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site density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4초

완도산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에 기생하는 요각류 Acanthochondria yui의 생태 (Ecology of Acanthochondria yui(Copepoda, Poecilostomatoida) on a Gobiid Fish Acanthogobius flavimanus in Wando Islands, Korea)

  • 서해립;심재덕;최상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8-265
    • /
    • 1993
  • 1990년 4월부터 1991년 3월까지 1년 동안 우리나라 연안에 널리 분포하는 저서어류인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에 기생하는 요각류 Acanthochondria yui이 출현 및 감염 수준의 월변동을 조사하였다. A. yui는 9월${\sim}12$월(4개월)은 나타나지 않았다. 감염률은 1월에 $2.9\%$에서 6월에 $88.9\%$까지 증가하였다. 상대 감염밀도와 평균 감염강도 역시 1월에서 6월까지 증가하였다. A. yui의 감염률은 숙주의 크기에 비례하여 높아졌다. 4월과 5월에 채집된 문절망둑에서 CIV와 CV 유생이 약간 발견되었고 $CI{\sim}CIII$ 유생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것은 문절망둑이 A. yui의 유일한 숙주가 아닐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A. yui의 암컷 성체와 copepodid기 유생은 각각 아가미 활($74.8\%$)과 아가미필라멘트($80.6\%$)에서 대부분 발견되었다. 이것은 copepodid기 유생이 숙주에서 가장 적합한 부착부위로 아가미 필라멘트를 선택하였고, 성체가 되면서 아가미 활로 이동하는 데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PDF

Pathology Survey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from Hwangdo Tidal Flat in Cheonsu Bay on the West Coast of Korea

  • Yang, Hyun-Sung;Cho, Young-Ghan;Shin, Jong-Seop;Park, Heung-Sik;Choi, Kwang-Sik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3권4호
    • /
    • pp.365-370
    • /
    • 2021
  •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s present at high rates of density in tidal flats in Cheonsu Bay on the west coast of Korea, where clams often exhibit mass mortalities in late summer. We monitored the pathologic condition of clams at Hwangdo tidal flat (HD) to understand the parasitic impacts on clam fitness. Manila clams were fully ripe in July and spawned during August and September, as the histology indicated. The histology revealed that clams in HD tidal flats were heavily infected by the protozoa parasite Perkinsus olseni, as the monthly prevalence ranged from 53% (September) to 93% (August). In addition, Manila clams were co-infected by the metazoan parasite Cercaria tapetis and Parvatrema duboisi with the prevalence of 0-33% and 0-14%, respectively. Massive hemocyte infiltration and subsequent inflammation were commonly observed from the gills of P. olseni infected clams. Clusters of P. olseni trophozoites and heavy hemocyte infiltration were also observed from the female gonad, suggesting that P. olseni interferes with host gonad maturation. The larval trematode occupied almost the entire host gonad, resulting in gonad castration. In addition, Metacercaria of P. duboisi were observed from the subsurface of the mantle. Ray's fluid thioglycollate medium assay (RFTM) indicated that clams collected in August and September contained approximately 4.0×106 P. olseni cells/g gills. Condition Index (CI) declined gradually from spring to early summer, and the decline in CI was interpreted as a consequence of the heavy parasitism, as the parasites drain the host's net energy to be used in somatic growth and gamete production.

콩씨스트선충 기생세균 Pasteuria nishizawae의 토양내 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Pasteuria nishizawae Attacking Heterodera glycines)

  • 김동근;이영기;이재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10-713
    • /
    • 1998
  • Spatial distribution in soil and seasonal population changes of Pasteuria nishizawae first found in Korea from soybean cyst nematode were studied. P. nishizawae infested in 61% of areas in a soybean field; in an average, about 0.3% of 46 cysts and 17.6% of 9 juveniles per 100 g soil were infested with the bacterium. The highest percentages of spore-attached nematodes were found in July (75%) and between soil depth of 11~20 cm. The number of spores per juveni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ntage of juveniles with spores (r=0.4203; P<0.0133),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juveniles in soil (r=-0.3499; P<0.042). P. nishizawae completed its life cycle in cyst and produced 1.7$\times$105 spores per cyst.

  • PDF

우리나라 벼논에서 벼멸구선충(Agamermis unka)의 분포 (Distribution of Agamermis unka (Nematoda: Mermithidae), a Mermithid Parasite of Brown Planthopper (Nilapawata lugens) in Korean Rice Paddies)

  • 이동운;조성래;추호렬;김형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9-136
    • /
    • 2002
  • 벼멸구선충(Agamermis unka)은 우리나라에서 벼멸구와 흰등멸구의 중요한 천적이다. 따라서 1992년부터 1998년까지 그리고 2001년 우리나라의 논에서 벼멸구선충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고성과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남해, 통영의 예찰포에서 월동 벼멸구선충의 밀도를 조사한 결과 지역과 연도별로 차이가 있었다. 2001년 5개도 30개 시.군 예찰포를 대상으로 벼멸구선충의 월동 밀도를 조사한 결과, 전남의 장흥과 해남, 경남의 남해, 진주, 산청, 사천, 고성, 통영, 의령, 창원, 김해 지 역에서만 분포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경남 남해지 역 이 1,045마리/㎥로 밀도가 가장 높았고, 진주의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고성 예찰포에서는 각각 947마리와 395마리/㎥가 발견되어 다른 지역의 예찰포보다 높았다. 벼멸구선충의 밀도는 무방제구가 살균제처리나 살충제처리구에 비하여 높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경남 지역 19개 시군의 예찰포에서 벼 수확 후의 벼멸구선충 밀도를 2001년 가을에 조사한 결과는 고성, 진주, 남해, 사천 지역에서만 분포가 확인되었는데, 밀도는 남해지역이 692마리/㎥로 가장 높았다.

남해안 양식산 조피볼락에 기생한 Microcotyle sebastisci의 감염률 변동 (Ecological study on Microcotyle sebastisci of parasiting of cultured rocfish, Sebastes schlegeli, in Korea)

  • 최상덕;심두생;공용근;백재민;방인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9-126
    • /
    • 1996
  • 1995년 4월부터 10월까지 전남 가막만과 경남 남해 해역에서 양식하는 조피볼락에 기생하는 아가미흡충 Microcotyle sebastisci의 기생률 변동 및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M. sebastisci는 6~7월에 나타나지 않았고, 주로 새엽 II~III에 기생하였다. 기생된 부위는 미세한 출혈과 함께 점액이 다량 분비되었다. 남해의 경우 9월에 있어서 감염률, 상대 감염밀도, 평균 감염강도는 각각 40.0%, 30.7, 76.8을 나타내었다. 또한 가막만의 경우는 10월에 감염률, 상대 감염밀도, 평균 감염강도는 각각 46.0%, 40.5, 88.0으로 조사기간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으로는 호흡상피세포의 증생, 비후, 새박판간상피세포의 중생과 새변의 곤봉화가 일어났다. 2차적으로 세균의 감염에 의한 아가미 부식도 관찰되었다.

  • PDF

Carbofuran 입제의 처리방법 및 시기가 벼의 해충과 천적의 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nsity Variation on the Natural Enemies and Rice Pests by Application Method and Time of Carbofuran Granules)

  • 김정부;조동진;하재규;장순덕;박영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3-236
    • /
    • 1984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진주에 위치한 농촌진흥원 해충 시험포장에서 Carbofuran 입제를 본답기에 2회 처리와 농가 관행방제인 살충제 9회 처리간의 벼 해충과 이들 천적의 밀도를 비교 조사하였다. 1. Carbofuran $3\%$ 입제를 기계이앙시 육묘상자 처리와 7월중순 수면 처리등 본답기에 2회만 처리하여도 벼의 주요해충인 멸구 매미충류, 나방류, 굴파리, 총채벌레등의 방제효과가 관행 방제인 살충제 9회 처리와 비등한 경향이었다. 2. 벼 해충의 천적인 거미류와 멸구류의 난기생봉(Anagrus sp.)의 밀도는 Carbofuran 입제 처리가 관행방제보다 2.4배 밀도가 높았다.

  • PDF

Recent Progress in Understanding Host Mucosal Response to Avian Coccidiosis and Development of Alternative Strategies to Mitigate the Use of Antibiotics in Poultry Production

  • Lillehoj, Hyun-Soon;Lee, Sung-Hyen;Jang, Seung-Ik;Kim, Duk-Kyung;Lee, Kyung-Woo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75-284
    • /
    • 2011
  • As the world population grows and developing countries become more affluent, the global consumption of meat will increase by more than 50% within the next 10 years. Confronting the increased demand for poultry food products are emerging field diseases, increasing regulatory bans of antimicrobial growth promoters, high-density growth conditions, and waste management. Although biotechnology offers solutions to some of these challenges, basic studies are needed to better understand the complex interaction between the intestinal microbiome, host immunity and the environment. This presentation will focus on emerging strategies to enhance gut immunity and to decrease economic losses due to poultry diseases. This presentation will highlight recent developments in coccidiosis research and provide information on host immunity, immunomodulation, and the latest advances in dietary and nutritional approaches against coccidiosis. Such information will magnify our understanding of host-parasite biology, mucosal immunology, and design of future nutritional interventions and vaccination strategies for coccidiosis.

Malondialdehyde, Glutathione, and Nitric Oxide Levels in Toxoplasma gondii Seropositive Patients

  • Karaman, Ulku;Celik, Tuncay;Kiran, Tugba Raika;Colak, Cemil;Daldal, Nilgun Ulfet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6권4호
    • /
    • pp.293-295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serum malondialdehyde (MDA), glutathione (GSH), and nitric oxide (NO) levels between normal and T. gondii-infected patients. To this end, MDA, GSH, and NO levels in the sera of 37 seropositive patients and 40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evaluated. In Toxoplasma ELISA, IgG results of the patient group were $1,013.0{\pm}543.8$ in optical density (mean ${\pm}$ S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patients and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MDA, GSH, and NO levels. A decrease in GSH activity was detected, while MDA and NO levels increased significantly.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the use of antioxidant vitamins in addition to a parasite treatment shall prove useful. The high infection vs control ratio of MDA and NO levels probably suggests the occurrence as a mechanism of tissue damage in cases of chronic toxoplasmosis. Moreover, it is recommended that the patient levels of MDA, GSH, and NO should be evaluated in toxoplasmosis.

Sensitivity of Plasmodium falciparum to Antimalarial Drugs in Hainan Island, China

  • Wang, Shan-Qing;Wang, Guang-Ze;Li, Yu-Chun;Meng, Feng;Lin, Shi-Gan;Zhu, Zhen-Hu;Sun, Ding-Wei;He, Chang-Hua;Hu, Xi-Min;Du, Jian-Wei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3권1호
    • /
    • pp.35-41
    • /
    • 2015
  • Pyronaridine and artesunate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falciparum malaria treatment. However, pyronaridine is rarely used in Hainan Island clinically, and artesunate is not widely used as a therapeutic agent. Instead, conventional antimalarial drugs, chloroquine and piperaquine, are used, explaining the emergence of chloroquine-resistant Plasmodium falciparum. In this article, we investigated the sensitivity of P. falciparum to antimalarial drugs used in Hainan Island for rational drug therapy. We performed in vivo (28 days) and in vitro tests to determine the sensitivity of P. falciparum to antimalarial drugs. Total 46 patients with falciparum malaria were treated with dihydroartemisinin/piperaquine phosphate (DUO-COTECXIN) and followed up for 28 day. The cure rate was 97.8%. The mean fever clearance time ($22.5{\pm}10.6hr$) and the mean parasite clearance time ($27.3{\pm}12.2hr$)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different genders, ages, temperatures, or parasite density (P>0.05). The resistance rates of chloroquine, piperaquine, pyronarididine, and artesunate detected in vitro were 71.9%, 40.6%, 12.5%, and 0%, respectively (P<0.0001). The resistance intensities decreased as follows: chloroquine>piperaquine>pyronarididine>artesunate. The inhibitory dose 50 ($IC_{50}$) was $3.77{\times}10^{-6}mol/L$, $2.09{\times}10^{-6}mol/L$, $0.09{\times}10^{-6}mol/L$, and $0.05{\times}10^{-6}mol/L$, and the mean concentrations for complete inhibition (CIMC) of schizont formation were $5.60{\times}10^{-6}mol/L$, $9.26{\times}10^{-6}mol/L$, $0.55{\times}10^{-6}mol/L$, and $0.07{\times}10^{-6}mol/L$, respectively. Dihydroartemisinin showed a strong therapeutic effect against falciparum malaria with a low toxicity.

참굴의 난(卵)에 기생(寄生)하는 Marteilioids chungmuensis Comps et al., 1986에 관하여 (Study on Marteilioides chungmuensis Comps et al., 1986 Parasite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Thunberg)

  • 박미선;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53-70
    • /
    • 1989
  • 1986년(年) 1월(月)부터 1988년(年) 12월(月)까지 3개년(個年)에 걸쳐 남해안(南海岸) 굴 수하식(垂下式) 양식장(養殖腸)인 충무 화도, 서해안(棲海岸) 투석식(投石式) 양식장(養殖腸)인 오천, 그리고 자연(自然) 서식장(棲息腸)인 동해안(東海岸) 신창의 참굴을 대상으로 Marteilioides chungmuensis의 생태학적(生態學的) 및 형태학적(形態學的) 조사(調査)를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1986년 화도 양식장(養殖腸)에서 채집(採集), 조사(調査)된 총(總) 360개체(個體)의 참굴 중(中) M. chungmuensis가 발견(發見)된 개체(個體)는 19개체(個體)로 5.3%의 출현율(出現率)을 나타내었으며, 오천 양식장(養殖腸)에서 360개체중(個體中) 15개체(個體)로 4.2%, 그리고 1987년(年) 화도 양식장(養殖腸)에서는 총(總) 360개체(個體) 중(中) 24개체(個體)가 발견(發見)되어 6.7%, 오천 양식장(養殖腸)에서는 360(個體) 중(中) 10개체(個體)로 2.8%의 출현율(出現率)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1986년(年)과 1987년(年) 동해안(東海岸)의 신창에서 채집(採集)된 총(總) 720개체(個體)의 참굴 중(中) M. chungmuensis가 발견(發見)된 참굴은 없었다. 2. 1988년(年) 3월(月)에서 12월(月)까지 M. chungmuensis가 전혀 발견(發見)되지 않은 동해안(東海岸) 신창산(産) 참굴을 남해안(南海岸)의 화도로 이식(移植)하여와 감염율(感染率)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이식(移植)된 신창산(産) 참굴에 있어서는 5월(月)부터 M. chungmuensis에 감염(感染)된 개체(個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총(總) 300개체(個體)의 조사(調査) 굴 중(中) 25개체(個體)가 M. chungmuensis에 감염(感染)된 것으로 나타났다. 3. M. chungmuensis의 출현(出現) 시기(時期)는 화도의 경우 6월(月)부터 11월(月), 오천의 경우 6~10월(月)사이로 참굴의 산란(産卵)이 시작되는 시기(時期)부터 완전히 종료(終了)된 후 2개월까지의 시기(時期)였으며, 산란(産卵)이 진행됨에 따라 M. chungmuensis의 출현율(出現率)은 점점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4. M. chungmuensis에 감염(感染)된 성숙란(成熟卵)은 산란(産卵)이 진행됨에 따라 일부는 정상적(正常的)인 난(卵)과 함께 아가미를 통하여 배출되고, 나머지 생식소(生殖巢)에 남아있는 M. chungmuensis에 감염(感染)된 난(卵)은 생식소내(生殖巢內)에서 붕괴, 사멸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기생충(寄生蟲)에 감염(感染)된 참굴에서는 생식소(生殖巢)의 여포(濾胞)주위에 강한 혈구성(血球性) 침윤(浸潤)이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이 기생충(寄生蟲)의 난소내(卵巢內) 성숙과정(成熟過程)의 관찰결과(觀察結果) M. chungmuensis는 성숙(成熟)한 난모세포(卵母細胞)의 세포질내(細胞質內)에 근세포(根細胞), 즉 1 차(次) 세포(細胞)로 자리잡게 되며, 이 기생충(寄生蟲)은 포자형성(胞子形成) 기간(期間)동안 외생발아(外生發芽)에 의해 2 개 또는 3 개의 2 차(次) 세포(細胞)를 형성하며, 내생발아(內生發芽)에 의해 1 개의 3 차(次) 세포(細胞)를 형성하고, 2 차(次) 세포(細胞)는 성장하여 포자모세포(胞子母細胞)로 되는 phylum Ascetospora, class Paramyxea에 속하는 종(種)들 중 가장 단순한 성숙과정(成熟過程)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