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formaldehyde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2초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ew Calixarenes from Bisphenol A

  • 안교한;김성곤;유종선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1권8호
    • /
    • pp.813-816
    • /
    • 2000
  • The synthesis of bisphenol A-derived calixarenes has been studied by changing the protecting group of the phe-nol moiety and reaction conditions. Depending on the protecting groups,the corresponding calix[6,7,8]arenes are obtained in different rat ios. For example, whcn mono-p-tert-butyldimethylsilyl-protected bisphenol A is treated with paraformaldehyde and a catalytic amount ofaqueous KOH in refluxing p-xylene with a Dean-Stark water collector for 36 h, the corresponding calix[8]arene, calix[7]arene, and calix[6]arene are producedand separated in the ratio of about 3 : 2 : l and with overall 63% yield. The calixarenes are characterized by NMR spectroscopy and mass analysis. The X-raycrystal structure of the calix[8]arene shows a pleated loop confor-mation, stabilized by intramoIecular hydrogen bonding between the inner phenolic hydroxy groups.

Coomassie brilliant blue G 및 R을 이용한 말 정액 첨체 염색 기법 (Acrosome staining with Coomassie brilliant blue G or R on the horse spermatozoa)

  • 김성우;신상민;유연희;이재영;김찬란;고응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57-63
    • /
    • 2020
  • 말 정자의 첨체 손상도를 간단하게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Coomassie brilliant blue G 또는 R 염색 시약을 이용하여 정자 도말 슬라이드에 대한 염색도를 조사하였고, 3.7% paraformaldehyde (PF)과 35% methanol (MT) 고정제가 첨체 염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PF로 고정한 후 말 정자 도말 슬라이드를 0.05, 0.1 및 0.2 % 농도 CBB에 각 2분간 염색을 실시하여 첨체를 관찰하면 0.05%의 경우 완전한 첨체 염색도가 G형에서 62.6%, R형은 61.5%로 관찰되었으나, 0.1 및 0.2%의 경우, 80.2 및 79.7%로 (G 형), 78.1 및 76.0%로 (R 형) 관찰되어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MT 고정제를 이용할 경우, 첨체 외막이 느슨해진 정자의 비율은 3.5%로 관찰되어 PF 고정제를 사용하면 9.0%로 관찰되어 유의적으로 낮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말정자첨체손상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CBB G 또는 R형 염색시약을 0.1~0.2% 농도로 이용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 또한, 말 정자 슬라이드 도말을 고정하는데 있어 고정제의 선택이 중요하며 MT보다 PF를 활용하는 것이 첨체 변화 과정 중인 정자를 관찰하는데 중요하다는 보여 준다. 이러한 방법은 말의 인공수정을 위한 정액의 저온저장 또는 동결보존과정 중에서 정자첨체손상율을 정확하게 판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

방사선 조사를 받은 흰쥐 머리피부 표피층의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n the Epidermis of the Scalp of the Head-Irradiated Rats)

  • 고정식;김재호;양남길;안의태;박경호;김진국
    • Applied Microscopy
    • /
    • 제24권2호
    • /
    • pp.63-77
    • /
    • 1994
  •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tudy the morphological responses of the epidermis of the rat scalp, following X-ray irradiation. Male rats were divided into normal and experimental groups. Rats anesthetized with sodium thiopental, were exposed only on their head areas with a single dose of 3,000rads or 6,000rads, respectively. Radiation was produced by Mitsubishi Linea Accelerator ML-4MV at the speed of 200rads/min. The target distance was 80cm. Animals were sacrificed on six hours, two days and six days following irradiation. By the perfusion fixation through the heart, rats were fixed with 1% glutaraldehyde-1% paraformaldehyde solution. Pieces of the tissue taken from the scalp were refixed in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 solution, followed by post-fixation with 1% osmium tetroxide, and embedded within araldite mixture. The sections were cut on a LKB-V ultratome, stain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and were observed with JEM 100CX-II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Six hours after exposure to 3,000rads of X-ray. Disrupted intercellular spaces, within which some amorphous materials were filled, disrupted mitochondria, and vacuoles in the keratinocytes were frequently observed, but six days after exposure to 3,000rads of X-ray, Morphology of the keratinocytes was generally restored. 2. Many of the morphological changes were seen on the six days after exposure to 6,000rads of X-ray. 3. Widened intercellular spaces and thickened dense plaques of the desmosomes were frequently observed after exposure to 6,000rads of X-ray. 4.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Langerhans and the Merkel cells were damaged, similarly to the keratinocyte. Above results suggest that head irradiation with the dose of 3,000rads temporarily damaged the epidermis of the scalp, though most of the structures recover within six days, whereas with the dose of 6,000rads it severely damaged the epidermis without showing any recovering tendency.

  • PDF

청서 뇌 줄무늬체에서 neuropeptide Y 면역반응신경세포의 분포 (Neuropeptide Y-immunoreactive neurons in corpus striatum of the Korean squirrel(sciurus vulgalis coreae))

  • 정영길;이남섭;현병화;이철호;오양석;김무강;원무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9-49
    • /
    • 1996
  • 야생 설치류인 청서 뇌의 줄무늬체에서 neuropeptide Y(NPY) 면역반응신경세포의 분포상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뇌를 4% paraformaldehyde로 관류고정한 전뇌를 $40{\mu}m$의 냉동연속관상절편으로 작성한 후 cresyl violet로 염색하여 전뇌의 각 부분을 구분하고 NPY항체에 대한 면역염색을 실시하였다. 줄무늬체는 속섬유막(internal capsule)보다 앞쪽에서는 꼬리핵(caudate nucleus)과 조가비핵(putamen)이 꼬리-조가 비핵(caudate-putamen)의 한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속섬유막이 관통하는 부분에서는 꼬리핵, 조가비핵 및 창백핵(globus pallidus)의 세부분으로 구분되었다. 줄무늬체의 NPY면역반응신경세포는 대부분이 중간크기($12-18{\mu}m$)의 세포였다. NPY세포체의 분포는 꼬리-조가비핵과 꼬리핵의 경우에 내측 및 배쪽부분에서 다수 존재하였으며, 조가비핵의 경우는 전체적으로 불규칙하였는데 그중 중심부분이 더욱 적은 수로 관찰되었다. NPY면역반응신경섬유의 밀집도는 전체적으로 낮았으나 반응신경세포체가 많은 부분에서 높은 밀집도를 보였다. 꼬리-조가비핵과 꼬리핵의 경우 내측과 배쪽부분에서 높은 밀집도를 나타내었고 조가비핵의 경우는 불규칙한 밀집도를 보였다. 창백핵에서는 매우 적은 수의 반응섬유들만 관찰되었다. 따라서 청서의 줄무늬체는 꼬리핵, 조가비핵 및 창백핵으로 구분되어 비교적 발달된 구조를 가졌으며, NPY함유 신경세포의 분포형태도 이질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줄무늬체의 신경환로가 복잡함을 암시하였다.

  • PDF

1,5,3,7-Diazadiphosphocine-1,5-Dicarboxylic Acids의 합성과 반응 (Synthesis and Reaction of 1,5,3,7-Diazadiphosphocine-1,5-Dicarboxylic Acids)

  • 조승환;송주현;이도훈;이용균;박유미;최순규;한정태;정대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910-914
    • /
    • 2007
  • 본 연구는 MRI 조영제나 새로운 생리활성 물질을 개발키 위해 paraformaldehyde와 hypophosphorous acid를 아미노산인 glycine 혹은 glutamic acid와 함께 반응시켜 3,7-dihydroxy-3,7-dioxoperhydro-1,5,3,7-diazadiphos-phocme-1,5-diacetic acid 1 와 3,7-dihydrexy-3,7-dioxoperhydre-1,5,3,7-diazadiphos-phocme-1,5-di- (2-glutaric acid)3을 합성하였다. 그러나 aspartic acid에 의한 2-[5-(1,2-dicarboxy-ethyl)-3,7-dihydroxy-3,7-dioxo-315.715-[1,5,3,7]diazadiphosphocan-1-yl]-succinic acid 2는 얻지 못했다. 합성 된 3,7-dihydroxy-3,7-dioxoperhydro-1,5,3,7-dia-zadiphosphocine-1,5-diacetic acid 1을 산 촉매에 의한 에스테르화반응시켜 화합물 3,7-dihydroxy-3,7-dioxoper-hydro-1,5,3,7-diazadiphosphocine-1,5-diacetic acid methyl ester 4, 3,7-dihydroxy-3,7-dioxoperhydro-1,5,3,7-dia-zadiphosphocine-1,5-diacetic acid ethyl ester 5, 그리고 3,7-dihyoxy-3,74dioxoperhyo-1,5,3,7-diazadiphosphocine-1,5-diacetic acid propyl ester 6을 합성하였다. 계속해서 다양한 반응을 통해 새로운 화합물을 합성할 것이며 생리활성검색도 실시할 예정이다.

X-선 조사를 받은 흰쥐 망막의 색소상피세포와 기저복합층의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n the Pigment Epithelial Cell and the Bruch's Membrane of the Rat Retina after X-Irradiation)

  • 고정식;신기호;안의태;양남길;박경호;김진국
    • Applied Microscopy
    • /
    • 제23권2호
    • /
    • pp.11-26
    • /
    • 1993
  •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tudy the morphological responses of the pigment epithelial cell and the Bruch's membrane of the retina of rat following X-ray irradiation. Male rats were divided into norma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heads of the rats, under sodium thiopental anesthesia, were exposed to 3,000 rads or 6,000 rads of radiation in a single dose, respectively. The source was a Mitsubishi Linear Accelerator ML-4MV. The target to skin distance was 80cm, and the. dose rate was 200 rads/min.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sacrificed on the 6th hour, 2nd and 6th day after X-ray irradiation. Under anesthesia, 1% glutaraldehyde-1% paraformaldehyde solution(0.1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 was perfused through the left ventricle and ascending aorta. Pieces of the tissue taken from the posterior region of the retina were fixed in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0.1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 and 1% osmium tetroxide(0.1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7.3), and embedded in araldite mixture. The ultrathin sections contrast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were observed with JEM 100 CX-II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pigment epithelial cells were not pronounced after exposure to 3,000 rads of X-ray. But on the 6th hour after exposure to 6,000 rads of X-ray, bulging nuclear membrane protruding into the cytoplasm and nuclear chromatin clumped into numerous masses along the nuclear membrane were observed. At the 2nd and 6th day post-irradiation, partial cytolysis or necrosis were seen. 2. The thickness of the Bruch's membrane of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increased in the time and dose range covered by this study, and splitting or diffusing basal laminae of the choriocapillary layer were observed freque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bove results suggest that large amount(6,000 rads) of head irradiation induce direct hazardous effects on the pigment epitherial cells and Bruch's membrane of the retina of the rat, but pigment epithelial cells are more radioresistant than Bruch's membrane.

  • PDF

방사선이 뇌실막세포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Ependymal Cells of the Read-Irradiated Rats)

  • 안의태;조휘동;김진국;박경호;고정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1호
    • /
    • pp.11-23
    • /
    • 1999
  • 머리 부분에 많은 양의 방사선을 조사 받은 흰쥐 뇌실막세포의 미세구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체중 $200\sim250g$의 흰쥐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였고, 방사선 발생장치로는 Mitsubishi linear accelerator (ML-4MV)를 이용하였다. 실험군의 흰쥐는 sodium thiopental로 마취시킨 후 머리부분이 조사구역 $(30cm\times30cm)$ 안에 들도록 눕힌 후, 조사거리 80cm, 조사 깊이 1.2 cm의 조건에서 200 rad/min의 속도로 연속 조사하였다. 실험군에 따라 3,000 rad 또는 6,000 rad를 조사시킨 후 각각 6시간, 2일, 6일 후에 동물들을 희생시켰다. 희생시에는 마취된 흰쥐의 가슴을 열고 심장을 통한 관류고정을 시행하였고, 관류고정액은 1% glutaraldehyde-1% paraformaldehyde액을 사용했다. 고정된 뇌에서 가쪽뇌실벽 일부를 메어 관류고정액과 같은 고정액에 다시 고정한 후, 2% osmium tetroxide 액으로 이차고정 하였고, 이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전자현미경 절편제작 및 염색과정을 거친 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방사선조사후 6시간군부터 뇌실막세포는 종창현상을 보였고 섬모의 배열이 흐트러졌으며 부분적으로 세포질이 뇌실공간으로 돌출하였다. 2. 방사선조사후 2일군부터는 뇌실막세포의 종창현상이 심하며 뇌실막밑조직의 부종이 심했다. 3. 뇌실막세포의 돌출부분 세포질에는 섬모바닥체, 사립체, 세포질세망들이 들어 있었다. 4. 방사선조사군에서는 확장된 뇌실막세포사이공간을 통하여 뇌실막밑층의 축삭성분 등이 뇌실속 까지도 돌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방사선조사에 의해 뇌실막세포에는 심각한 형태학적 변화가 초래되며, 이로써 뇌실질과 뇌척수액사이의 대사관문이 교란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양서루 피부 과립선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Granular Glands in the Amphibian Skin)

  • 김한화;노용태;정영화;지영득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3-114
    • /
    • 1979
  • 양서류 피부과립선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무미양서류인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두꺼비 (Bufo bufo gargarizans), 개구리 (Rana nigromaculata) 및 옴개구리 (Rana rugosa)의 피부조직은 2.5% glutaraldehyde-paraformaldehyde (pH 7.2)와 1%osmium tetroxide에 전후 고정한 후 ethanol과 acetone으로 탈수, Epon 812 mixture에 포매하여 LKB ultramicrotome으로 초박절표본을 만들어 uranyl acetate와 lead citrate으로 염색하여 JEOL-100B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서류 피부과립선은 선상피세포와 근상피세포로 이루어졌다. 2. 양서류 피부과립선의 선상피세포는 암세포들로 구성되었으나 무당개구리에서는 명세포도 관찰되었다. 3. 양서류 피부과립선은 전분지를 하였다. 4. 양서류 피부과립선 상피세포의 핵은 원형 내지 타원형으로 크고 작은 핵경함요를 보였고, heterochromatin은 주로 핵경 인접부에 많았다. 세포질에는 mitochondria가 핵주변부에 비교적 많이 산재하였고, rough-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은 핵 주변부에 발달하였지만 smooth-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은 미약하였다. 5. 분비과립들은 구형 또는 난형으로 높은 전자밀도를 보였으며 다소 약한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도 관찰되었다. 6. 양서류 과립선내 분비과립들이 같은 세포내에서 다소 전자밀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분비과립의 형성단계에 따른 농도 차이에 기인하며 그 화학적 조성은 유사하다고 생각된다.

  • PDF

Design, Synthesis and In Vitro Cytotoxic Activity Evaluation of New Mannich Bases

  • Bui, Trung Hieu;Le, Thi Thuy;Vu, Thu Thuy;Hoang, Xuan Tien;Luu, Van Chinh;Vu, Dinh Hoang;Tran, Khac Vu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5호
    • /
    • pp.1586-1592
    • /
    • 2012
  • A series of Novel Mannich bases has been synthesized and evaluated $in$ $vitro$ cytotoxic activity against the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human lung carcinoma (SK-LU-1), and human breast cancer (MCF-7). Compound $\mathbf{9f}$ was found to be most potent against three cell lines with $IC_{50}$ values of 1.57, 1.16 and 1.21 ${\mu}g$/mL, respectively. In addition, compounds $\mathbf{9g}$, $\mathbf{10f}$ exhibited very significant activity against MCF-7 cell line with $IC_{50}$ values of 2.0 ${\mu}g$/mL.

치환된 방향족 알코올과 이차아민을 사용한 Mannich염기의 합성:기질에 따른 상대적인 반응성과 위치선택성 (Synthesis of Mannich Bases Using Substitued Aromatic Alcohols with Secondary Amines: Relative Reactivity and Regioselectivity Depending on Substrates)

  • 지기완;안윤수;박태호;안정수;김현아;박주연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1-60
    • /
    • 2001
  • 치환된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과 이차아민, paraformaldehyde를 비 양성자성 용매하에서 one-pot으로 반응시켜 기질에 따른 상대적인 반응성을 비교하였으며, Mannich반응이 일어난 자리도 조사하였다. 치환된 하이드록시 방향족 고리의 Mannich반응의 반응성과 위치선댁성은 기질의 친핵성도와 아민의 입체장애에 의존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