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foveal vis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Virtual Mechanism for Displaying Viewing Angle Related Mura of a Backlight Unit in Simulation

  • Kang, Chih-Chieh;Lin, Jeng-Feng;Chen, Cho-Wei;Wu, Yu-Chang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440-1443
    • /
    • 2009
  • We have devised a methodology based on the concept of foveal (or parafoveal) vision to investigate viewing angle related mura of a backlight unit (BLU). Three different cases of mura phenomenon in BLUs are studied with optical simulation software ASAP in this work. Simulation results, illuminance comparisons between emitting light from BLUs without and with "angle sorting" as well as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They show good agreement between simulations and experimental observations that demonstrates the method's validation and robustness.

  • PDF

중심와 시각에서 색채 자극의 크기에 따른 컬러 어피어런스 연구 (A study on colour appearance by the size of colour stimulation at foveal vision)

  • 홍지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3-28
    • /
    • 2018
  • 차세대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TV를 대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환경에서 모바일 환경으로 진화 하고 있는 추세이다. 개인용 디스플레이에 해당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경우, 홈시어터의 개념과 동일하지만 보다 경량 화된 사이즈에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기에 디스플레이 산업에서는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제품 응용 및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보다 정확한 색채와 향상된 영상을 재현하기 위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배경의 밝기와 색채 자극의 크기에 따라 인지될 수 있는 색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가정아래, 배경의 밝기를 차등적으로 적용하여 중심와 시각에 해당하는 색채 자극의 크기를 비교하는 정신 물리학적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 선행 연구에서는 배경의 밝기가 고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색채 자극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밝고 더욱 선명하게 인지한다는 결과와 달리, 배경의 밝기와 색채 자극의 크기에 따라 색채를 인지하는 특성이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형 화면의 크기에서 모바일 크기의 화면으로 입력 영상이 전환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색채 변환 오류를 해결 하여 보다 정확한 색채 표현과 향상된 화질 영상 재현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