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ncil

검색결과 475건 처리시간 0.026초

적외선 사진술을 이용한 볼펜과 연필의 선후 관계 분석 -문서감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n Sequence of Ball-pen and Pencil by using Digital Infrared Photography -with Emphasis on the Documents Authentication-)

  • 김유진;윤성빈;하동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481-488
    • /
    • 2011
  • 인간은 살아가면서 필요에 의해 많은 문서를 작성한다. 일반적으로 문서란 쌍방 간의 약속인 동시에 거래의 신용에 대한 법률적 기능을 가진다. 문서작성은 양자 간의 동의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문서작성에 대한 투명성을 확보할 때 문서의 진성 성립이 이루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문서작성 과정에 대한 선후관계 분석은 문서감정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워진 연필과 남아 있는 볼펜과의 선후관계를 밝혀 보험가입서 작성의 상호동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연필의 탄소성분이 볼펜 하단에 존재하는가를 적외선사진을 통해 분석하고 있다. 볼펜 하단에 연필이 있으면 적외선을 흡수하여 진한 농도로 기록되며, 볼펜 상단에 연필을 작성한 것이라면 이미 연필 성분이 많이 지워졌기 때문에 적외선 사진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게 된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한 적외선 촬영 시스템을 사용하기에 규모가 작은 사설감정소 등에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Pencil Beam 알고리즘 기반의 상용 치료계획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선 회전 치료 계획의 구현 및 정확도 평가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Electron Arc Plan on a Commercial Treatment Planning System with a Pencil Beam Algorithm)

  • 강세권;박소아;황태진;정광호;이미연;김경주;오도훈;배훈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1권3호
    • /
    • pp.304-310
    • /
    • 2010
  • 현재 이용되고 있는 상용 치료 계획시스템은 대부분의 치료용 선형가속기가 제공하는 전자선 회전 방식의 치료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있으며, 이것은 전자선 회전 치료가 널리 이용되지 못하는 한 가지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Varian 21-EX에 대해, pencil beam 기반의 Pinnacle3 (ver. 7.4f)를 이용한 전자선 회전 치료를 위한 커미셔닝을 한 후, 치료 계획을 세웠으며, 그 정확도를 평가해 보았다. 회전 빔은 폭이 일정한 조사빔을 규칙적으로 반복해서 구현하였으며, 필름과 점 선량을 측정하였다. 치료계획 시스템의 모델링 단계에서, 측정된 깊이 선량분포는 모델링의 계산과 1% 내에서 일치하였으나, 가로 선량분포의 경우에는 모델링 계산이 측정보다 작아서, 50% 선량값을 기준으로 할 때, 6 MeV는 distance-to-agreement (DTA) 값이 5.1 mm, 12 MeV의 경우에는 6.7 mm이었다. 인체모형 팬텀을 대상으로한 점 선량 및 필름 측정의 경우, 계산과 측정은 10%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Pencil beam 기반의 전자선 회전 치료 계획은 정량적인 기준으로 삼기에는 부족해서 선량 분포에 대한 정성적인 참고에만 머물러야 하며, 환자 치료 전에 측정을 통해 선량 확인이 필요하다.

Texture-based Hatching for Color Image and Video

  • Yang, Hee-Kyung;Min, Kyung-Ha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5권4호
    • /
    • pp.763-781
    • /
    • 2011
  • We present a texture-based hatching technique for color images and video. Whereas existing approaches produce monochrome hatching effects in considering of triangular mesh models by applying strokes of uniform size, our scheme produces color hatching effects from photographs and video using strokes with a range of sizes. We use a Delaunay triangulation to create a mesh of triangles with sizes that reflect the structure of an input image. At each vertex of this triangulation, the flow of the image is analyzed and a hatching texture is then created with the same alignment, based on real pencil strokes. This texture is given a modified version of a color sampled from the image, and then it is used to fill all the triangles adjoining the vertex. The three hatching textures that accumulate in each triangle are averaged and the result of this process across all the triangles forms the output image. We can also add a paper texture effect and enhance feature lines in the image. Our algorithm can also be applied to video. The results are visually pleasing hatching effects similar to those seen in color pencil drawings and oil paintings.

온라인 창의성 교육에 있어 학습 환경과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에 관한 실증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Nature of Educational Program on the Outcome of Creativity Training)

  • 조남재;하주현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35-14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puter-based creativity training. Four group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otaling 151 were used as experimental subjects. Two dimensions of treatment were designed. One treatment dimension is the use of computer medium in education: computer based vs. paper-pencil setting of education. The second treatment dimension is the method of creativity training: technique-oriented training program vs. factor-oriented training program. Both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administered to all participated students. The tests were composed of a Creative Figural Test and a Creative Product Test. After the pretest 8 sessions of creative training were delivered as intended in the design of the experiment. The Dost-test was arranged a week after the completion of the training ses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include: First, all the 4 groups showed certain amount of improvements in their scores of Creative Figural Test, while no improvements was observed in the creative product test score. Second, the technique-oriented creativity trai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factor-oriented under the context of computer-based education, and the factor-oriented training was more effective in the paper-pencil setting. Th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pedagogical approaches should be employed for computer-based training as compared to the paper-pencil education.

Bi-material Bolus for Minimizing the Non-uniformity of Proton Dose Distribution

  • Takada, Yoshihisa;Kohno, Syunsuke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 /
    • pp.214-215
    • /
    • 2002
  • Generally uniform dose distribution is assumed to be formed in a target region when a conventional dose formation method using a broad proton beam, a fixed modulation technique, a bolus and an aperture is employed. However, actual situations differ. We usually find non-uniformity in the target region. This is due to the insertion of a range-compensating bolus before the patient. Since the range-compensating bolus has an irregular shape, the scattering in the bolus depends on the lateral position. Dose distribution is overlapping results of dose distribution of pencil-proton beams traversing different lateral positions of the bolus. The lateral extent of dose distribution of each pencil beam traversing the different position differs each other at the same depth in the target object. This is a cause of the non-uniformity of the dose distribution. Therefore the same lateral extent of dose distribution should be attained for different pencil beams at the same depth to obtain a uniform dose distribution. For that purpose, we propose here a bi-material bolus. The bi-material bolus consists of a low-Z material determining mainly the range loss and a high-Z material defining mainly the scattering in the bolus. After passing through the bi-material bolus, protons traversing different lateral positions will have different residual range yet with the same lateral spread at a certain depth. Using the optimized bi-material bolus, we can obtain a more uniform dose distribution in the target region as expected.

  • PDF

중학교 수학학습부진아의 CAS 계산기를 사용한 활동에서 나타나는 메타인지 활동 분석 (The Analysis of Metacognitive Activity Through Writing Using CAS Calculator on Middle School Mathematics Underachiever)

  • 김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4호
    • /
    • pp.531-545
    • /
    • 2010
  • 본 논문은 중학교 수학학습부진아가 대수 학습에서 CAS 계산기를 사용한 활동을 하여 어떠한 메타인지 활동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수학학습부진아를 선정하여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한 그룹은 처치그룹으로 지필과 CAS 계산기를 사용하여 활동지를 학습하고, 다른 그룹은 통제그룹으로 지필만을 사용하여 활동지를 학습하였다. 각 그룹 학생들의 활동지를 살펴본 결과, 처치그룹이 통제그룹보다 메타인지 활동이 더 활발히 일어났으며 몇 가지 측면에서 더 나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SEM 파라메타 측정에 대한 MLE 기법과 POF 기법의 성능비교 (Preformance Comparison of MLE Technique with POF(Pencil of Functions) Method for SEM Parameter Estimation)

  • 김덕년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1권4호
    • /
    • pp.511-516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전송 잡음 환경 하에서 전자파 산란 물체의 식별을 위하여 사용하 는 파라메타 측정 기법에 관한 연구이다. 최대 유사측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 MLE)기법은 물체 식별에 변형하여 응용되면 종래 잘 알려져 사용되어온 함수군속(Pencil of Functions) 기법보다 더 좋은 측정결과를 가진다는 것을 본 논문 은 보여주고 있다. MLE 기법을 포함하여 파라메타 식별을 위한 도구로서 지금까지 여러 제안기법들이 있었으나, 본 논문에서는 샘플 데이타의 길이에 관계없이 목표시 스템의 파라메타 양에만 관계하는 최소단위의 메트릭스 연산이 사용됨을 보여주므로 잡음이 상재하는 추출 데이타로부터 목표식별에 가장 강한 강점이 있다.

  • PDF

대학수학교육에서 Maple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Using Maple in College Mathematics Education)

  • 서종진;유천성;최은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557-573
    • /
    • 2006
  • 본 연구는 D시에 소재한 H대학교와 C대학교의 이과(자연)계열 학부생 1학년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서 집단은, 실험집단(집단I, 집단II 각각 20명)과 비교집단(집단 III: 20명)으로 구분하였다. 집단I과 집단II에는 강의식 수업과 Maple을 활용한 수업을 병행하여 실시하고, 집단III에는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Maple의 활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평가에서 집단I은 지필과 Maple을 함께 사용하여 해결하도록 하고, 집단II와 집단III은 지필로만 해결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지필로만 해결한 문항에 대한 평가에서, 학습 집단(집단I, 집단II, 집단III)간의 수학 성취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그러나 지필과 Maple을 함께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한 집단I의 수학 성취도는 지필로만 문제를 해결한 집단(집단II, 집단III)의 수학 성취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1). 그리고 집단I에서 지필로 그래프를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Maple을 활용하여 해결한 상당수의 학생들이 있었다.

  • PDF

편측 공간무시 환자의 평가: KF-NAP(Kessler Foundation - Neglect Assessment Process)과 지필검사의 비교 (Assessments of Spatial Neglect : Comparison of KF-NAP (Kessler Foundation - Neglect Assessment Process) and Pencil-Paper test)

  • 정은화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1호
    • /
    • pp.27-35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편측 공간무시 환자의 평가도구 중 KF-NAP (Kessler Foundation - Neglect Assessment Process)과 지필검사 (직선이분검사, 글자소거검사, 알버트 검사) 사이의 상관관계와 편측 공간무시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평가도구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4년 9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서울 소재의 병원 재활의학과에 입원한 32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성 19명, 여성 13명, 평균연령 61.8세). KF-NAP과 지필평가는 입원 7일 이내에 시행하였으며, 각 평가도구의 결과 값으로 편측 공간무시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편측 공간무시 정도는 KF-NAP 93.8%, 직선이분검사 53.1%, 글자지우기 53.1%, 알버트 검사 37.5%로 편측 공간무시에 대한 민감도가 가장 높은 평가도구는 KF-NAP이었다. KF-NAP은 직선이분검사(r=.430), 글자 지우기(r=.641), 알버트 검사(r=.398)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p<0.05). 결론 : KF-NAP은 환자의 일상생활 동안 편측 공간무시를 평가하는 도구로써 지필검사에 비해 편측 공간무시의 진단에 더 민감할 뿐 아니라 편측 공간무시의 중증도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 따라서 편측 공간무시의 평가에 KF-NAP이 유용하게 사용되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