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recognize dental health care employees'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activities. Method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ncludes the dental health care employees from 11 different dental hospitals in the nation, dental offices in the 6 different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4 different private dental offices in 2014.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85 dental health care employees from March 17 to April 3, 2014.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used in the analysis. Results: First, the dental health employees'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was 3.25 on average. The extent of patient safety activities was 2.75. The behavior of the supervisor/manager and the adequate explan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r=0.213 (p<0.001).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the preventative inspection of the medical equipmen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r=-0.258 (p<0.001), and especially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 infection control exercise showed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r=0.293, p<0.001). Second, hospital environment factor of patient safety perceptions positively were related to most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fter controlling several covariates.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most of the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s positively were correlated with patient safety activities. We also found that proper hospital environment, simple communication process, and positive perceptions for patient safety level were more likely to perform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fter controlling several covariates. Improving the patient safety perceptions of dental hospital workers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실간호사의 수술환자 안전관리수준, 안전사고유형, 및 수술환자 안전관리에 대한 중요성인지도와 실천이행도를 파악하고 수술환자 안전관리 중요성인지도와 실천이행도의 관계를 분석하여 실천이행도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191명의 수술실간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paired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수술실 간호사들은 수술환자 안전관리수준을 중등도(6.3)로 평가하였으며 수술환자 안전사고는 환자손상(39.8%), 계수(18.4%), 감염관리(17.5%) 영역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수술실간호사의 수술환자 안전관리에 대한 실천이행도는 중요성인지도 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t=18.01, P<.001) 중요성인지도와 실천이행도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56, p<.001). 안전교육경험, 동료수술간호사의 사고경험, 직위, 병원경력이 수술환자안전관리 실천이행도의 유의한 설명변수(13.9%)로 규명되었다(F=8.407, P<.001). 그러므로 각 병원은 수술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을 제공하고, 안전관리지침서를 준수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지원을 하며 안전관리에 대한 개방적 의사소통을 활성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환자안전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환자안전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의료계의 환자안전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융합되어 많은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다양한 직종의 의료종사자들의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고 유용한 지표로 활용되고자 시도하였다. 의료종사자 총 180명을 대상으로 부서(병동) 및 병원의 환자안전 문화 인식, 직속상관/관리자, 의사소통과 절차, 환자안전 사건보고, 가장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환자안전 사고에 관해 평가한 결과, 부서(병동)의 환자안전 문화 인식 영역은 보건직, 직속상관/관리자 영역은 간호직이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방사선사와 물리치료사는 낙상, 임상병리사와 간호사는 검사 전 중 후 오류를 가장 위험한 환자안전 사고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환자안전 문화 인식을 높이기 위해 경영진 및 실무자는 적절한 인력 확보, 직원 간 또는 부서 간 협조 시스템 및 안전관리 활동에 필요한 동기 부여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erformance for safety nursing activities at rehabilitation hospitals. Methods: This study applied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Participants were 194 nurses who have provided nursing services for more than 6 months at 4 rehabilitation hospital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nursing activity.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hospital work environment, experience of education, hospital climate, frequency of reported events, and marital statu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afety nursing activity. Overall, approximately 23.1% of total variability in the safety nursing activity could be explained by the 5 variables ($R^2=0.231$, p<.005). Conclusion: Nurses at rehabilitation hospitals are relatively positive about patient safety culture.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safety education programs at the level of organization in order to improve patient safety through performing effective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addition to increas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nurses. Furthermore, we need hospital's strategies at the system level for open communication and outcome reports regarding patient safet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atient safety awareness and emergency response ability and affecting factors perceived by nursing homes and home visiting caregivers.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hat conveniently extracts nursing caregivers who care for elderly patients in S and G provinces, Korea. Data collection was done by structural questionnaires from April to May 2018. A total of 204 responses consisting of 103 nursing homes and 101 home visiting caregiver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 SPSS Win 22.0. Results: Patient safety awareness and emergency response ability of nursing homes caregivers with each $4.24{\pm}0.50$, $74.26{\pm}09.57$ was each higher than that of the home visiting caregivers with $3.68{\pm}0.49$, $68.02{\pm}12.12$ (p<.001). The affecting factors of the patient safety awareness were working place, safety education, and daily average working hours with 12 or more (F = 27.30, p<.001) and that of emergency response ability were number of patients per personnel with 9 or more and emergency situation experience (F=14.00, p<.00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afety education program that can share indirectly experience emergency situations that occur on the job site.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의 환자안전문화 정착을 위해 리더십 워크라운드(Leadership WalkrRounds, LWR)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후 의료직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정도를 비교한 것이다. 리더십 워크라운드는 미국 의료질향상 연구소(IHI)의 도구와 미시건 대학의 환자안전 라운드(Patient Safety Rounds, PSRs)를 기반으로 준비-일정계획-운영-보고-문제해결 5단계로 구성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0.9세, 방사선사가 55.2%, 간호사가 26.0%, 약무직이 18.8%였다. 중재 후 환자안전문화 인식 총점은 2.63점에서 3.36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약무직, 여자, 30대 및 근무경력 1년 이하 그룹에서 인식정도가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 환자안전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인식정도가 유의하게 상승했는데(p<.001), 특히 안전사고보고영역(p<.001), 의사소통영역(p<.001)이 가장 많이 상승하였다. 새로운 형태의 리더십과 환자안전관리 개념의 융합으로 의료 질관리에 새로운 관리방안을 시도한 리더십 워크라운드는 의료인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향상에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 임파원먼트, 표준주의지침 인지도 및 수행도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J시 소재 일 간호대학 재학생 185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8년 9월 10일에서 2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의 영향요인은 인지도, 임파워먼트, 환자안전행사 참여로 나타났으며 수행도를 51.0% 설명하였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의료관련감염 관리를 위한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지도를 높이고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융합적 교육프로그램의 적용과 환자안전행사에 간호대학생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descriptive correlation research in order to survey healthcare personnel(HCP)'s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recognition of standard precautions, an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Methods: The subjects were 400 HCPs including 80 doctors, 240 nurses, and 80 medical technicians from two general hospital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urvey consisted of 9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44 on th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21 on the recognition of standard precautions. Results: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aged over 40 than in those aged 30-39. In addition,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nagers than in practitioners, in those with work experience of less than a year than in those with 5-9 years. The score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orking 8 hours a day than in those working over 10 hour a day. The number of medical accident reports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larger in nurses than in doctors, in managers than in practitioners, and in those with 10 years' or longer experiences than in those with less than a year. In the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workers than in male workers, and in managers than in practitioners. As a whole, the subjects'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recognition of standard precaution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Conclusion: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sufficient work force and the promo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for safety is needed in order to guarantee patient safety. Likewi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perience, job skill, and adequate working hour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 recognition of standard precaution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trategies to enhance the competencies of patient safety coordinators in Korea. Methods: Fourteen participants from nine hospitals were interviewed between May and November 2022.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s for the strategies to enhance patient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3 themes and 11 sub-themes were derived. The first theme was 'Having individual competence as a patient safety coordinator', and the sub-themes were 'Communication skills with members', 'Flexible thinking from multiple perspectives', and 'Preparing for administrative work competencies that they had not experienced as a nurse.' The second theme was 'Responding strategically to promote improvement activities', and the sub-themes for it were 'Multi-angle approach to the problem', 'A careful approach so as not to be taken as criticism in the field',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activities through awareness', 'Activating the network between patient safety coordinators', and 'Expanding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patient safety case analysis.' The third theme was 'Obtaining support to facilitate patient safety activities', and the sub-themes for this were 'Improving staff awareness of patient safety', 'Providing a training course for nurse professional of patient safety', and 'Expanding the manpower allocation standard of patient safety coordinators.' Conclusion: This study explored personal competencies such as document writing and computer utilization capabilities, focused on ways to improve the field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emphasized the need for organizational and political support.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among resilience,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proactive behavior, and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among nurses work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dditionally, it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descriptive survey conducted between June 10 and July 9, 2023. The participants included 208 nurses work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dows software version 29.0, based on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analysis based on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 (t=2.10, p=.036), siz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F=7.46, p<.001), average number of patients treated per day while working in the past month (t=-3.88, p<.001) and standard precautions training experience (t=2.16, p=.032).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among nurses work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r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β=.62, p<.001), resilience (β=.18, p=.042), and age (β=-.15, p=.007), with a total explanatory power of approximately 46.0%.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rograms and an effective education system to increase resilience and awareness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among nurses work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