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rled barley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2초

국내 시판 메성 및 찰성 보리쌀의 취반 및 호화특성 (Cooking and Pasting Characteristics of Non-Waxy and Waxy Pearled Barley Products from Korea)

  • 이미자;김양길;서재환;김정곤;김형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61-668
    • /
    • 2009
  • 국내 시판 보리쌀 107개 제품을 수집하여 단백질, $\beta$-glucan 함량, 백도, 찰성비율, 취반특성 및 호화특성 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유통 메성보리 쌀의 단백질 함량은 6.62~11.38%였고, $\beta$-glucan 함량은 2.44~6.95%, 백도는 29.0~44.4이었으며 흡수성은 135~284%, 퍼짐성은 227~457%이었다. 찰성보리쌀의 경우 단백질은 7.17~12.57%, 백도는 27.1~49.6, $\beta$-glucan 함량은 2.81~7.38%로 메성보리쌀보다 높았으며 흡수성과 퍼짐성도 218~593%와 366~593%로 메성보리쌀보다 높았다. 즉, 찰성보리쌀 제품이 메성보리쌀 제품보다 취반특성이나 백도, $\beta$-glucan 함량 등에서 좋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호화특성은 지역별 생산제품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호화개시온도는 메성보리쌀 제품이 찰성보리쌀 제품보다 높았고 최고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들도 메성보리쌀 제품이 찰성보리쌀 제품보다 높게 나타났다. 메성과 찰성에 관계없이 단백질 함량과 $\beta$-glucan 함량은 정의 상관관계($r=0.632^{***}$, $r=0.453^{**}$)를 나타내었으며, 백도와는 부의 상관관계($r=-0.433^{***}$, $r=-0.343^{**}$)를 나타내었다. 찰성보리쌀 제품의 찰성비율을 분석한 결과 84~100% 범위였으며, 평균 찰성비율은 97%이었고 이중 16개 제품이 98%이상의 찰성비율을 나타내는 등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의 찰성비율이 지역별, 제품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압맥, 할맥과 보리쌀의 수분흡수 및 가열시 조리도의 비교 (Water Uptake Rate and Degree of Gelatinization During Cooking of Pressed, Cutted and Pearled Barley)

  • 손정우;염초애;장명숙;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5-128
    • /
    • 1987
  • 압맥, 할맥 및 보리쌀을 $20{\sim}$50^{\circ}C$의 물에 6시간 침지 시키면서 수분흡수속도를 비교하였다. 압맥은 할맥보다 할맥은 겉보리에 비하여 높은 수분흡수를 나타내었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수분흡수속도가 증가하였고 압맥이 온도 의존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100^{\circ}C$에서 가열시 호화완료 시간은 압맥이 할맥 및 보러쌀 보다 각각 1.4배 및 2배 빨랐다.

  • PDF

도정 유무에 따른 제주산 보리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pearled and wholegrain barley harvested in Jeju)

  • 강유리;김현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52-25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제주산 쌀보리인 일반보리, 청보리, 흑보리를 이용하여 도정 유무에 따른 항산화 성분과 활성을 비교하였다. 제주산 쌀보리의 항산화 성분인 총 폴리페놀 함량은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에서 139.99-149.90 ㎍ GAE/g, 도정한 쌀보리는 91.14-125.45 ㎍ GAE/g 범위로 나타나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에서 보다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0.89-1.01 ㎍ QE/g)가 도정한 쌀보리(0.50-0.54 ㎍ QE/g)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HPLC로 분석한 제주산 쌀보리의 페놀성 화합물로 gallic, protocatechuic, vanillic, p-coumaric 및 ferulic acid가 주로 검출되었으며, 도정하지 않은 흑보리와 도정한 일반보리에서는 p-coumaric acid는 검출되지 않았다. Tocopherols 및 tocotrienols 분석 결과에서는 8가지 이성체 중 α-T3 함량이 높았고,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의 α-T3는 20.68-33.09 ㎍/g으로 도정한 쌀보리 8.93-14.98 ㎍/g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제주산 쌀보리의 in vitro 항산화 활성 결과에서 금속 이온 제거능을 제외하고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항산화 활성 중 SOD 소거 활성이 높게 나타내었다. In vitro 항산화 활성은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비해 총 tocopherols 및 tocotrienols 함량에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도정하지 않은 제주산 쌀보리에서 높은 항산화 성분 및 활성이 나타나 이를 천연 항산화제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보리쌀, 할맥 및 납작보리의 영양성분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earled, Cutted and Pressed Barleys)

  • 정은영;염초애;김성곤;장명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0-294
    • /
    • 1987
  • 우리나라에서 보리 가공품으로 식용되고 있는 보리쌀, 할맥 및 납작보리의 영양 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보리쌀 및 납작보리의 일반 성분 및 열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할맥은 단백질 및 지방질 함량이 다소 낮았으며 열량은 보리쌀과 납작보리와 같은 값을 보였다. 칼슘과 인의 비는 평균 0.143이었고 필수 아미노산과 질소와의 비는 평균 1.66이었다. 아미노산 값은 할맥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납작보리이었다. 주 지방산은 리놀레산, 팔미트산 및 올레산으로서 전체의 92%를 차지하였다. 고도 불포화 지방산과 포화 지방산의 비는 납작보리가 가장 낮았다.

  • PDF

보리의 도정 및 제분분획을 이용한 ${\beta}-Glucan$의 강화 (${\beta}-Glucan$ Enrichment from Pearled Barley and Milled Barley Fractions)

  • 이영택;석호문;조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88-894
    • /
    • 1997
  • 보리로부터 도정처리한 정맥 및 제분에 의한 분획별 ${\beta}-glucan$ 함량을 분석하여 ${\beta}-glucan$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쌀보리가 겉보리보다 ${\beta}-glucan$ 함량을 강화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찰성 쌀보리인 수원-291이 메성인 무등쌀보리보다 ${\beta}-glucan$ 함량이 높았다. 보리 ${\beta}-glucan$의 용해성은 품종간 차이가 있으며 평균 약 67%가 수용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쌀보리는 도정에 의해 ${\beta}-glucan$ 함량이 1.2배까지 높아졌으며 쌀보리를 ${\beta}-glucan$이 가장 높은 상태인 정맥수율 $70{\sim}75%$로 도정하여 분쇄하고 $100{\sim}325-mesh$ 체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체질함에 의해 ${\beta}-glucan$ 함량이 22%까지 포함된 획분을 얻어 원맥 ${\beta}-glucan$ 함량의 3배 이상으로 강화하였다. 한편 보리를 $B{\ddot{u}}hler$ test mill을 사용하여 제분해 본 결과 보리가루의 ${\beta}-glucan$ 함량은 원맥에 비해 낮아진 반면 bran과 shorts에서는 원맥보다 높은 농도로 존재하였다, Shorts와 bran은 다시 분쇄 후 체질함으로써 원맥의 2.4배까지 ${\beta}-glucan$이 강화된 획분을 얻을 수 있었다. 체질에 의해서 입자크기에 따라 분획된 보리가루 획분들은 총 ${\beta}-glucan$$40{\sim}81%$가 수용성이며 정맥으로부터 얻은 획분에 비해 $B{\ddot{u}}hler$ mill stream의 bran 및 shorts로부터 얻은 획분에서 용해성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 PDF

도정 및 가열조리중 보리의 식이섬유 함량변화 (Changes In Dietary Fiber Content of Barley during Pearling and Cooking)

  • 이원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0-182
    • /
    • 1992
  • 한국산 쌀보리 3품종을 도정수율 70%, 겉보리 3품종을 도정수율 60%, 로 도정한 후 수용성, 불용성, 총식이섬유 및 ${\beta}-glucan$의 함량을 측정하여 도정전과 비교하였다. 도정전 쌀보리는 평균 17.1%, 겉보리는 23.9%의 총식이섬유를 함유하였다. 도정후 쌀보리는 9.2% 총식이섬유와 4.8% 수용성 식이섬유를 함유하였고, 겉보리는 각각 11.9%와 6.0%를 함유하였다. ${\beta}-glucan$ 함량은 품종에 따라 도정 전에는 $3.2{\sim}3.9%$, 도정 후에는 $3.5{\sim}5.4%$를 함유하였다. 도정된 쌀보리와 쌀보리가루의 수용성 식이섬유와 $3.2{\sim}3.9%$ 함량은 가열조리에 의하여 변화되지 않았으나, 불용성 식이섬유는 1% 증가하였다.

  • PDF

할맥가공(割麥加工) 방법(方法)이 소요전력(所要電力)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Influence of Processing Method on Electricity Requirement in Cut-Polished Barley Making)

  • 장학길;김영상;장영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7-92
    • /
    • 1987
  • 보리의 이용성(利用性)을 향상(向上)시키기 위하여 개발(開發)된 할맥(割麥)의 제품수율(製品收率)과 가공소요전력(加工所要電力)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1. 할맥제품(割麥製品)은 도정도(搗精度)가 높아짐으로서 맥쇄율(麥碎率)이 증가되었으며, 혼합품(混合品)을 가공(加工)했을 때는 맥쇄율(麥碎率)은 더욱 증가되었다. 2. 할맥(割麥)의 입장(粒長)/입폭비율(粒幅比率)은 제품수율(製品收率)에 따라 $2.09{\sim}2.13$으로 정맥(精麥)의 1.36보다 컸다. 3. 가공소요전력(加工所要電力)은 할맥(割麥)과 정맥(精麥)의 동일수율(同一收率)에서 할맥(割麥)이 증가되었으나, 할맥(割麥)의 도정수율(搗精收率)을 감소시킴으로서 전력소요량(電力所要量)은 급격히 낮아졌다. 혼합품(混合品) 가공(加工)으로 인한 가공전력(加工電力)의 소요(所要)는 쌀보리1등품(等品) 단독사용시와 차이가 없었다. 4. 1차(次) 도정수율(搗精收率)을 증가시킴으로서 제품(製品)M/T당(當) 생산(生産)에 소요(所要)되는 총가공전력(總加工電力)은 감소되었다.

  • PDF

저장상대습도에 따른 보리쌀의 흡습특성 (Sorption Characteristics of Barleys at Various Relative Humidities)

  • 정은영;염초애;김성곤;장명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1-337
    • /
    • 1987
  • 보리쌀, 할맥 및 납작보리의 수분 흡착 특성을 $20^{\circ}C$에서 조사하였다. 상대습도 75%이상 에서의 흡습 속도 및 상대습도 44%이하에서의 탈습 속도는 모두 보리쌀>납작보리>할맥의 순서이었다. 수분 흡착 속도로부터 보리 가공품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실험식을 제안하였다.

  • PDF

보리의 이화학적 특성과 취반성에 관한 연구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oking Qualities of Barley)

  • 장학길;정일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816-821
    • /
    • 1994
  •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oking qualities of six cultivars of covered barley, four malting barley and six naked barley were investigated. The 1, 000 kernel weight was heavier in the malting barley and ash content was the highest in covered barley. The varietal variation of amylose content was 17.7 to 20.2%. $\beta$-Glucan viscosity was generally lower in the malting barely, and varied greatly among barley cutivars with 2.16 to 8.47 cSt. The pearling rate was highest in naked barley with a mean of 75.5% and protein content of aw and pearled barel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cultivars. In the cultivars tested, Doosan 8, Youngsan and Iri 5 showed the higher milling rate. Amylose patterns showed that the covered barley cultivars has lower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higher peak height and height at 50 $^{\circ}C$ than the malting and naked barley. The water absorptions were highest in covered barley cultivars , and lowest in naked barley cultivars. The soluble solid was highest in naked barley cultivars.

  • PDF

맥류(麥類)의 가공(加工)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illing of Barley, Naked-barley & Wheat)

  • 김희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9-111
    • /
    • 1978
  • 보리, 쌀보리, 밀등 3종(種)의 국산맥류(國産麥類)를 공시(公試)하여 도정(搗精)과 제분(製粉)의 두가지 가공방법(加工方法)으로 가공수율(加工收率) 60%, 70%, 80%, 90%의 네 수준(水準)으로 나누어 회분(灰分), 단백질(蛋白質), 지질(脂質) 섬유질(纖維質), Calcium, 철분(鐵分), Thiamine등의 함유율(含有率)을 분석(分析) 조사(調査)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가공(加工)된 곡물(穀物)의 회분(灰分), 단백질(蛋白質), 지질(脂質), 섬유질(纖維質), Calcium, 철분(鐵分), Thiamine등의 함유율(含油率)은 도정(搗精)의 경우 제분(製粉)의 경우에 다 같이 가공수율(加工收率)과 정비례관계(正比例關係)에 있었다. 2) 겉보리에서는 도정(搗精)한 것이 제분(製粉)한 것에 비(比)해 평균적(平均的)으로 동일(同一)한 가공수율(加工收率)에서 회분(灰分)은 0.83%, 단백질(蛋白質)은 1.31%, 지질(脂質)은 0.40%, 섬유질(纖維質)은 0.75%, Calcium은 3.03mg%, 철분(鐵分)은 2.40mg%, Thiamine은 0.14mg%가 낮았다. 3) 쌀보리에서는 도정(搗精)한 것이 제분(製粉)한 것에 비(比)해 평균적(平均的)으로 동일(同一)한 가공수율(加工收率)에서 회분(灰分)은 0.41%, 단백질(蛋白質)은 1.96%, 지질(脂質)은 0.33%, 섬유질(纖維質)은 0.84%, Calcium은 4.54mg%, 철분(鐵分)은 1.19mg%, Thiamine은 0.10mg%가 낮았다. 4) 밀에서는 도정(搗精)한 것이 제분(製粉)한 것에 비(比)해 평균적(平均的)으로 동일(同一)한 가공수율(加工收率)에서 회분(灰分)은 0.28%, 단백질(蛋白質)은 2.25%, 지질(脂質)은 0.05%, 섬유질(纖維質)은 0.25%, Calcium은 4.31mg%, 철분(鐵分)은 0.12mg%, Thiamine은 0.15mg%가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