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ch tree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4초

주요(主要) 과수(果樹)에서 발생(發生)하는 진딧물의 종류(種類)와 발생소장(發生消長)에 관(關)한 연구(硏究) (Colonizing Aphid Species and Their Seasonal Fluctuations on Some Fruit Trees in Suweon)

  • 김석환;이순원;김인수;이문홍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09-213
    • /
    • 1986
  • 사과, 복숭아, 배나무등을 가해(加害)하는 진딧물의 종류(種類)와 우점종(優占種) 및 발생소장(發生消長)을 $'82{\sim}'84$년(年)까지 농기연(農技硏)과 원예시험장(園藝試驗場)의 살충제(殺蟲劑) 무살포(無撤布) 과수원(果樹園)에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사과나무를 가해(加害)하는 진딧물은 사과혹진딧물과 조팝나무진딧물로 우점종(優占種)은 $4{\sim}7$월(月)에 사과혹진딧물, $8{\sim}10$월(月)에 조팝나무진딧물로 시기(時期)에 따라서 변화(變化)하였고, 사과혹진딧물은 6월상순(月上旬), 8월상순(月上旬), 10월상순(月上旬)에, 조팝나무진딧물은 6월상순(月上旬), 8월중순(月中旬), 9월하순(月下旬)에 최대밀도(最大密度)를 형성(形成)하였다. 그 이후(以後)에는 복숭아가루진딧물진딧물이었으며, 복숭아혹진딧물은 5월하순(月下旬)$\sim$6월상순(月上旬), 복숭아가루진딧물은 6월중순(月中旬)과 10월중순(月中旬)에 최대밀도(最大密度)를 형성(形成)하였다. 3. 배나무를 가해(加害)하는 진딧물은 배나무동글밑진딧물, 자주동글진딧물, 조팝나무진딧물등으로 우점종은 4월(月)$\sim$6월(月)과 10월(月)에는 배나무동글밑진 2. 복숭아나무를 가해(加害)하는 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 복숭아가루진딧물, 복숭아잎혹진딧물등으로 우점종(優占種)은 초봄에는 복숭아혹진딧물이었고 딧물, $7{\sim}9$월(月)에는 조팝나무진딧물이였으며, 배나무동글밑진딧물은 5월하순(月下旬)과 10월하순(月下旬)에 조팝나무진딧물은 6월상순(月上旬)과 9월상순(月上旬)에 최대밀도(最大密度)를 형성(形成)하였다.

  • PDF

Peach rosette mosaic virus 검출을 위한 신속한 등온증폭법 개발 (Development of a Rapid Assay for Peach Rosette Mosaic Virus Using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 이시원;이진영;김진호;노재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93-496
    • /
    • 2016
  • Peach rosette mosaic virus (PRMV)는 1933년 복숭아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며, 복숭아, 자두, 블루베리, 민들레, 벚나무 등에 감염되는 식물바이러스이다. PRMV는 한국에서 보고된 적이 없으나, 식물검역에서 관리병(control viruses)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PRMV를 더욱 신속하고 특이적으로 진단하기 위하여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분석법을 적용한 진단법을 개발하였다. LAMP 방법은 기존의 PCR 방법(RT-PCR 및 nested PCR)과 같은 검출 강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LAMP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PRMV cDNA을 outer primer sets (Product size 264 bp)로 PCR 한 뒤, Pvu II (CAG/CTG) 제한효소를 처리하였다. 제한효소 처리 결과 2개의 digestion fragments (207 + 57 bp)가 확인되었다. PRMV의 LAMP 진단 방법은 관련 식물로부터 더욱 신속한 모니터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복숭아와 자두꽃을 방화(訪花)하는 곤충(昆蟲)의 종류(種類)와 생태(生態) (Insect Visitors to Peach and Plum Blossoms)

  • 추호열;조미경;우건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17-122
    • /
    • 1987
  • 복숭아꽃과 자두꽃의 방화곤충(訪花昆蟲)과 활동(活動)을 알아 보기 위하여 1987년(年) 4월(月) 1일(日)부터 4월(月) 30일(日)까지 전개화기(全開花期)동안 경남(慶南) 진주(晋州)의 경상대학교(慶尙大學校) 식물보호학과(植物保護學科) 과수원(果樹園)에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복숭아꽃의 방화곤충(訪花昆蟲)은 4목(目) 18과(科) 22속(屬) 22종(種)이었고, 자두꽃에서는 4목(目) 14과(科) 20속(屬) 20종(種)이 확인(確認)되었는데, 벌목(目)과 딱정벌레목(目)이 가장 많았다. 시간별 기록곤충(記錄昆蟲)은 11시(時)와 2시대(時帶)에서 가장 많은 종수(種數)와 개체수(個體數)가 방화(訪花)되었는데 날씨의 쾌청에 따라 최다방화수(最多訪花數)의 시간별(時間別) 차이(差異)가 있었다. 개화율(開花率)과 방화곤충(訪花昆蟲)과의 관계(關係)는 복숭아 꽃에서는 80%이상의 만개기(滿開期)에서 가장 많은 종수(種數)와 개체수(個體數)가 기록(記錄)되었으나 자두꽃에서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 PDF

천연염료로서 복숭아나무 전정가지의 이용성 (Utilization of Pruning Branch of Peach Tree as a Natural Dyeing Material)

  • 박윤점;박용서;장홍기;허북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6-222
    • /
    • 2005
  • 복숭아나무 전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절지의 천연염료로서 이용성을 조사하였다. 복숭아 가지 추출물로 견과 면직물을 염색한 결과 견직물의 표면색은 매염제에 따른 차이가 있는 가운데 무염색포에 비해 색차(${\Delta}$값)가 11.63에서 30.86까지 나타났다. 면직물은 무매염시 17.71에서 황산철 매염시 40.41로 견직물 보다 염색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염제에 따라서는 소석회와 가성소다 매염시 a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황산구리와 명반, 식초 매염시는 b값이 높게 나타났다. 세탁을 3회 실시한 뒤 표면색을 조사한 결과 매염제에 따른 차이는 다소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무염색구와의 사이에 색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세탁 견뢰도는 다소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pH가 다른 수세액에 의한 수세 및 일광처리 후 표면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처리 전후간에 차이가 적어 pH에 대한 견뢰도 및 일광 견뢰도는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염료로서 복숭아나무 전정가지의 이용성 (Utilization of Pruning Branch of Peach tree as a Natural Dyeing Material)

  • 박윤점;장홍기;김태춘;허북구;박용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77
    • /
    • 2005
  • 복숭아나무 전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절지의 천연염료로서 이용성을 조사하였다. 복숭아 가지 추출물로 견과 면직물을 염색한 결과 견직물의 표면색은 매염제에 따른 차이가 있는 가운데 무염색 포에 비해 색차(${\Delta}E$값)가 11.63에서 30.86까지 나타났다. 면직물은 무매염시 17.71에서 황산철 매염시 40.41로 견직물 보다 염색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염제에 따라서는 소석회와 가성소다 매염시 a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황산구리와 명반, 식초 매염시는 b값이 높게 나타났다. 세탁을 3회 실시한 뒤 표면색을 조사한 결과 매염제에 따른 차이는 다소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무염색구와의 사이에 색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세탁 견뢰도는 다소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pH가 다른 수세액에 의한 수세 및 일광 처리 후 표면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처리 전후간에 차이가 적어 pH에 대한 견뢰도 및 일광 견뢰도는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지 길이에 따른 복숭아 '수미'의 신초 생장 및 과실 특성 (Shoot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Soomee' Peach according to Length of Fruit Bearing Branch)

  • 김호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347-352
    • /
    • 2019
  • 국내에서 육성된 복숭아인 '수미'의 고품질 과실을 생산을 하는데 적합한 결과지 길이를 선발하기 위하여 결과지 길이와 신초 및 과실 특성들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지의 길이와 직경은 각각 평균 26.1cm와 6.1mm이었고, 결과지 당 신초 및 잎 수는 각각 평균 3.2개와 38.6장이었다. 그리고 변이계수는 이들 중 신초 및 잎 수에서 매우 높았다. 조사된 결과지에서 생산된 과실 무게는 평균 298.6g, 과실 당도는 12.2Brix였고, 변이계수는 과실 무게에서 18.0%로 당도보다 높았다. 나무 당 10-20cm와 20-30cm 길이의 결과지가 각각 27.1%와 25.4% 분포함으로서 단 중과지의 비율이 50% 이상이었다. 그리고 나무 당 250-350g과 11.0-13.0Brix의 과실이 각각 68.6%와 74.0% 분포하였다. 조사된 특성 간 상관분석 결과, 과실 무게와 결과지 당 신초 수는 결과지 길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실 무게와는 $y=-0.0482x^2+2.4512x+277.36$의 관계를 나타내어 최대 과실 무게를 생산하는 결과지의 길이는 25.4cm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복숭아 '수미'의 결과지 길이는 20-30cm 정도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북지역 복숭아과원에 분포하는 식물기생성 선충의 조사 (Survey on Plant-Parasitic Nematodes in Peach Orchards in Gyeongbuk Province)

  • 권태영;김동근;최충돈;윤재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1-84
    • /
    • 2004
  • 복숭아의 주요 식물기생성선충 종류를 밝히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02년까지 3년간 경북지역의 124개 복숭아 과원 토양으로부터 선충을 분리하고 선충의 종류, 밀도, 빈도(Frequency), 우점도(Simpson's index), 다양성지수(Shannon and Wiener index), 중요도(Prominence value)를 분석하였다. 식물기생성 선충은 총 124지점 중 97지점에서 발견되었으며 우점도는 0.717-0.881, 다양성지수는 0.221-0.286로 복숭아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기생성선충에 의하여 피해를 받기보다는 몇몇 우점하고 있는 식물기생성선충에 의하여 피해를 받고 있었다 복숭아과원에서 중요한 식물기생성선충은 Tylenchorhynchus nudus, Criconemoides informis, Paratylenchus elachistus, Pratylenchus vulnus, Helicotylenchus digonichus 순이었고, 그 외 Aphelenchus sp., Tylenchus sp., Heterodera sp., Scutellonema sp. 등이 검출은 되었으나 중요종은 아니었다. 이번 조사에서 특히 국내 복숭아과원 토양에는 Paratylenchus elachistus가 널리 분포하고 있었으며, 반면 외국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뿌리혹선충류는 발견되지 많았다.

Extended shelf-life of 'Kumhong' nectarine and 'Madoka' peach fruits by treating the trees with calcium compounds and chitosan

  • Lee, Guk-Jin;Lee, Dan-Bi;Kim, Sung-Jong;Choi, Seong-Jin;Yun, Hae-Ke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737-754
    • /
    • 2019
  • Peaches have soft tissues compared to other fruits and are vulnerable to softness, wounds, and loss of marketability due to the weak fruit hardness after harve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to improve the shelf-life of the fruit to expand the distribution of peaches. Calcium compounds and chitosan have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shelf-life of fruit by maintaining the hardness and reducing the respiration rate in peach fruits. In this study, to select useful compounds to improve the shelf-life of peaches, calcium citrate, calcium chloride, calcium nitrate, GH-Ca, OS-Ca, chitosan, and chitosan dissolved in calcium chloride were sprayed onto peach tre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rvested fruits were investigated after the 'Kumhong' and 'Madoka' peach tree treatments. The hardness of the fruit was kept the highest with the combined treatment and remained high with the calcium citrate, chitosan and calcium nitrate treatments. Ethylene production and respiration were effectively inhibited by the GH-Ca and chitosan treatm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luble solids content and acidity among the fruits treated with the chemicals. The coloration of the fruit skin was not delayed by the calcium and chitosan chemical treatments. Calcium compounds were increased in the fruits and leaves of the peach trees treated with the chemicals compared to the untreated on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lcium treatment extended the shelf-life by increasing the calcium content in the leaves and fruits of the peach trees.

복숭아나무에서 검출된 Apricot pseudo-chlorotic leaf spot virus의 국내 첫 보고 (First Report of Apricot pseudo-chlorotic leaf spot virus Infecting Peach Trees in South Korea)

  • 박상민;서은철;김산영;박원흠;이수헌
    • 식물병연구
    • /
    • 제23권1호
    • /
    • pp.75-81
    • /
    • 2017
  • 2016년 5월, 우리나라 복숭아의 주요산지인 경북 영천 지역에서 퇴록, 괴저반점, 엽맥퇴록, 황화와 같은 바이러스 병징과 이상증상을 보이는 복숭아 잎 24점을 채집하였다. 이 시료들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RT-PCR 진단법을 이용하여 진단하였다. 진단 대상은 검역 병원체로 지정된 바이러스 또는 바이로이드를 중심으로, 국내외 연구를 참고하여 국내 발생가능성이 높거나 발생 시 위험도가 높은 종 17종이다. 진단결과, 국내에서 보고된 적이 없는 바이러스 1종(Apricot pseudo-chlorotic leaf spot virus, APCLSV)과 검역 바이로이드 1종(Peach latent mosaic viroid, PLMVd)을 포함하여, 총 7종의 바이러스와 바이로이드가 검출되었다. 바이러스를 동정하기 위해, RT-PCR 산물을 sequencing 하여 확인하였다. 또, 국내 미보고 종인 APCLSV가 검출된 시료를 이용하여 APCLSV의 외피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는 염기서열을 증폭하여 결정하였다. 결정된 염기서열은 기 보고된 APCLSV 분리주와 97%의 상동성을 보였다. 이 외피단백질 염기서열을 Trichovirus속 바이러스들과 비교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APCLSV임을 확인하였다. 동정된 APCLSV를 Yeongcheon 분리주로 명명하고 결정된 외피단백질 염기서열은 NCBI GenBank에 등록하였다. APCLSV의 발생 양상을 보면, APCLSV가 검출된 시료들은 모두 Apple chlorotic leaf spot virus (ACLSV)가 복합감염되어 있었으며, APCLSV는 ACLSV와 유전학적 유연관계가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ACLSV의 특성에 비추어 볼 때, APCLSV는 국내 과수 농가에 널리 퍼질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추후 국내 농가에 미칠 영향 등에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감나무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의 발생실태 (Epidemiology of the Crown Gall (Agrobacterium tumefaciens) of Persimmon Tree)

  • 김승한;임양숙;최성용;김동근;최성국;윤재탁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227-230
    • /
    • 2004
  • Occurrence and epidemiology of crown gall caused by A. tumefaciens in persimmon tree was investigated. Persimmon tree was more sensitive to crown gall disease than peach and jujube tree. Over 80% persimmon trees were infected to crown gall in all investigated region with no relation to planted years. Yield of infected tree was severely decreased to 54%. Incidence of crown gall in nursery field of persimmon tree was also severe and the infection rate of persimmon seedlings collected from market was 34%. It was guessed that the primary inoculum of crown gall caused by A. tumefaciens is infected persimmon seedl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