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b group

검색결과 431건 처리시간 0.031초

철보충이 납중독된 흰쥐의 ${\delta}-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 활성과 해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Irons Supplementation on ${\delta}-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 Activity and Detoxification of the Pb-administered Rats)

  • 이정숙;조수열;김영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12
    • /
    • 1994
  • 철보충이 납종독된 흰쥐의 체내 무기질 함량과 DALAD activity 및 해독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흰쥐에게 납 2,000ppm을 함유한 식수를 제한없이 주면서, 철분 100ppm, 500ppm을 보충한 식이로 5주동안 사육하여 얻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은 납급여군이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철보충납급여군은 납단독급여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과 심장의 무게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신장은 납급여군이 대조군보다 증가를 보였다. 비장은 납단독급여군에서만 증가를 보였고, 철보충납급여군에서는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헤마토크릿치는 철보충납급여군에서는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납단독급여군은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DALAD activity는 혈액과 간 모두 납급여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납단독급여군보다 철보충납급여군이 높게 나타났고, 철보충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혈청과 간의 amino-transferase activity는 철보충납급여군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납단독급여군에서는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혈청 납함량은 납단독급여군과 철보충납급여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간의 납함량은 철보충납급여군이 납단독급여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혈청 철함량은 납급여군이 대조군보다 감소했으나, 간의 철함량은 납급여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철보충납급여군이 납단독급여군보다 증가를 보였다. 혈청과 간의 구리함량은 납단독급여군은 대조군과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철보충납급여군은 감소를 보였다.

  • PDF

식이 단백질 수준이 납중독된 흰쥐의 혈청 및 조직의 무기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I . 납, 철, 구리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Level on Pb, Fe, and Cu Level of the Tissue of the Pb-administered Rats)

  • 이정숙;조수열;김석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89-397
    • /
    • 1989
  • 납중독된 흰쥐의 무기질 축적과 식이 단백질 수준과의 관계를 관찰하기 위해 흰쥐에게 납 2,000ppm을 함유한 식수를 제한없이 주면서, 식이 단백질수준을 6%(저단백납급여군), 15(중단백납급여군), 40%(고단백납급여군)로 하여 각 3주, 7주동안 사육시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납급여군들의 체중 증가는 대조군에 비해 적었으나, 간, 신장, 비장, 뇌의 단위 체중당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Hematocrit치, hemoglobin 함량, RBC수는 납급여군들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식이내 단백 수준이 낮을 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청, 간의 단백질 함량은 저단백납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혈청, 간, 신장의 납 축적량은 저단백납급여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철의 함량은 혈청에서는 고단백납급여군이 높게 나타난 반면, 간에서는 저단백납급여군이 높게 나타났다. 구리의 함량은 혈청 내에서는 각 군 사이에 유의성이 없었고, 간에서는 저단백납급여군은 대조군과 비슷했으나, 고단백납급여군, 중단백납급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검정콩 추출물이 납과 카드뮴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of Black Soybean on Enzymes Activities of Serum in Rats Fed Pb and Cd Solution)

  • 한성희;신미경;김용욱;임세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3-197
    • /
    • 2000
  • The effects of black soybena extracts on enzymes activies of rat were evaluated in present study. Eighty-four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00$\pm$10g were divided into twelve groups which consisted of black soybean extract, Pb and Cd solution, and black soybean extract plus Pb or Cd soln groups. The weight gain was increased in black soybean extracts and Pb soln solution group but decreased in Cd soln solution group. The results obtained form the experiment were as follows: Glutamate pyruvate trasaminase (GPT) and glutamate oxaloacet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experimental groups. The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ies of black soybean extract administered groups were decreased than those of Pb and Cd solution group. Black soybean group increased cholinesterase (ChEase) activity as compared to administration of Pb and Cd soln group.

  • PDF

납에 노출된 흰쥐에서 Chlorella 섭취가 혈청내 지방성분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d Chlorella on the Change of Lipid Components and Enzyme Activity in Serum of Rat by Lead Exposure)

  • 김성조;백승화;이주돈;김운성;문광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8-144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lorella which effected the change of Pb contents, enzyme activity and lipid compounds on the rats fed the beverage involved Pb and the different contented Chlorella added-diets for 18weeks. The rat's weight of 200ppm Pb group was decreased 6.04% and the cause of that was Pb intake. But the rat's weight of Chlorella added-diets +200ppm Pb group was increased 4.02% (p<0.01). When feeding the different(0%, 2%, 5%, 10% ) Chlorella added-diets with the Pb contented beverage to the rats, we could know that the Pb contents accumulated on tissue were decreased to 20.70(0%), 12.88(2%), 14.83 (5%) and 19.56(10%), compared with the quantity of Pb taken in. Total-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content and AST, ALT, ALP, LDH enzyme activity in serum were the highest on 200ppm Pb group and those were decreased by the order of different(2%∼5% >10%) Chlorella contents + 200ppmPb group. A significance was recognized on the level of 1%. Therefore, when rats were exposed to Pb, it was thought that the amount of Chlorella intake was adequate on content 2∼5% for reducing the lead toxicity.

  • PDF

납투여한 흰쥐의 헴합성과 적혈구 중의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녹차, 감잎, 홍화 열수추출물의 영향 (Effect of Water Extract of Green tea, Persimmon Leaf and Safflower Seed on Heme Synthesis and Erythrocyt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Lead-Administered Rats)

  • 김명주;조수열;장주연;박지윤;박은미;이미경;김덕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91-196
    • /
    • 2003
  • 한국전통차로 알려진 녹차, 감잎 및 홍화의 열수추출물이 납투여된 흰쥐의 헴합성과 적혈구 중의 항산화효소 활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체중 kg당 25 mg의 납을 매주 1회 경구투여 하였다. 녹차잎, 감잎 및 홍화 열수추출물은 매일 일정시간에 체중 kg당 1.26 g 수준이 되도록 4주간 경구투여하여 사육한 결과 헤마토크릿치, 헤모글로빈 함량 및 적혈구 수는 납 단독투여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녹차, 감잎 및 홍화 열수추출물 급여로 감소 정도가 완화되었다. 혈액과 간조직 ALAD 중의 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납 단톡투여 군이 유의 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한국전통차 열수 추출물 급여시 활성이 정상 수준 가까이 회복되었는데 그 효능은 혈액학적 성상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장 중 AST, ALT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납 단독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각각의 열수추출물 급여시 납에 의한 활성 증가가 현저하게 억제되어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으며 한국전통차 종류에 따른 차이는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감잎과 홍화가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적혈구 중의 SOD와 CAT활성 및 GSH 함량은 납 단독투여시 유의적으로 증가되고 GSH-Px 활성은 감소된 반면, 녹차, 감잎 및 홍화 열수추출물 급여시 납으로 인한 적혈구의 항산화효소 활성변화가 완화되었다

전통음료 소재가 납투여한 흰쥐의 체내 무기질 함량 및 간과 신장조직의 헝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Tea Materials on Minerals Content and Histological Changes in Pb-Administered Rats)

  • 조수영;김명주;이미경;박은미;장주연;최정목;김덕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11-317
    • /
    • 2004
  • 전통음료의 소재로 애용되는 녹차, 감잎 홍화 및 두충의 열수추출물이 납투여된 흰쥐의 체내 무기질 함량 및 간과 신장조직의 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체중kg당25mg의 납을 매주 1회 경구투여하였다. 녹차잎, 감잎, 홍화씨 및 두충수피의 열수추출물은 매일 일정시간에 체중 kg당 1.26 g수준이 되도록 4주간 경구투여하였다. 전통음료 소재의 열수추출물 급여시 납투여로 인한 혈청과 간조직의 납축적 억제와 혈청 중의 철과 구리 함량 증가에 효과적인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납투여시 혈청 중 포도당과 알부민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크레아티닌과 빌리루빈 할량은 유의 적으로 증가되었다. 반면, 실험식이 급여시 이들 혈청 중 성분함량의 회복을 보였다. 또한 간조직 및 신장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는 납단독투여군에서 괴사성 소견 및 염증세포의 출현이 관찰되었으나 전통음료 소재의 열수추출물 급여시 조직학적 변화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내 섬유질의 종류가 성장기 흰쥐의 납 흡수 및 체내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iber on lead absorption and metabolic changes in growing rats)

  • 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2권6호
    • /
    • pp.485-496
    • /
    • 198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nutritional effect of various dietary fibers on lead absorption and metabolism of protein and lipid in growing rats. Forty eight male rats of Sprague-Dawley strain weighing 75.7$\pm$0.7g were blocked into six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ht and fed six kinds of diet different with fiber source(non-fiber, cellulose, pectin) and lead level(0%, 1% ) for 4 weeks.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Food intake, weight gain, FER and PER were remarkably decreased in lead(Pb) added groups, and FER and PER in Pb-added pectin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Pb-added non-fiber group. 2) Weight of liver, kidney and epididymal fat pad, bone weight and length, hematocrit, and hemoglobin content were decreased in Pb-added groups. 3) Total protein content in serum was tended to be decreased in Pb-added groups, but total lipid and cholesterol contents in serum were not different with dietary Pb level and fiber source. 4) Nitrogen, lipid and cholesterol content in liver were tended to be deceased in Pb-added groups, and especially those of the Pb-added pectin group were the lowest among groups. 5) Daily urinary and fecal excretions of nitrogen, lipid and cholesterol were decreased in Pb-added groups. Especially fecal excretions of nitrogen, lipid and cholesterol in Pb-free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dietary cellulose and pectin. 6) Pb content in bloo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b-added pecti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ecrease in Pb contents of liver, kidney and tibia, and increase in excretion of Pb by feeding dietary fibers. In conculsion, dietary fibers had no effect on the absorption of Pb, and dietary pectin seemed to increase Pb poisoning by decreasing bioavailibility of protein, lipid and other nutrients in the diet.

  • PDF

수유기동안 납 투여가 성숙 쥐의 불안감 관련 행동양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ad Exposure During Lactational Period on Anxiety in Rat Using Elevated Plus Maze Test)

  • 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79-986
    • /
    • 2005
  • 수유기 동안 납의 투여는 급격한 체중의 변화를 유발하여 3주령 및 11주령 쥐의 경우 납을 투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50% 및 26% 체중 감소를 보였으나 뇌의 무게에는 유의적 변화를 관찰 할 수 없었다. 납 투여는 뇌 지방산 조성 변화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특히 AA와 DPAn-6와 같은 고도의 불포화 지방산 함량의 증가를 유발하였다. Motor ac-tivity 실험에서 납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주어진 시간 내에서 움직이는 시간과 움직인 거리가 긴 것으로 보아 운동 활동성이 큰 것으로 여겨지나 두 군 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Elevated plus maze 실험에서 실험 1일째의 경우 open arm에 머무른 시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2일째에는 두 군에서 현저히 open arm에 머무른 시간이 감소하였으며 납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머무른 시간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Open arm에 들어가는 횟수를 관찰한 결과, 실험 1일째의 경우 open arm에 들어가는 횟수가 납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적었고 2일째에는 두 군에서 모두 open arm에 들어가는 횟수가 감소하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납을 투여한 쥐의 경우가 유의적으로 낮은 횟수로 open arm에 들어갔음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수유기 동안의 납 투여는 성숙 동물의 불안감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수용액에서 입자크기에 따른 미세플라스틱의 Pb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Pb by various particle sizes of microplastics in aqueous solution)

  • 하태정;양민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149-149
    • /
    • 2023
  • 미세플라스틱은 입자크기가 5 mm 이하인 플라스틱으로 정의되며, 수계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작용하여 생태계에 환경독성을 유발하고 오염물질을 흡착·운반할 수 있는 독성 물질의 매개체로서 미세플라스틱의 위해성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용액에서 다양한 미세플라스틱의 납(Pb) 흡착특성을 평가하고 미세플라스틱의 비표면적에 따른 흡착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플라스틱 종류 중 HDPE (High-density Polyethylene)와 PVC (Polyvinyl Chloride)를 각각 세 가지 크기(Group 1: 2.5 mm - 1.0 mm, Group 2: 1.0 mm - 0.3 mm, Group 3: < 0.3 mm)로 제조하여 분류하였으며, 미세플라스틱 입자크기의 비표면적은 BET(Brunauer, Emmett, Teller)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담수환경 조성을 위해 pH 7로 조절한 Pb 용액의 농도(0, 0.5, 1, 5, 10, 30 mg/L)별 흡착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를 3가지 흡착등온식(Langmuir, Freundlich, Sips 모델)을 사용하여 미세플라스틱에서 Pb 흡착 거동을 나타내었다. BET 분석 측정결과, PVC의 경우 Group 3 > Group 2 > Group 1 순으로 PVC의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비표면적이 크게 나타났으며, HDPE 비표면적 또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HDPE와 PVC에서 Pb의 흡착은 Langmuir 모델(R2 > 0.97)과 Freundlich 모델(R2 > 0.82)보다 Sips 모델(R2 > 0.98)이 흡착 거동을 설명하기에 가장 적합하였다. 최대흡착능(Qm) 상수는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흡착능이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으며, 흡착세기(KF)와 흡착강도(n-1)는 각 플라스틱의 Group 3(HDPE KF = 0.028, PVC KF = 0.032; HDPE n-1 = 0.225, PVC n-1 = 0.547)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HDPE와 PVC에서 Pb의 흡착특성은 Sips모델로 설명이 가능했으며, 이에 따라 Pb 흡착과정에 복수의 흡착메커니즘이 작용하고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었다. 미세플라스틱의 입자크기와 비표면적이 Pb 흡착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미세플라스틱이 중금속을 흡착하여 생물체 내로 전이시킬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Effects of Phenobarbital Pretreatment on Ethyl Carbamate-induced Embryotoxicity in Rats

  • Chung, Moon-Koo;Jiang, Cheng-Zhe;Kim, Jong-Choon;Yun, Hyo-In;Han, Sang-Seop;Roh, Jung-Ko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3권1_2호
    • /
    • pp.95-101
    • /
    • 1997
  • Ethyl carbamate (EC) is a potent teratogen in rodents and is present at low concentration in fermented foods and alcohol beverages. It has been well hypothesized that some metabolic products are responsible for the teratogenic effects of the compound.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phenobarbital (PB) on EC-induced embryotoxicity were investigated in SD rats. Six groups were constructed: EC 300 (EC 300 mg/kg/day), EC 600 (EC 600 mg/kg/day), EC 600+PB (EC 600 mg/kg/day and PB 80 mg/kg/day), PB (PB 80 mg/kg/day), DR (dietary restriction, 8 g/day/rat) and a control group. Rats of the EC 600+PB group were pretreated with phenobarbital intraperitoneally for three days to induce cytochrome P450 enzymes, followed by oral administration of EC for two consecutive days. The incidence of fetal deaths in the EC 600+PB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C 600 group(42.7 vs. 14.3%). The incidence of fetal realformations in the EC 600+PB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C 600 group (external; 7.0 vs. 4.1%, visceral; 31.4 vs. 11.3%, skeletal; 11.1 vs. 6.5%). There was no embryotoxicity in the control, EC 300, PB and DR group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retreatment with phenobarbital augments EC-induced embryotoxicity in rats, indicating an evidence that metabolic activation by cytochrome P450 may be the major pathway of EC to its embryotoxic for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