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k water quality concentration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9초

흑미 첨가량을 달리한 떡볶이 떡의 품질에 관한 연구 (Quality of Tteokbokki tteok prepared by adding various concentration of brown rice)

  • 신동선;유선미;한귀정;오세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4-203
    • /
    • 2016
  • 쌀 소비확대를 위하여 가공용으로 재배 육성된 흑미의 특성과 떡복이용 떡에 가공적성이 가능한지를 파악하고자 일반성분, 수분 결합력, 수분 흡수력, 호화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삼광을 대조구로 하여 흑설, 흑진주 떡볶이 떡을 제조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색도, 물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이 14.89~7.15%, 조단백질이 4.79~6.81%, 조지방이 0.48~2.66%, 조회분이 0.39~1.60%로 나타났다. 특히, 흑진주는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이 가장 높았고 삼광이 조단백질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분결합력은 흑진주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흑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침시간에 따른 수분흡수율은 수침 초기에 흡수속도가 높았으며 대조구인 삼광은 수침 3시간, 현미로 도정한 흑미는 12시간 까지는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어 평형에 도달하였다. 호화특성에서 호화개시온도는 흑설이 가장 높았으며 최고점도(peak viscosity peak), 최저점도(hot viscosity), 최종점도(final viscosity), 강하점도(breakdown) 등의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는 흑설이 가장 낮은 값을 보여 주었다. 차반점도(setback)는 백미인 삼광이 가장 높았으며 현미 흑미인 흑설과 흑진주는 비슷한 수준의 값을 나타내었다. 흑미 떡볶이 떡의 색도는 흑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 및 b값은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였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L값은 증가한 반면 a값 및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흑미 떡볶이 떡의 물성변화는 흑미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 응집성, 씹힘성은 감소하는 반면 부착성은 증가하였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도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관능적 특성의 전반적인 기호도 조사에서 흑미 10% 첨가군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20% 첨가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따라서, 떡볶이 떡 제조 시 적절한 흑미 첨가량은 10~20%가 적당할 것으로 보이며 흑미 첨가가 관능적 기호도에 좋은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강우에 따른 거제만해역 육상오염원의 영향평가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Inland Pollution Sources on Shellfish Growing Areas after Rainfall Events in Geoje Bay, Korea)

  • 하광수;유현덕;심길보;김지회;이태식;김풍호;주자연;이희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12-621
    • /
    • 2011
  • The influences of inland pollution sources because of rainfall events on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in Geoje Bay, a major shellfish production area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 sanitary status of sea water and shellfish after rainfall events was also evaluated. The flow rates of 13 streams around Geoje Bay showed 6 to 7-fold increases after 15 to 21 mm of rainfall. Peak pollution was observed in the Naegan Stream, the Gandeok Stream and the Seojeong Stream. The calculated impact area of inland pollution sources was 3.1 $km^2$ immediately after 15 mm of rainfall and expanded to 3.5 $km^2$ after 24 hours. These calculations of impacted area matched results from fecal coliform analyses with sea water. The distance between the major pollution source in the bay (the Gandeok Stream) and the station with the worst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immediately after 15 mm of rainfall, which was below the Korean standard, was 0.8 km in a straight line; this distance increased to 2.0 km after a period of 24 hours. The area impacted by inland pollution sources after a 15 mm rainfall event was wider than after a 21 mm rainfall. Although the flow rate from inland pollution sources was higher, the concentration of fecal coliform in the discharged water was lower after higher rainfall events. These observations corresponded with the results of fecal coliform analyses with sea water sample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the influences of inland pollution sources and fecal coliform analyses on sea water and shellfish samples in Geoje Bay, pollutants from inland sources did not reach the boundary line of the shellfish growing area after rainfall events of 15 or 22 mm.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of the shellfish growing area in Geoje Bay met the Korean standard and US NSSP requirements for approved shellfish growing areas.

동해안 국가어항과 지정항만의 수질특성 및 정책적 고찰 (The Policy Review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National Fishing Harbors and Designated Ports in East Coast of Korea)

  • 이대인;김귀영;문주훈;엄기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13-223
    • /
    • 2011
  • 동해안 국가어항 및 지정항만의 효율적 수질관리 및 개발계획 수립에 따른 환경성 진단을 지원하기 위해 수질현황과 변동특성을 분석하고, 정책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COD는 대부분 설정된 수질환경기준을 만족하였지만, TN과 TP는 기준을 초과하는 구역이 많았다. 하계에 최대 농도를 보인 COD, SS와는 달리 총인은 상대적으로 동계에 농도가 높은 양상이었다. 거진항, 축산항과 구룡포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인이 제한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강구항과 포항구항의 부영양화지수가 가장 높았다. 국가어항인 강구항과 지정항만인 포항항, 주문진항과 구룡포항은 오염지수(COD, TN과 TP를 고려한 함수)가 상대적으로 크고 최근 들어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삼척항, 임원항과 축산항은 오염지수가 다소 감소하는 등 연구지역마다 복잡한 변동양상을 나타내어 복수의 수질항목(유기 및 무기물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오염지수의 지속적 평가가 필요하였다. 수질기준적용에서 죽변항과 축산항은 뚜렷한 환경적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구역에 비해 엄격하게 적용되어 있는 등 기준설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였다. 최근 설정된 수질등급기준과 평가지수는 개선된 측면은 있으나, 오염원 관리대상 항목과의 연계성이 미흡하고 환산계수 등이 모호한 측면이 있어서 좀 더 보완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항내 퇴적물 오염실태에 관한 기초자료가 매우 부족하므로 준설토의 친환경적 처분과 수질악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에 대한 진단과 모니터링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지정항만 등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부에 국한될 뿐만 아니라, 국가어항 모니터링은 전체의 7%에 지나지 않아서 관련 법적 근거 마련을 통해서 국가가 관리하는 항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방안이 재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미강 식이섬유가 밀가루의 리올로지와 생국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ce bran dietary fiber on flour rheology and quality of wet noodles)

  • 김영수;하태열;이상효;이현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0-95
    • /
    • 1997
  • 미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를 밀가루에 3, 6, 9% 첨가하여 밀가루의 리올로지와 생국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미강 식이섬유의 입자크기는 99% 이상이 $250\;{\mu}m$이하로 고운 분말상태를 보였다. 미강 식이섬유를 첨가함에 따라 아밀로그래프상의 호화개시온도, 최고 및 최종점도를 증가시켰으며, 패리노그래프상의 수분흡수율 및 반죽의 안정도를 증가시켰다. 색도는 조리하지 않은 국수 뿐만 아니라 조리한 국수에서 식이섬유의 첨가에 따라 L값이 크게 감소하였다. 국수의 조리후 중량 및 부피증가는 식이섬유 첨가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조리손실은 식이섬유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가 가장 높았으며 식이섬유를 첨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조리한 국수의 텍스쳐 측정 결과, 미강 식이섬유 첨가량을 증가함에 따라 견고성, 부착성, 껌성, 씹힘성은 증가하였으나 응집성은 점차 감소하였다. 조리한 국수의 관능검사 결과 외관,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대조구, 3%, 6% 미강식이섬유 첨가시료들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복령분말이 생국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ria cocos Powder on Wet Noodle Qualities)

  • 김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7호
    • /
    • pp.539-544
    • /
    • 1998
  • 복령분말을 밀가루에 0, 3, 5, 7% 첨가하여 제조한 반죽의 리올로지와 이들로부터 제조한 생국수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복령분말은 밀가루에 비해 단백질, 지방 및 회분 함량이 현저히 낮았다. 복령분말의 입자분포도는 $0.04{\sim}240\;{\mu}m$였으며 밀가루보다 큰 입자분포를 나타내었다. 아밀로그래프상의 호화개시온도는 복령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최고 및 최종점도는 증가하였다. 패리노그래프상의 수분흡수율 및 반죽의 안정도는 복령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L값은 복합분과 반죽에서 복령분발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이와는 반대로, 생국수에서는 복령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이 증가하였으나, a값과 b값은 감소하였다 생국수의 조리후 중량 및 부피는 복령분말의 첨가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국물의 탁도는 증가하였다. 조리한 국수의 조직감 측정 결과, 견고성, 응집성, 씹힘성, 탄력성은 복령분말 3%의 첨가에 의해 급격히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감소하였다. 조리한 국수의 관능검사 결과, 복령분말 $5{\sim}7%$ 첨가국수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 무첨가 국수보다 품질이 우수하였다.

  • PDF

한국산과 중국산 녹두로부터 방법을 달리하여 분리한 전분의 이화학적 및 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ochemical and Gel Properties of Starches Purified from Korean and Chinese Mungbeans with Different Methods)

  • 전옥윤;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71-881
    • /
    • 2012
  •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and gel properties of mung bean starches prepared by different purification methods, starches from Korean Eohul variety and Chinese mung bean (MB) with or without hull using alkaline solution or water as solvent were purified. The optimum conditions for making muk were investigated. Apparent amylose and total dietary fiber contents, water binding capacity, solubility and pasting properties by RVA we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tarch gels (10% dry basis) were measured for 0 and 4 day stored at $4^{\circ}C$. The protein and ash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nd lowered in starch from dehulled MB using alkaline solution. The starches from dehulled MB using alkaline solution showed the lowest color differences. Apparent amylose contents of Eohul and Chinese starches showed 37.06-39.03% and 31.57-32.74%, respectively. Chinese starch was higher in water binding capacity but lower in solubility at $85^{\circ}C$ than others. Peak, trough, cold, and breakdown viscosities of Eohul starch were higher than those of Chinese one. Mung bean starch gel made immediately exhibited clear and glossy appearance but became whiter like milk. The crystallinities of starch and starch gel showed A and B types, respectively. The hardness, gumminess, and resilience of starch gel made immediately and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resilience of 4 day stored gels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p<0.05). Especially, Eohul starch gels purified from hulled MB showed higher resilience (bending property) and hardness.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high quality muk would be made using MB starch purified from hulled Korean mung bean using water as solvent.decreased in contain more than 20% of SGP added groups.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SGP was found in the range of less than 10%.

산림유역의 토지변형에 따른 수질과 토사생산량 변화 - 일본 시라루토로호수 지역의 연구 결과 - (Changes in Water Quality and Sediment Yield in the Forest Catchment - A Study of the Lake Shirarutoro Area in Northern Japan -)

  • 안영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69-576
    • /
    • 2009
  • 산림벌채와 농경지 개발에 의한 토사와 영양염류의 유출은 시라루토로호수의 생물서식지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다. 산림벌채와 농업활동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산림벌채와 농경지 개발에 의한 토사와 영양염류의 유출은 시라루토로호수의 생물서식지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다. 산림벌채와 농업활동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토지이용에 따른 총질소와 총인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들의 분석 결과를 다른 연구자료와 비교하였다. 호수의 총질소와 총인은 산림면적 증가에 따라 감소하고, 농지면적이 증가하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시라루토로호수의 수질은 좁은 농지면적과 넓은 산림으로 둘러싸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총질소와 총인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역의 토지이용이 호수에 인접한 곳에서 행해지고 있어 호수 수질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었다. 토지이용에 따른 유역의 토사생산량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호수 토사퇴적물 시료 11개를 채취하여 약 300년 동안의 토사동태를 조사하였다. 채취한 호수 퇴적물에는 2개의 화산재층(1694년의 Ko-c2층 과 1739년의 Ta-a층)과 세슘($^{137}Cs$)피크(1963년)가 존재하였고, 이들의 연대를 이용하여 약 300년간 유역의 토사생산량을 분석하였다. 초기개발기(1694~1739과 1739~1963)에는 8.4~8.9 tons/$km^2$/year의 토사가 유역으로부터 생산되었고, 1960년대 이후 산림벌채와 농지개발로 인하여 21.1 tons/$km^2$/year(1963~2007)으로 토사생산량이 증가하였다.

화학적 처리방법에 의한 변성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odified Starch Made by Chemical Treatment)

  • 송은승;우나리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1-96
    • /
    • 2007
  • Developing carbohydrate fat replacer as materials for low-calorie and low-fat food made of Korean potato, it is expected that the new demand of fat replacer will be created. Potato starch was modified by chemical modification. Observing modified starch(treated in different method) by SEM, EZ(treated by enzyme) showed shape of deformed round oval, AC(treated by acetylation,), HPR(treated by hydropropylation) showed shape similar to that of NL(N-Lite), the commercial fat replacer. In the modified starch such as AC, peak in B and C type similar to those of general starch was found, but EZ showed non-crystalline shape. Compared to other modified starch, HPR, the chemically produced denatured starch showed very peculiar peak and structure in V-form. While the order of contents of amylopectin was in the order HPR > EZ > AC showed extremely high contents. Measuring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per the modified method,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of HPR as much higher than others. The water binding activity of modified starch was 240% in HPR. Measuring viscosity by producing general starch and modified starch as gel of 10% concentration, the CPS showed very high viscosity of 30.30 ${\times}$ 10$^3$ cp. Showing viscosity of 38.60, 31.60 10$^3$ ${\times}$ cp, the modified starch was in the order of HPR. While the calorie of starch of GPS was measured to be 3.0 Kcal/g, very low calorie those of chemically modified starch, HPR showed 2.5 Kcal/g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calorie is decreased by modified treatment. The appropriateness of processing food was experimented by substituting the existing oil and fat containing food with saturated gel of starch and modified starch in constant rate through utilization of modified starch. 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materials and related products which maintain the existing quality and reduce fat contents will be constantly performed in the future.

경포호의 식물플랑크톤과 환경요인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Kyungpo Lake)

  • 이은주;김형섭;이규송
    • 환경생물
    • /
    • 제18권1호
    • /
    • pp.95-104
    • /
    • 2000
  • In order to elucidate chat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seasonal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Kyungpo lake, the weekly variation of algal population and 11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from March 1998 to February 1999. A total 121 species of phytoplankton belonged to 57 genera, 4 genera 7 species of the Euglenophyceae, 1 genera 2 species of the Chrysophyceae, 2 genera 3 species of the Cryptophyceae, 1 genera 1 species of the Dinophyceae, 6 genera 9 species of the Cyanophyceae, 28 genera 78 species of the Bacillario-phyceae and 15 genera 21 species of the Chlorophyceae, was identified. Cryptomonas sp., Chamydomonas sp., Nitzschia frustulum, Oscillatoria sp., Lyngbya sp, and Dictyosphaerium pulchellum occurred successively as dominant phytoplankton species from March 1998 to February 1999. Density of phytoplankton cell number showed the peak in early April when Chlamydomoas sp. was dominated. The diversity index of phytoplankton community showed low values in the dominating period of Cryptomonas sp. and Chlamydomonas sp.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fluctuated between 1.09 and 107.7$\mu\textrm{g}$ㆍ1$^{-1}$. Water temperature, salinity, DO, conduc tivity and SS were ranged 0.5-27.8$^{\circ}C$, 2.8-25.2 ppt, 4.62-19.21 mgO$_2$ㆍ1$^{-1}$, 5.33-34.76 mS/cm and 0.017-0.184 mgㆍ1$^{-1}$, respectively. Annual means of Secchi disc transparency was 36cm and thai of pH value was 8.5. The concentrations of PO$_4$-P was ranged 0.0012-0.077 mgㆍ1$^{-1}$ , and showed high value from August to October. The concentrations of NO$_2$-N, NO$_3$-N and NH$_4$-N was ranged 0.0011-0.1 mgㆍ1$^{-1}$, 0.074-3.33mgㆍ1$^{-1}$ and 0.0024-0.259 mgㆍ1$^{-1}$, respectively. Among environmental factors, water temperatur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O, salinity and conductivity, DO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linity and conductivity. Chlorophyll a, one of the indicies of eutropication in lak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NH$_4$-N. The cell density of Cryptomonas sp., which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is lak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ransparency. [Kyoungpo lake, Phytoplankton, Cryptomonas sp. , Chlamydomonas sp., Seasonal variation].

  • PDF

오염(汚染) 관개수(灌漑水)가 벼 생육(生育) 및 미질(米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olluted Irrigation Water on the Rice Growth and the Grain Quality)

  • 김종수;박경배;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2-137
    • /
    • 1993
  • 금호강(琴湖江) 하류(下流)의 오염(汚染)된 하천수(河川水)를 관개수원(灌漑水源)으로하는 농가답(農家畓) 두곳(경산통(慶山統):Gk, 규암통(窺岩統):Gy)에서 관개(灌漑)수의 오염도를 조사하고, 합리적(合理的)인 시비법(施肥法) 개선(改善)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관개수질(灌漑水質)은 pH는 6.7~7.4, COD:21.3~52.8, $NH_4-N$:3.2~5.3ppm, $PO_4$:1.6~6.0ppm으로서 오염도(汚染度)는 6월(月)이 가장 심(甚)하였고 8월(月)은 적었다. 공시토양(供試土壤)의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은 pH가 경산통(慶山統)은 5.6~6.0 규암통(窺岩統)은 6.1~6.3이었고, 인산(燐酸) 및 규산함량(珪酸含量)은 규산처리구(珪酸處理區)에서 가장 높았다. 벼 초장(草長), 경수(莖數) 및 수량(收量)은 질소감비구(窒素減肥區) 떨어지지 않았다. 백미중(白米中) $Mg/(K{\times}N)$비(比)와 호응집성(糊凝集性)은 질소감비구(窒素減肥區)에서 가장 높았고, 알카리붕 괴도와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은 적었다. 따라서 오염관개수(汚染灌漑水)가 유입(流入)되는 논에서는 식미(食味)를 감안할때 질소감비(窒素減肥)가 바람직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