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al retention zon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2초

(U-Th)/He 연령측정법의 원리와 응용 ((U-Th)/He Dating: Principles and Applications)

  • 민경원
    • 암석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9-247
    • /
    • 2014
  • (U-Th)/He 연령측정법은 자연상에 존재하는 $^{238}U$, $^{235}U$$^{232}Th$이 붕괴할 때 알파 입자($^4He$ 원자)가 형성되는 현상을 이용한 연령측정법이다. 모 동위원소인 $^{238}U$, $^{235}U$$^{232}Th$과 붕괴산물인 $^4He$의 양을 측정하여 (U-Th)/He 연령을 구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4He$ 원자는 대부분의 지질학적 시료내에서 비교적 저온에서도 빠르게 확산되는데, 이는 $^4He$가 불활성 기체이고 다른 원소에 비해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사성 붕괴에 의한 $^4He$의 형성(ingrowth)과 확산에 의한 $^4He$의 방출(diffusive loss)이 지질학적 시간동안 어떻게 진행 되었느냐에 따라 현재 남아있는 $^4He$의 양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인회석내에서의 He 확산은 다른 광물에 비해 빨라서, 비교적 저온인 $80^{\circ}C$에서도 He이 빠르게 인회석 밖으로 방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연상의 온도조건이 약 $40^{\circ}C$ 이하로 떨어졌을 때 비로소 인회석내 He 확산이 충분히 느려져서 대부분의 He이 인회석내에 보존된다. 따라서 (U-Th)/He 연령은 시료가 $80-40^{\circ}C$를 통과한 시기를 지시한다. 자연상에서 이러한 온도범위에 해당하는 깊이를 "부분 보존대"(partial retention zone)의라 한다. 전통적으로 흔히 쓰이는 폐쇄온도(closure temperature)는 보통의 입자크기와 냉각속도에서, 인회석 경우 약 $60-70^{\circ}C$, 저어콘 및 티탄석의 경우 약 $200^{\circ}C$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인회석의 He 폐쇄온도는 다른 열역사 측정법에 비해 다소 낮기 때문에 비교적 최근의 열역사 또는 천부에서의 지각융기 현상을 기술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산림 저습지의 생태적 특성분석 및 관리방안 - 경상북도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 (Management and Analysis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wamp in Forest - Focused on Southern Parts of Gyeongsangbuk-do -)

  • 유주한;나정화;정성관;조현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5-86
    • /
    • 2008
  • The wetlands have functions those were retention of diverse biota, purification of water quality, control of climate and flood, eco-tourism and supply of agricultural water, and that was the ecosystem of high biodiversity as the zone of transition between inland and water.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by analyzing in the abiotic and biotic environment of forest swamp, Gyeongsangbuk-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Examining the management plan of the abiotic environment, there will need to establish the hydrological plan in continuous expediting the supply of water to maintain a humid soil of swamp, and to try to find the organic farming, use of low toxic agrichemicals and so on to prevent occurring a non-point source pollutants. To prevent changing the flowing of ground water and inflow of earth and sand in modifying the land character, there will be needed to restrict the construction of farmland and slope around swamp. To manage the biotic environment, there needed to offer the habitat by removing the regular interval and individual of a dead tree, and to improve the growth environment of vegetation. Because the naturalized plants disturb the natural vegetation, they will be removed. The afforested trees like Robinia pseudoacacia and Amorpha truticosa will be renewed to prevent the heterogeneity of landscape ecology, and the active conservation plan on wetland species will be established. A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tudy on the partial swamp, Gyeongsanbuk-do, the ecological environments distributing a swamp in Korea show a some problem. In the future, the study will accomplish to study the accurately and objectively ecological environment and management of a swamp by analyzing the extensive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