educational experience. Conclusion : Pediatric nurses had deficient knowledge of children's pain and underestimated the pain of children. Also they were short of concrete practical knowledge on pai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s pain.

  • PDF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Images of Engineers

  • Park, Kyungsuk;Lee, Hyony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75-384
    • /
    • 2014
  • The number of students choosing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related careers are declining. Thus it became a worldwide challenge in the $21^{st}$ century. As public images of the engineers are unfavorable and inaccurate, misconceptions and stereotypes about engineers are prevai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mental and pictorial images of engineers and the nature of engineering work. This study involved 512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Boys: 287 and Girls: 225) from four elementary schools at one of metropolitans in South Korea. The Draw An Engineer-Korean version (DAE-K) was developed based on Draw an Engineer (DAE) and Draw a Scientist (DAS), and Song and Kim (1999)'s instruments. A pilot-tested was conducted with 33 elementary students prior to the main study. The students were asked to answer how they think the engineers would be, to draw an engineer at work, and to write the enginee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job description. Engineers were perceived as a person fixing, building, manufacturing, working outdoors in labors' clothes such as a robe. Engineers were shown with building tools, robots, airplanes, machines, conveyor belt, etc. Moreover, compared to the scientists, engineers were perceived as less intelligent, less imaginative, and less accur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a lack of accurate images of engineers. Students' current perceived images of engineers could help educators find the baselines for the future engineer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addi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ngineering education in terms of gender issues, STEM career choice, and even cultural diversity.

과학자의 실험 목적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bout the Purpose of Scientists' Experiments)

  • 김지혜;신영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248-1258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자의 실험 목적에 대한 응답을 통하여 인식의 정도를 확인 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G시 한 초등학교의 초등학생 193명(남학생 96명, 여학생9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응답을 성별, 학업성취도별, 과학관련 직업 희망여부별로 그 경향성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습자 특성이 과학자의 실험 목적에 대한 인식과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생들은 과학자의 실험 목적에 대하여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기 위해서'라는 내적가치 중 인지적 영역과 관련된 항목에 34.2%, '생활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라는 외적 가치의 사회적 영역에 대한 항목에 26.9%의 응답을 보였다. 이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과학자들의 실험 목적을 사실의 획득이나 사회적으로 도움이 되기 위해서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응답의 분포를 성별로 살펴보면, 여학생이 사회적 유용성 영역에 관한 인식이 높았으며 남학생이 논리 객관적 요소에 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응답의 분포를 학업성취도별로 살펴보면, 과학자의 실험 목적에 대하여 상위권 학생이 사회적 유용성 영역에 관한 인식이 높았으며, 중 하위권 학생들은 인지적 영역에 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과학관련 직업을 희망하는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과학실험의 목적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과학 관련 직업을 희망하는 학생의 인식이 더욱 다양하며, 그렇지 않은 학생은 인지적 영역에 대한 응답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