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haemolyticus

검색결과 450건 처리시간 0.043초

엽차용 녹차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and Fractions of Green Tea Used for Coarse Tea)

  • 정숙현;윤교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382-1388
    • /
    • 2008
  • 9월에 수확하여 엽차용 녹차로 시판되는 보성산 녹차를 온수, $80^{\circ}C$ 열수, 70% ethanol 용액으로 추출하고, 70% ethanol 추출물을 다시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로 분획한 다음 녹차 추출물과 분획물의 그램 양성균과 그램 음성균 8종에 대한 항균활성에 대하여 조사를 하였다. 녹차의 추출 수율은 70% ethanol 추출물은 33.0%, ethyl acetate 분획물은 11.2%를 보였다. 8종의 세균에 대한 녹차 추출물 간의 항균활성은 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수 추출물에 비하여 Vibrio parahaemolyticus(V. parahaemolyticu) 및 Staphylococcus aureus(S. aureus)에 대하여 가장 높았다. 7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여러 가지 용매를 달리하여 분획한 분획물 간의 항균활성은 70% ethanol 추출물에 비하여 ethyl acetate 분획물의 경우 Klebsiella pneumoniae, V. parahaemolyticus, S. aureus, Bacillus subtilis(B. subtilis) 및 Streptococcus mutans(S. mutans)와 같은 5종의 세균에 대하여 높았다. 70% ethanol 추출물 유래 ethyl acetate 분획물의 MIC는 B. subtilis의 경우 $5\;{\mu}L$/disc이었고, S. aureus 와 S. mutans의 경우 $3\;{\mu}L$/disc이었으며, V. parahaemolyticus의 경우 $3\;{\mu}L$/disc 이하로 아주 낮았다. Ethyl acetate 분획물의 첨가 농도에 따른 항균효과는 B. subtilis와 S. mutans 두 균종에서 확연히 나타났고 B. subtilis는 0.05% 이상의 첨가로 24시간 증식시켰을 때 control에 비하여 균증식이 90% 이상 억제됨을 보였으며, S. mutans는 동일한 균증식 억제 효과를 얻기 위하여 0.1% 이상의 ethyl acetate 분획물 농도가 요구되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의 열처리($121^{\circ}C$, 20분)는 균종에 따라 10%정도의 항균활성을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9월에 채엽된 저렴한 녹차로 천연 항균제 혹은 식품보존료의 개발은 충분한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황금탕 및 황금추출물의 식중독 세균들에 대한 생육억제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Whangkumtang Extract and Scutellariae Radix Extract on the Food-Borne Pathogens)

  • 서진종;이종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606-1610
    • /
    • 2005
  • 각종 식중독의 원인균으로 중요시되는 11종의 균주에 대해서 황금탕 및 황금 추출물의 항균력을 검토한 결과, 황금탕 추출물은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higella sonnei, Shigella flexneri,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 O111 및 Escherichia coli O126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황금 추출물은 Staphy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higella sonnei, Shigella flexneri,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 O111, Escherichia coli O126 및 Escherichia coli O157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황금탕 및 황금 추출물 모두 항균력이 없었고, Escherichia coli O157에 대해서는 황금탕 추출물은 항균력이 없었으나, 황금 추출물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황금탕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Staphyloccus aureus와 Bacillus cereus에서 40 mg/mL, Shigella flexneri 와 Salmonella Enteritidis에서 100 mg/mL이었고, 황금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Bacillus cereus에서 10 mg/mL, Staphylococcus aureus, Shigella flexneri 및 Salmonella Enteritidis에서 20 mg/mL이었으며, 황금탕 및 황금 추출물 모두 Staphyloccus aureus와 Bacillus cereus에 대해 48시간까지 배양하는 동안 최소저해농도 이상에서는 균이 거의 생육하지 못하였다. 이상에서 황금탕 추출물보다는 황금 추출물의 항균력이 더 강하며, 황금탕 추출물의 식중독 세균들에 대한 항균력은 황금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항균력이 확인된 세균으로 인한 각종 식중독에 황금탕의 사용 가능성을 고려할 만하며, 황금 추출물에 대한 천연 식품 보존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유통중인 생선초밥의 오염 미생물 분석 (Microbial Contamination Analysis to Assess the Safety of Marketplace Sushi)

  • 조선경;문보연;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34-338
    • /
    • 2009
  • 어패류에 의한 식중독 발생 감소를 위하여 시장에서 유통중인 생선초밥을 대형할인매장과 일식음식점에서 수집하여 미생물 위해인자의 오염을 분석하였다. 79개의 초밥의 생선부위에서 4-6 log CFU/g의 일반세균이 오염되어 있었고 밥부위에서는 3-5 log CFU/g 로 나왔으며 광어와 새우초밥이 높은 오염을 보여주었다. 대장균군은 생선부위에서 3-4 log CFU/g이 오염되어 있었고 밥부위에는 생선부위보다 1 log CFU/g정도 낮게 나타났고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식중독 세균은 생선부위에서 Staphylococcus aureus가 17%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Bacillus cereus group은 10%로 검출되었고 밥부위에서는 S. aureus가 11%시료에서 검출되었고 B. cereus group가 8%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그리고 Salmonella와 Listeria monocytogenes도 검출되었으나 Vibrio parahaemolyticus, Clostridium perfrigens, Yersinia enterpcolotica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생선초밥 생산유통 업체 분석에 의하면 대형할인매장의 시료에서는 B. cereus group이 13%시료에서 검출되었고, 일식음식점의 경우는 S. aureus가 30%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일반적으로 어패류 식품의 경우 V. parahaemolyticus의 오염을 우려하지만, 유통 초밥시료를 채취하여 실험한 결과 B. cereus group과 S. aureus의 오염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V. parahaemolyticus와 아울러 B. cereus group과 S. aureus의 위해 관리가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Haemophilus parahaemolyticus (pleuropneumoniae)균(菌)의 혈청학적연구(血淸學的硏究) 특히 혈청형별항원특이성(血淸型別抗原特異性) 및 항체가(抗體價)의 분포(分布)에 대하여 (Serologic Studies on Porcine Strains of Haemophilus parahaemolyticus (pleuropneumoniae) : Antigenic Specificity and Prevalence of Antibodies to Serotypes)

  • 강병규;산본 효사;미형 학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3-158
    • /
    • 1983
  • Haemophilus parahaemolyticus(pleuropneumoniae)균(菌)(HP균(菌)) 혈청(血淸) 1형(型)(4074주(株)), 2형(型)(1536주(株)), 3형(型)(1421주(株)) 및 5형(型)(966주(株))의 혈청반응특이성(血淸反應特異性)을 검토할 목적으로, 2주령(週齡)의 SPF돈(豚)에 HP균(菌) 신선분리주(新鮮分離株)(HP8주(株))를 경비접종(經鼻接種)하여 경시적(經時的)으로 나타나는 항체가(抗體價)를 주로 응집반응(凝集反應)(AG)과 보체결합반응(補體結合反應)(CF)으로 비교검토하였다. 아울러 야외(野外)에서 채취한 돈혈청(豚血淸)에 대하여 각 혈청형별(血淸型別) 항체가(抗體價)의 분포(分布)도 AG및 CF반응(反應)으로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응집항체(凝集抗體)(AG항체(抗體)) 및 보체결합항체(補體結合抗體)(CF항체(抗體))는 접종(接種)한 다음 1주일에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AG항체(抗體)는 접종(接種) 2주후에 그리고 CF항체(抗體)는 2~3주후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CF항체(抗體)는 AG항체(抗體)보다 약간 늦게 나타나는 경향이 인정되었다. 2. HP균(菌)(HP 8주(株))혈청(血淸) 2형감염돈(型感染豚) 혈청(血淸)에 대한 각 혈청항원간(血淸抗原間)의 반응(反應)에서는 항체가(抗體價)가 낮기는 하나 교차반응(交叉反應)이 안정되었고, 특히 혈청(血淸) 1형(型) 5형항원(型抗原)에서 이러한 현상이 인정되었다. 3. 야외혈청(野外血淸)에 대한 HP균(菌)의 혈청형별항체(血淸型別抗體)는 주로 HP균(菌)2형(型)이 대부분이었고, 그 검출양성율(檢出陽性率)은 AG반응(反應)에서 48.6%, CF반응(反應)에서 37.1%를 나타내고 있어, HP균혈청(菌血淸) 2형균(型菌)의 감염(感染)이 존재함이 혈청학적(血淸學的)으로 확인되었다. 4. HP균(菌)의 혈청반응(血淸反應)의 실시에 있어서는 AG반응(反應)에서 나타나는 비특이반응(非特異反應)은 가검혈청(可檢血淸)을 kaolin처리 함으로서 이를 배제할 수 있었고, CF반응(反應)에 있어서는 신선자우혈청(新鮮仔牛血淸)을 보체계(補體系)에 첨가함으로써 효과적인 반응을 실시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볏짚에서 분리한 청국장 starter용 Bacillus spp.의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pp. Isolated from Rice Straw as Cheonggukjang Starter)

  • 이신호;백낙민;박나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62-567
    • /
    • 2008
  • 짚에서 60균주를 분리하여 생균제제로서의 기능이 있는 청국장 제조용 starter로 사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분리한 60균주 중 단백 분해력, 전분 분해력, 대두 분해력을 나타낸 균주는 B-59 등 8균주 이었으며 모두 그람 양성 간균으로 포자를 형성하였다. 선별된 8균주의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Shigella sonni, Pseudomonas fluorescens,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낸 균주는 B-59이었다. 항균활성을 나타낸 분리균주 B-59에 의해 L. monocytogenes, S. aureus, V. parahaemolyticus, P. fluorescens의 성장은 억제되었으며. API 50CHB kit를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99.0%의 유사율로 Bacillus licheniformis로 간이 동정되었다. 분리균주인 B-59는 pH 2.5로 조정된 인공 위액에 초기 생균수 8.33 CFU/mL에서 $37^{circ}C$에서 3시간 배양 후의 6.91 CFU/mL로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인공담즙산에서 초기 균수 6.90 CFU/mL에서, 배양 24시간 후 8.24 CFU/mL로 증가하여 내성을 나타내었다. 분리균주인 B-59는 NaCl 0, 2, 4% 농도에서는 각각 7.63, 7.70, 7.67 CFU/mL로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32% 농도에서도 생존하여 NaCl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알코올농도 32%에서도 4.22 CFU/mL를 나타내어 에탄올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으로 측정한 B-59 배양액의 항산화 활성이 균주의 성장에 따라 증가하였다.

제주 동부 연안 넙치 양식장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the Level in Fish Farms of Jeju East Coast.)

  • 김윤범;문영건;하진환;강창희;감상규;송춘복;오명철;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5-402
    • /
    • 2008
  • 본 연구는 2007년 6윌부터 10월까지 제주도에서 양식장이 가장 많이 밀집되어 있는 제주도 동부 연안에 위치한 양식장 4개소를 대상으로 하여 사육 용수, 양어 사료, 양식 넙치의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식품병원성 미생물 중 일반세균과 총대장균군 그리고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를 조사 하였다. 이번 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동부지역은 집중적인 호우로 인해 전년보다 400 mm 이상의 많은 강우량을 나타내었다. 사육 용수의 검사결과 V. parahaemolyticus, Salmonella spp., S. aureus, B. cereus가 빈번하게 검출되었고, 양어 사료의 경우 Salmonella spp, S. aureus, B. cereus는 각각 $0{\sim}4.3{\times}l0^3$ CFU/ml, $0{\sim}2.7{\times}l0^4$ CFU/ml, $0{\sim}7.6{\times}l0^3$ CFU/ml 검출 되었다. 또한 양식 넙치의 미생물 검사 결과 적은 양이지만 Salmonella spp., S. aureus, B. cereus가 검출되었고, 총대장균군과 E. coli Ol57:H7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번 조사 결과로 보아 미생물학적 위해요소는 양식장의 작업 환경이나 주변 환경 등의 환경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양식장의 위생관리에 작업자들은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이와 관련하여 수산물 위생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인 시스템을 도입하여 적용한다면 수산물에서 야기되는 문제점들이 해결되어 제주도의 청정 브랜드의 이미지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으며, 안전하고 깨끗한 수산물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오이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미생물 효과 (Antimutagenic and Antimicrobial Effect of Cucumber (Cucumis sativus) Extracts)

  • 정숙현;문숙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164-1170
    • /
    • 2001
  • 이 연구에서는 오이 methanol 추출물과 methanol 추출물의 분획물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와 항미생물 효과를 조사하였다. Ames 실험계를 이용한 항돌연변이 효과는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에서 간접 돌연변이원인 aflatoxin B$_1$에 대해 methanol 추출물은 1.25~5.0%에서 11~70%의 항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냈었고, 직접 돌연변이원인 MNNG에 대해서는 46~85%의 항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methanol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은 각 용매별 획분 중에서는 aflatoxin B$_1$에 대해서는 hexane 획분이, MNNG에 대해서는 butanol획분이 89% 및 95%로 가장 큰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항미생물 효과의 조사에서는 오이 metanol 추출물이 실험균주 11종 중 8종의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중 K. pneumonia KCTC 2208, P. aeruginosa KCTC 2004가 clear zone 13 mm로서 가장 항균 활성에 민감한 균종으로 나타났다. 각 용매별 획분 중에서는 hexane 획분은 V. parahaemolyticus KCTC 2471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보였고, chloroform과 ethyl acetate 획분에서도 약하게 항균 효과를 보였다 Methanol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균증식억제 효과의 결과로는 V. parahaemolyticus가 가장 낮은 최소증식억제농도를 보여 500 ppm으로 나타났다. Methanol 추출물의 살균효과는 P. aeruginosa에서 1%의 농도가 0.5%의 농도에 비하여 약 10배정도의 빠른 살균효과를 보였다. 즉 초기 균수의 90%균을 살균하는데 1%와 0.5%의 농도에서 각각 26분, 250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PDF

강황추출물이 두부 부패미생물과 병원성 미생물에 미치는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Turmeric(Curcuma aromatica Salab.) Extracts Against Various Pathogens and Spoilage Bacteria Isolated from Tofu)

  • 박경남;정은주;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07-212
    • /
    • 2007
  • 강황 에탄올 추출물은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5, Pseudomonas fluorescens ATCC 21541,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273, Salmonella typhimurium ATCC 21541,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 그리고 Aeromonas hydrophila KCTC 2358에 대하여 0.05-0.2% 범위에서 뚜렷한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부패한 두부에서 분리한 4종의 Bacillus sp. 에 대해 강황 에탄올 추출물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Bacillus sp. KN-4와 KN-6의 성장은 0.05% 이상 첨가시 약 2 log cycle 정도 억제되었고, B. licheniformis KN-10은 0.1% 이상 첨가시, Bacillus sp. KN-20의 경우 0.05% 이상 첨가시 배양 12시간 이후부터 뚜렷한 성장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공시균주에 대한 강황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MIC)는 L. monocytogenes는 0.1%, P. fluorescens, S. aureus, S. typhimurium, V. parahaemolyticus, A. hydrophila는 0.3% 그리고 Bacillus sp. KN-4, KN-6, KN-20의 경우 0.2%, B. licheniformis KN-10의 경우 0.25%로 나타났다. 열처리한, 강황 에탄올 추출물의 공시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은 소실되지 않아 열에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