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cle explosion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16초

Study on Hazard of Toner Cartridge at Recycle Facilities

  • Koseki, Hiroshi;Iwata, Yusaku;Lim, Woo-Sub
    • International Journal of Safety
    • /
    • 제11권1호
    • /
    • pp.15-18
    • /
    • 2012
  • Because of development of printing technology, toner cartridge particle becomes smaller and more dangerous. And sometimes we had incidents with dust explosion of toner cartridge particle at recycling facilities in Japan. Therefore we studied on hazard of toner particle relating with dust explosion. We found that toner particle is so dangerous compared with most organic solids, even though it does not belong to hazardous materials in the UN regulation and the Japanese Fire Service Law.

발파해체현장에서 발생하는 순간분진의 입경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s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Building Blasting Demolition Sites)

  • 이경희;김효진;박찬규;고광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1-47
    • /
    • 2009
  • In building demolition work, major dust-generating activities are blasting concrete and rock.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haracteristic of particle size of dusts which were generated during building demolition work using explosion. The DustMate of the Turnkey-Instruments Ltd. was used for particulate size-selective sampling of the four sites. TSP(Total Suspended Particle), PM10(Particle Matter $10{\mu}m$), PM2.5(Particle Matter $2.5{\mu}m$), and PM1.0(Particle Matter $1.0{\mu}m$) were measured during building demolition work using explosion. The large particulate (higher than the diameter $10{\mu}m$) showed to be higher than 50%. The particulate ranged from $10{\mu}m\;to\;2.5{\mu}m$ showed about 30-40%. PM2.5 was not scarcely detected in the samples collected for building demolition work using explosion. We conclude that the dust generated during building demolition work using explosion has not most respirable particulate.

쌀겨 분진의 연소 및 폭발 위험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ombustion and Explosion Hazard of Rice Bran Dusts)

  • 이창우;현성호;이한철;허윤행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4호
    • /
    • pp.93-98
    • /
    • 1999
  • We had investigated combustion properties of rice bran dusts. Decomposition of rice bran dusts with temperature were investigated using DSC and the weight loss according to temperature using TGA in order to find the thermal hazard of rice bran dusts, and the properties of dust explosion in variation of their dust with the same particle size. Using Hartman's dust explosion apparatus which estimate dust explosion by electric ignition after making dust disperse by compressed air, dust explosion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by varying concentration and size of rice bran dust.According to the results for thermodynamic stability of rice bran dust, there are little change of initiation temperature of heat generation and heating value for used particle size. But initiation temperature of heat generation decreased with high heating rate whereas decomposition heat increased with particle size. Average maximum explosion pressure was $10kgf/cm^2$ for 60/70 mesh and $1.5mg/cm^2$ dust concentration.

  • PDF

알루미늄 분진의 평균입경 변화에 따른 폭발위험성 (Explosion Hazards of Aluminum Powders with the Variation of Mean Diameter)

  • 한우섭;한인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1-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분말의 입자 크기에 따른 폭발특성을 20 L 분진폭발실험장치(K$\ddot{u}$hner제작)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사용한 시료는 각각 16, 33, $88{\mu}m$의 체적기준 평균입경을 갖는 알루미늄 입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분진의 평균입경이 16, 33, $88{\mu}m$에서 폭발하한농도는 각각 40, 60, $125g/m^3$로서 분진의 입경이 증가하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각각의 알루미늄 분진에서 입자 크기의 증가는 폭발압력 및 분진폭발지수($K_{st}$)의 감소로 이어졌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알루미늄 분말의 활용 및 안전 운전을 위한 중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마그네슘의 폭발특성에 미치는 평균입경의 영향 (Effect of Mean Diameter on the Explosion Characteristic of Magnesium Dusts)

  • 한우섭;이수희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3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마그네슘(Mg)분진의 폭발특성에 미치는 평균 입경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L분진 폭발시험장치와 10 kJ의 에너지를 갖는 화학 점화기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Mg분진은 평균입경이 서로 다른 3가지 시료(38, 142, $567{\mu}m$)를 대상으로 분진농도를 $2250g/m^3$까지 조사하였다. Mg분진의 폭발하한농도(LEL)는 평균입경 38, $142{\mu}m$에 있어서 각각 30, $40g/m^3$ 이 얻어졌다. LEL은 입경 증가에 의해 감소 경향을 나타냈는데 Mg분진은 입경이 증가할수록 폭발 확률이 감소함을 의미한다. 최대폭발압력($P_m$)과 폭발지수($K_{st}$)는 입경이 증가하면 감소하였지만, 평균입경 $567{\mu}m$의 Mg분진의 경우에는 5 kJ의 착화에너지에서는 폭발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디옥틸테레프탈산 제조공정에서 분진폭발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Dust Explosion in Dioctyl Terephthalic Acid Manufacturing Process)

  • 이창진;김래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6호
    • /
    • pp.790-803
    • /
    • 2019
  • 디옥틸테레프탈산(DOTP) 제조공정은 분말형태의 테레프탈산(PTA) 주원료와 옥탄올(Octanol)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플라스틱 가소제를 생산하는 공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공정의 반응기 내에 가연성 용제나 유증기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분말형태로 맨홀에 직접 투입하는 테레프탈산의 분진폭발 특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분진의 입경과 입도분포 분진특성 실험을 하였고, 화재 폭발특성과 발화온도를 추정하기 위한 분진의 열분해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폭발민감도를 평가하기 위한 최소점화에너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테레프탈산의 분체 특성은 평균입경이 $143.433{\mu}m$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입경과 입도분포 조건에서 실시한 열분석으로부터 분진의 발화온도는 약 $253^{\circ}C$로 나타났다. 테레프탈산의 폭발민감도를 알기 위해 조사한 폭발하한 농도(LEL)는 $50g/m^3$으로 측정되었다. 폭발민감도를 나타내는 최소점화에너지(MIE)는 (10 < MIE < 300) mJ로 나타났으며, 점화 확률에 기반하여 추산한 최소점화에너지 추정값(Es)은 210 mJ로서 충분한 점화원이 있는 경우 폭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폭발피해 예측에 필요한 폭발강도 특성을 조사한 결과, 테레프탈산 분진의 최대폭발압력($P_{max}$), 최대폭발압력상승속도[$({\frac{dP}{dt}})_{max}$]는 각각 7.1 bar, 511 bar/s로 나타났다. 분진폭발지수(Kst)는 139 mbar/s로 분진폭발등급 St 1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Gas-liquid interface treatment in underwater explosion problem using moving least squares-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s

  • Hashimoto, Gaku;Noguchi, Hirohisa
    • Interaction and multiscale mechanics
    • /
    • 제1권2호
    • /
    • pp.251-278
    • /
    • 2008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discontinuous-derivative treatment at the gas-liquid interface in underwater explosion (UNDEX) problems by using the Moving Least Squares-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s (MLS-SPH) method, which is known as one of the particle methods suitable for problems where large deformation and inhomogeneity occur in the whole domain. Because the numerical oscillation of pressure arises from derivative discontinuity in the UNDEX analysis using the standard SPH method, the MLS shape function with Discontinuous-derivative Basis Function (DBF) that is able to represent the derivative discontinuity of field function is utilized in the MLS-SPH formulation in order to suppress the nonphysical pressure oscill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MLS-SPH with DBF is demonstrated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SPH and conventional MLS-SPH though a shock tube problem and benchmark standard problems of UNDEX of a trinitrotoluene (TNT) charge.

액중 전기선 폭발 공정을 이용한 Pt/alloy 하이브리드 나노입자의 제조 및 그 특성 (Synthesis of Pt/alloy Nanoparticles by Electrical Wire Explosion in Liquid Media and its Characteristics)

  • 구혜영;윤중열;양상선;이혜문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3-88
    • /
    • 2012
  • The electrical wire explosion process in liquid media is promising for nano-sized metal and/or alloy particles. The hybrid Pt/Fe-Cr-Al and Pt/Ni-Cr-Fe nanoparticles for exhaust emission control system are synthesized by electrical wire explosion process in liquid media. The alloy powders have spherical shape and nanometer size. According to the wire component, while Pt/Fe-Cr-Al nanoparticles are shown the well dispersed Pt on the Fe-Cr-Al core particle, Pt/Ni-Cr-Fe nanoparticles are shown the partially separated Pt on the Ni-Cr-Fe core particle. Morphologies and component of two kinds of hybrid nano catalyst particles were characteriz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analysis.

목재 부유분진의 폭발 위험성 평가 (Hazard Assessment of Explosion in Suspended Dust of Wood)

  • 이근원;이수희;한우섭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81-86
    • /
    • 2013
  • 분진폭발은 플라스틱류, 제약, 목재, 곡물 저장고, 고체연료 및 화학약품의 제조와 같은 다양한 산업에서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목재를 재활용하여 Particle board를 생산하는 공정의 사이로 분진, 함머밀 분진 및 뉴송 분진을 선택하여 분진폭발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은 20 L 구형 폭발용기를 이용하여 목재 부유분진의 최대폭발압력, 분진폭발지수, 폭발한하계, 및 최소 점화에너지를 측정하고, 평가하였다. 이들 연구결과는 Particle board를 생산하는 제조공정의 화재 폭발사고 예방을 위한 공정안전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점화에너지 변화에 따른 쌀겨분진의 폭발 거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Explosion Behavior of Air-born Rice Bran Dusts according to Ignition Energy)

  • 김정환;김현우;현성호;백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6-32
    • /
    • 1999
  • 쌀겨분진의 연소 및 전기적 점화에너지에 의한 폭발 위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차주사열량계(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및 열중량 분석기(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와 순간승압조정기를 이용하여 온도 및 전기 스파크에 따른 발열개시온도, 발열량 등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Hartman 식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쌀겨분진의 폭발 위험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DSC 분석 결과 대기 분위기에서 발열량이 증가하였으며 또한 승온속도가 증가하고 입도가 미세해질수록 발열량이 증가하였고, TGA 분석 결과 입도가 미세해질수록 분해량이 증가하였다. 한편 쌀겨분진의 폭발 위험성은 입도가 감소하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또한 전기적 점화에너지가 클수록 폭발압력이 증가하였으며, 전기 점화원에 인가된 전압변화에 따른 폭발압력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50/60 mesh, 1.5mg/㎤에서 약 13.5kgf/$\textrm{cm}^2$의 최대 폭발압력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