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cipatory action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3초

<사례보고> 농작업 환경개선을 위한 한국형 참여형 개선활동 교육(PAOT)의 개발과 실제 적용 사례 (<Field action repor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PAOT) for Improvement of Agricultural Working Environment in Korea)

  • 김진석;우극현;민영선;김보균;최경숙;박기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4호
    • /
    • pp.417-427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형 농업인 참여형 개선활동 기법(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 PAOT)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더 많은 지역으로 이 프로그램이 확산되는 데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진은 농작업 환경 체크리스트를 노지, 과수, 시설, 축산, 복합농 등의 5개 범주로 구분하여 실제 우리나라 농작업 현장에 적합한 것으로 개발하였다. 체크리스트는 농작물 운반과 보관, 작업대와 연장 도구, 안전한 농기계 사용, 농작업 환경관리, 휴식과 일의 분담, 기초안전관리 등 6개의 대분류에 38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각 대분류별로 4-7개의 문항으로 구성이 된다. 또한 체크리스트와 교육에 포함할 모범사례들은 연구진이 직접 촬영한 사진과 외국의 사례를 참고로 하여 삽화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제작한 삽화로 구성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교재를 바탕으로 한국형 PAOT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경상북도의 4개 농촌 마을의 농업인 94명을 대상으로 2007년 7월에서 2008년 10월까지 4회의 참여형 농작업환경 개선교육을 수행하였다. 교육이 종료 3개월 후 연구진들이 직접 참여 농업인들의 농가를 방문하여 농업인들의 개선계획 실천여부를 확인하였고,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되는 "개선성과 중간 평가회"를 개최하여 개별 마을민들의 개선 성과를 전체 참가자들이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전체 대상자 307명(남자 142명, 여자 165명)중 남자 59(41.5%)명, 여자 35(21.2%)명 등 총 94(30.6%)명이 PAOT 교육에 참가하였다. 전체 교육의 진행시간에 대한 적절성에서는 94.8%가 '만족한다' 이상으로 응답하였고, 교육의 전반적인 내용에는 98.9%가 '만족한다' 이상으로 응답하였고, 농작업 체크리스트 실습에는 100.0%가 '만족한다'고 응답하는 등 만족도 조사 문항 모두 90% 이상에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농작업 환경 개선을 위한 PAOT 기법은 자발적이면서 지속적으로 농업인의 안전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향후 보다 객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더 많은 실제적인 적용 경험을 축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 지원 실천 방안 모색을 위한 사회복지사 참여실행연구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f Social Workers on the Practice Methods for Single Parents Self-help Group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 양혜원;김희수;최정숙;김선화;김은경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61호
    • /
    • pp.93-13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복지관에 기반한 한부모 자조집단의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고 그 과정을 통하여 사회복지사의 자조집단 지원 실천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참여실행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자조집단이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자립과 역량강화에 유용한 실천방법이지만 구체적 실천방안은 부재하다는 문제인식을 공유한 사회복지사와 교수자 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10회기의 연구모임에서 논문 숙독, 개별 자조집단 분석, 관련 사례 연구, 퍼실리테이션 학습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더불어 매 회기마다 각 집단별 진행사항을 공유하고이후 적용점과 계획 등을 논의하는 동료 수퍼비전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습하고 논의한 바를 집단에 적용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성찰하면서 다시 논의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각 집단별로 집단의 목표나 비전이 명료해지고, 담당자에 대한 의존이 감소하면서 회원 주도성이 증진되었으며, 회원 간 친밀감, 상부상조, 집단에 대한 애착이 강화되는등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논의된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주도성 및 역량강화, 응집력, 리더십, 탈정형화 등 네 주제에서 17가지 실천방안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저소득 한부모 자조집단을 위한 보다 현실적인 실천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공동생성적 대화와 현장연구를 통한 초임교사와 다양한 학습자의 과학 교수학습 증진 (Improving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for New Teachers and Diverse Learners Using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nd Cogenerative Dialogue)

  • 박창미;마틴 산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97-112
    • /
    • 2018
  • Conducted within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of action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a beginning science teacher in a Korean elementary classroom engaged in collaborative research with her own students to resolve problems preventing effectiv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Specifically, this study uses cogenerative dialogu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o develop new teachers' knowledge of how to manage the classroom to be able to more effectively implement inquiry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knowledge of students as learners. Findings from this research suggest that by involving students in cogenerative dialogues, beginning teachers are provided with valuable insights into how elementary students think about school, science, and teaching and learning, which can help expand a beginning teacher's capacity to be an effective science teacher of science for all learners, especially diverse learn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 education programs could better support beginning teachers by placing greater emphasis on how to conduct action research, including how to implement cogenerative dialogues to catalyze positive changes in their own classrooms. We conclude by discussing the important implications this research has for supporting new teachers struggle to effectively teach science and who would benefit from using strategies to foster improved relationships with their students and improved understanding about the challenges faced by diverse learners in their classroom.

The Outcomes of an e-Wellness Program for Lupus Patients in Thailand: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pproach

  • Nop T. Ratanasiripong;Steven Cahill;Christine Crane;Paul Ratanasiripo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6권2호
    • /
    • pp.154-163
    • /
    • 2023
  • Objectives: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or lupus patients usually experience various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llenges. Since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these challenges have become even harsher. Using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pproach, this study evaluated how an e-wellness program (eWP) impacted SLE-related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mong lupus patients in Thailand. Methods: A 1-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tudy was conducted among a purposive sample of lupus patients who were members of Thai SLE Foundation. The 2 main intervention components were: (1) online social support, and (2) lifestyle and stress management workshops. Sixty-eight participants completed all the study requirements, including the Physical and Psychosocial Health Assessment questionnaire. Results: After being in the eWP for 3 months, participants' mean score for SLE-related knowledge increased significantly (t=5.3, p<0.001). The increase in sleep hou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Z=-3.1, p<0.01), with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who slept less than 7 hours decreasing from 52.9% to 29.0%.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reporting sun exposure decreased from 17.7% to 8.8%. The participants also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stress (t(66)=-4.4, p<0.001) and anxiety (t(67)=-2.9, p=0.005). The post-eWP quality of life scores for the pain, planning, intimate relationship, burden to others, emotional health, and fatigue domains also improved significantly (p<0.05). Conclusions: The overall outcomes showed promising results of improved self-care knowledge, health behaviors, mental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It is recommended that the SLE Foundation continues to use the eWP model to help the lupus patient community.

Long-Term Biodiversity Research Programme for Mindanao, Philippines

  • Amoroso, Victor B.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2호
    • /
    • pp.141-147
    • /
    • 2000
  • The Long-Term Biodiversity Research Programme (LTBRP) for Mindanao is envisioned to be a collaborative programme of the Philippines. It will be a programmatic research on biodiversity - its status, threats. an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he chosen research site is Mt. Malindang in Misamis Occidental of Mindanao. The BRP will support a set of research projects that will generate knowledge on biological and ecological, socio-economic. cultural and policy aspects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It will also enable researchers to develop and try new methods for research on these aspects, separately or crossing boundaries of academic disciplines. Moreover. the BRP will implement support programmes which will provide the linkages of research activities to development issues and needs in the research site. The support programmes will also draw from the research projects, the knowledge that can be lent or immediately available to policy and programme formulation. The support programmes will comprise: human resource development or capability-building; information, education and communication; database; networking; community organizing: and development action. The BRP will be undertaken by a group of academie and research institutions from the Philippines, in partnership with their respective government entities and local government units in Mindanao. The Biodiversity Research Programme (BRP) will comprise a set of research projects to be undertaken by small research teams in the site. Researchable areas have been identified initially through the National Biodiversity Research Agenda. and later enriched in the Participatory Rural Appraisal (PRA) Analysis workshops by the Mindanao researchers and Philippine resource persons. Results of the PRA are presented in the paper.

  • PDF

상황중심의 문제해결모형을 적용한 수학 수업의 실행연구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n the developing and applying mathematical situation based problem solving instruction model)

  • 김남균;박영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429-459
    • /
    • 2009
  • 실행연구는 연구자가 문제의식을 가지고 실제를 개선하고 자신의 전문적 지식을 향상시켜 나가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학교와 가정에서 수학을 많이 접함에도 불구하고 수학적 문제해결력이 낮고 실생활에 적용시키는 수학적 이해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인식한 교사가 학생들의 수학적 이해력을 높이고 교사 자신의 수학 교수법을 계발하려 데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를 실행한 교사는 수학적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문제 상황을 학생들 스스로가 잦아보게 하여 수학을 실생활에 적용할 줄 알고 수학과 친숙해지도록 하는 수학적 이해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상황중심의 문제해결 모형을 고안하였다. 본문에서는 교사가 연구자가 되어 학생들의 이해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개발한 상황중심의 수업 모형을 설명하고, 이를 적용하는 과정과 수업의 반성을 통해서 얻은 연구자의 성찰적 지식을 정리하였다.

  • PDF

게이머 이슈 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미디어 출처, 시정 행동과 태도 정보의 역할을 중심으로 (Analyzing Predictors of Gamer Issue Participation: Focused on the Role of Media Source, Corrective Action, and Attitudinal Information)

  • 정창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87-197
    • /
    • 2022
  •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국내 게이머를 대상으로 게임 장르, 이념의 차이가 존재하는 뉴스 미디어, 미디어 매체에 따른 게임 관련 정보 출처가 게이머 이슈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위계적 회귀 분석으로 검증했다 (N= 1,362). 연구 결과 특정 장르의 게임 플레이가 게이머 이슈 참여에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진보·중도 언론에 보도된 게임 규제 찬반에 대한 집단행동은 독자들의 동원 신호(mobilization cue)로 작용하고 게이머의 사회적 행동을 독려했다. 반면, 상위 조직 및 이익 집단을 정보 출처로 활용한 보수 언론은 현실 참여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게임 이슈에 관한 매스 미디어의 편향된 보도 행태는 게이머가 시정 행동(corrective action)을 통해 사회적, 정치적으로 행동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정치 이념, 게임 장르, 미디어 이용과 사회적 참여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데에 의의가 있다. 게임 규제 정책 제고와 게임 연구의 이론적, 개념적 확장의 필요성이 요구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성인 천식환자의 자가감시 연계 활동계획서 교육이 자가관리 이행, 지식, 증상조절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무작위대조시험설계 (Effects of Education about Action Plans according to Self-Monitoring on Self-Management Adherence, Knowledge, Symptom Control, and Quality of Life among Adult Asthma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최자윤;권영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13-623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education regarding action plans according to a self-monitoring program on self-management adherence, knowledge, symptom control,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mong adults with asthma. Methods: Thirty-four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intervention group and thirty-two to the control group in this study. A tailored 50-minute intervention based on the contents of self-monitoring and action plans developed by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was provided to the intervention group. Structured and well develop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the dependent variables.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ll gener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wo groups in the pre-test. In the post-te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elf-management adherence (t=4.41, p<.001), knowledge (t=2.26, p=.027), symptom control (t=-2.56, p=.013), and total HRQoL (t=2.14, p=.036) between the two groups,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only in the sub-domain of emotion (t=2.03, p=.047) in HRQoL.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action plans according to self-monitoring that enhance a participatory interaction in the treatment and care could help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asthma to engagead equately in self-care, to control their symptoms, and to improve their HRQoL. Further studies are still needed to identify longitudinal effects of this program.

배구: 견관절 손상과 재활 (Volleyball: Shoulder Injuries and Rehabilitation)

  • 문영래;한재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5권2호
    • /
    • pp.63-68
    • /
    • 2002
  • Volleyball has become one of the world's most popular participatory sports in recent years. There are many dynamic skills and movements needed to play the game. As a result, many acute and overuse injuries to the shoulder may occur. This article addresses the common injuries and rehabilitation recommendations for the shoulder injuries in the volleyball players. The glenohumeral instability, primary or secondary impingement, internal impingement, labral injuries, and suprascapular nerve lesions are common problems in volleyball players. A basic knowledge of the biomechanics and volleyball maneuvers (blocking, serving, and spiking) can help in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trainging and reha- bilitation protocols. Special emphasis must be placed on the knowledge of muscular patterns involved in serving and spiking, because they typically require a strenuous unilateral action of the dominant shoulder. It is therefore impera- tive to include adequate stretching and muscular training programme for the prevention, as well as for therapy, of shoulder pain in volleyball players.

공공기관의 경영혁신방향 (Directions of Public Institution Innovation in Participatory Government)

  • 박종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315-324
    • /
    • 2009
  • 핵심 사업에 독점적 지위를 보장받는 공기관은 비효율적인 경영의 소지가 많다 역대 정부는 공공기관의 혁신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했다. 참여정부는 기획예산처를 통해 공공기관의 혁신을 추진하였으며, 공공기관 경영혁신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즉, 혁신에 대한 공감대 형성 부족과 의식전환 미흡, 경영혁신을 위한 시스템 혁신과제보다는 점진적 과제추진, 다양한 성격의 공공기관에 대한 특성 고려 미흡, 평가제도의 중복과 평가지표의 추상적 설계 등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새 정부가 추진해야 할 과제는 다양하다. 즉, 획기적인 경영인식의 전환과 직원들의 자발적인 참여, 공공기관의 관리체계 개선, 공공기관의 과감한 영역조정, 경영평가제도의 개선, 내부경쟁 활성화 및 성과중심의 경영시스템 구축 등이다. 특히, 국민적 지지와 공감을 얻으면서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한 새 정부의 공공기관 혁신방향은 효과적인 실천전략과 실질적인 과제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