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agogical agent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7초

Design Principles of Animated Pedagogical Agent and Instructional Message for Affective Learning

  • SON, Chanhee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5권1호
    • /
    • pp.1-2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design principles of both animated pedagogical agents as 'credible' persuasive message source and persuasive fear arousing instructional messages in order to help enhance attitude changes toward a certain issue. Based on the previous pedagogical agent research, this study drew the design principles providing ways to manipulate agent credibility level and fear arousing level of message. Consequently, it specified how to make pedagogical agents perceived less or more credible by learners by manipulating a variety of agent features. For fear arousing message, this study showed how fear arousing messages would be structured into one of three levels: non-threatening, moderately threatening, and strongly threatening. Two different agent conditions and three message conditions were actually developed and experimentally tested with the participants of 40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gent design principles specifi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worked well enough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the more credible agent and the less credible agent.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may indicate that the design strategies for fear arousing message are retained on the premise of some future refinements.

Implementation of an Agent-centric Planning of Complex Events as Objects of Pedagogical Experiences in Virtual World

  • Park, Jong 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2권1호
    • /
    • pp.25-43
    • /
    • 2016
  • An agent-centric event planning method is proposed for providing pedagogical experiences in an immersed environment. Two-level planning is required at in a macro-level (i.e., inter-event level) and an intra-event level to provide realistic experiences with the objective of learning declarative knowledge. The inter-event (horizontal) planning is based on search, while intra-event (vertical) planning is based on hierarchical decomposition. The horizontal search is dictated by several realistic types of association between events besides the conventional causality. The resulting schematic plan is further augmented by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ose agents cast into the roles of the events identified in the plan. Rather than following a main story plot, all the events potentially relevant to accomplishing an initial goal are derived in the final result of our planning. These derived events may progress concurrently or digress toward a new main goal replacing the current goal or event, and the plan could be merged or fragmented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lead agents' intentions and other conditions. The macro-level coherence across interconnected events is established via their common background world existing a priori. As the pivotal source of event concurrency and intricacy, agents are modeled to not only be autonomous but also independent, i.e., entities with their own beliefs and goals (and subsequent plans) in their respective parts of the world. Additional problems our method addresses for augmenting pedagogical experiences include casting of agents into roles based on their availability, subcontracting of subsidiary events, and failure of multi-agent event entailing fragmentation of a plan. The described planning method was demonstrated by monitoring implementation.

A Simulation Method For Virtual Situations Through Seamless Integration Of Independent Events Via Autonomous And Independent Agents

  • Park, Jong Hee;Choi, Jun S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4권3호
    • /
    • pp.7-16
    • /
    • 2018
  • The extent and depth of the event plan determines the scope of pedagogical experience in situations and consequently the quality of immersive learning based on our simulated world. In contrast to planning in conventional narrative-based systems mainly pursuing dramatic interests, planning in virtual world-based pedagogical systems strive to provide realistic experiences in immersed situations. Instead of story plot comprising predetermined situations, our inter-event planning method aims at simulating diverse situations that each involve multiple events coupled via their associated agents' conditions and meaningful associations between events occurring in a background world. The specific techniques to realize our planning method include, two-phase planning based on inter-event search and intra-event decomposition (down to the animated action level); autonomous and independent agents to behave proactively with their own belief and planning capability; full-blown background world to be used as the comprehensive stage for all events to occur in; coupling events via realistic association types including deontic associations as well as conventional causality; separation of agents from event roles; temporal scheduling; and parallel and concurrent event progression mechanism. Combining all these techniques, diverse exogenous events can be derived and seamlessly (i.e., semantically meaningfully) integrated with the original event to form a wide scope of situations providing chances of abundant pedagogical experience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plan execution, we devise an execution scheme based on multiple priority queues, particularly to realize concurrent progression of many simultaneous events to simulate its corresponding reality. Specific execution mechanisms include modeling an action in terms of its component motions, adjustability of priority for agent across different events, and concurrent and parallel execution method for multiple actions and its expansion for multiple events.

학습용 에이전트 의인화 설계 요인: 인간성과 역할을 중심으로 (Anthropomorphic Design Factors of Pedagogical Agent : Focusing on the Human Nature and Role)

  • 심혜린;최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58-369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을 통해 외국어(영어)를 학습하는데 있어 사용자 경험을 제고할 수 있는 학습 에이전트의 의인화 설계 요인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콘텐츠를 전달하는 학습용 에이전트를 설계할 때 학습 촉진, 신뢰, 매력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의인화 요인 중 에이전트의 체화 유무, 인간적 본성(HN)의 부여 정도, 역할 설정(지도자 vs. 동반자) 효과를 실험 연구로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HN은 단독으로는 학습 촉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미지와 역할은 학습 촉진 효과뿐 아니라 다른 사용자 경험 요인도 향상시켰다. HN요인은 이미지와 역할 요인과 결합되어 설계될 때, 학습 촉진 및 신뢰성, 매력성과 같은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 효과에서 효과가 나타났다.

Prototyping a Student Model for Educational Games

  • Choi, Young-Mee;Choo, Moon-Won;Chin, Seong-Ah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권1호
    • /
    • pp.107-111
    • /
    • 2005
  • When a pedagogical agent system aims to provide students with interactive help, it needs to know what knowledge the student has and what goals the student is currently trying to achieve. That is, it must do both assessment and plan recognition. These modeling tasks involve a high level of uncertainty when students are allowed to follow various lines of reasoning and are not required to show all their reasoning explicitly. In this paper, the student model for interactive edutainment applications is proposed. This model is based on Bayesian Networks to expose constructs and parameters of rules and propositions pertaining to game and problem solving activities. This student model could be utilized as the emotion generation model for student and agent as well.

이미지의 사실성과 학습자의 전문성이 학습용 에이전트의 의인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mage Realism and Learner's Expertise on Persona Effect of Pedagogical Agent)

  • 류지헌
    • 감성과학
    • /
    • 제15권1호
    • /
    • pp.47-56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용 에이전트의 사실성 수준과 학습자의 전문성 수준이 학습 성취 및 에이전트에 대한 의인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대학생 68명(남학생= 19명, 여학생 = 49명)이 실험에 참여했으며, 전문성 수준은 사전검사의 평균을 기준으로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사실성 수준 은 에이전트 이미지를 단순화하는 정도에 따라서 구분하였다. 이 연구의 종속변수는 학습 성취와 의인화 효과에 대한 지각점수이다. 의인화 효과는 학습 촉진, 신뢰성, 인간다움, 학습 개입으로 구분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학습 성취에서는 에이전트 사실성 수준에 의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의인화 효과에 대 한 설문에서는 학습 개입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범주에서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단순 주 효과 분석에 따르면, 이런 상호작용의 효과는 전문성 수준이 높은 학습자가 정밀한 이미지의 에이전트를 제공받았을때 의인화 효과가 올라갔다. 이 결과는 학습자의 전문성 수준에 따라서 의인화 효과가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전문성 수준이 높은 학습자는 에이전트에 대한 인지적 평가를 할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 전문성 수준이 높은 학습자에게는 사실성 수준이 높은 에이전트를 제공하는 것이 긍정적인 효과를 도출하였다.

  • PDF

인쇄자료를 활용한 모바일 학습에서 에이전트의 사실성 수준이 의인화 효과 및 인지부하요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dagogical Agents Realism on Persona Effect and Cognitive Load Factors in Cross-use of Printed Resources and Mobile Device)

  • 류지헌;유지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5-64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장비에 탑재된 학습용 에이전트의 사실성 수준이 학습자의 의인화 효과 및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82명의 대학생이 실험에 참여했으며, 남학생 25명과 여학생 57명이었다. 에이전트의 이미지는 세 수준(라인드로잉, 일러스트, 실사)으로 구분되었고 제스처의 적용유무에 따른 $3{\times}2$요인설계를 적용했다. 의인화 효과의 학습개입(engaging)에서 이미지와 제스처에 의한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단순주효과 분석에 의하면 에이전트의 이미지가 라인드로잉이고 제스처를 적용하지 않는 것이 학습개입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 인지부하에 대한 분석에서는 자기평가요인(self-evaluation)에서 이미지에 의한 주효과가 있었으며, 라인드로잉 조건이 나머지 조건(실사와 일러스트)보다 더 높았다. 또한 자기평가요인은 이미지와 제스처에 의한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를 보였다.

  • PDF

미래교육 혁신을 위한 트렌드 분석과 예측: 20년간의 문헌 연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키워드 추출 분석을 중심으로 (Analysis and Prediction of Trends for Future Education Reform Centering on the Keyword Extraction from the Research for the Last Two Decades)

  • 조헌국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2호
    • /
    • pp.156-171
    • /
    • 2021
  • 본 연구는 미래 교육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그 시기별 변화의 특징을 파악하고, 최근 나타나는 뉴스 기사를 비교하여 미래 교육에 대한 예측과 전망이 얼마나 일치하는지 비교 분석함으로써 교육을 위한 예측 모형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Web of Science를 통해 미래교육을 키워드로 포함한 국제전문학술지의 1,222건의 학술논문의 상세 서지정보를 수집하였고, 이를 2000년대부터 5년 단위로 4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또한 최근 1년간 발간된 뉴스를 토대로 키워드를 추출하고 두 결과를 비교하여 얼마나 예측한 결과가 일치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문헌 조사 결과를 통한 키워드는 교사 교육을 제외하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제나 경향성을 발견하기 어려웠으며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협동학습, 컴퓨터 기반 학습 등 교육과정과 내용, 방법, 환경 등 전반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에 반해 뉴스를 통해 도출된 키워드는 혁신학교나 미래교육센터 등 정부의 주요 추진 정책이나 코로나19와 관련된 키워드들이 부각되어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플랫폼이나 콘텐츠 개발, 클라우드, 빅데이터, 개별학습 등 교육환경과 방법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뉴스를 통해 나타나는 키워드를 살펴보면 장기적인 예측을 통해 나타난 키워드는 거의 없었고, 최근 5년 내에 제시되었던 단기적인 내용들이나 최근 5년에서도 언급되지 않는 새로운 주제들을 다루고 있었다. 이는 미래 교육에 대한 예측과 망에 대한 모형이 실제 중장기적 예측에서는 여러 요인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정확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 교육 예측을 위해 필요한 과제와 방향에 대해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