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per disc method

검색결과 348건 처리시간 0.029초

편백나무 추출액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amaecyparis obtusa Extracts)

  • 김보경;강정현;오근혜;황지영;장석위;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85-79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 추출액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활성을 검토하였다. 편백나무 추출액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및 SOD 유사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편백나무 추출액의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50{\mu}l/ml$ 농도에서 78% 및 62%의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편백나무 추출액은 높은 SOD 유사 활성을 보였으며, $50{\mu}l/ml$ 농도에서 92.85 %의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편백나무 추출액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Paper disc agar diffusion 법을 이용하여 식중독 및 질병을 일으키는 6종의 균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편백나무 추출액은 B. cereus, E. coli, L. monocytogenes, S. aureus, S. typhi,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 활성이 나타났고, 이중 B. cereus에 대하여 가장 강한 항 박테리아 활성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항균 활성이 나타난 6종의 균주에서 편백나무 추출액의 MIC 및 MBC는 $30{\sim}40{\mu}l/ml$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편백나무 추출액을 이용하여 식중독과 같은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균 소재로 개발한다면 산업적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서실의 항산화, 항균효과 연구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Chondria crassicaulis)

  • 배송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11-416
    • /
    • 2004
  • 홍조류의 하나인 서실을 추출, 분획하여 각 용매별 항산화와 항균효과를 관찰하였다. 서실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과, $.$ $O^{2-}$$.$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함으로서 $.$ $O^{2-}$ 제거능을 실험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실험한 결과는 메탄을 분획층인 CCMM층이 대조군으로 사용한 일반적 항산화제인 BHT와 vitC와 유사한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고, $O^{2-}$ 제거능은 CCMM층과 CCMA층에서 활성을 보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 CCMM층에서 항산화 효과가 제일 좋았고 CCMA층에서도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물질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한 항균활성 효과 실험 결과, 홍조 해조류인 서실의 Bacillus subtilis를 제외하고는 CCMB층에서의 항균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 군주 4종 모두 CCMH층에서는 미약하나마 효과가 있었다. 본 실험 결과 홍조 해조류인 서실의 항산화 효과 검색에서 Methanol층인 CCMM층이 항산화 효과가 가장 좋았으며 항균효과 검색에서는 CCMB층이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서실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물질에 대찬 단계적인 분리 동정이 이루어져 CCMM층과 CCMB층의 생리활성물질 개발이 기대되는 바이다.

Black stain을 가진 유치 치태에서 추출한 방선균의 S. mutans에 대한 항생능 평가 (THE ANTIBIOTIC ACTIVITY OF ACTINOMYCES ISOLATED FROM PLAQUE OF BLACK STAINED PRIMARY TEETH TO STREPTOCOCCUS MUTANS)

  • 박수진;김신;정태성;김재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19
    • /
    • 2009
  • 본 연구는 black stain을 가진 유치 치태에서 추출한 방선균이 S. mutans에 대해 항생능을 가지는가를 평가하고자 시도되었다. 만 $2{\sim}6$세 유치열기 어린이 중 black stain이 모든 치아에 존재하는 4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치태를 채취한 후, 증균 배양하여 16개의 방선균 균주를 분리해 냈으며, 이들이 생산해내는 물질이 항생능을 가지는지를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하여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No.1 균주와 No.5 균주에서 S. mutans에 항생능을 보였으며, 특히 No.5 균주는 Oxacillin과 유사한 항생능을 보였다. 2. No.1 균주와 No.5 균주는 일반적으로 항생능 평가시 사용되는 시험균인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에도 항생능을 보였다. 3. PCR을 통해 구강내 대표적인 상주 방선균들을 대상으로 이 균주들의 동정을 시도해본 결과 No.5 균주는 Actinomyces viscosus와 97%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개머루덩굴 추출물의 식품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Ampelopsis brevipedunculata Extracts On Food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

  • 최무영;임태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30-435
    • /
    • 2010
  • 본 연구는 천연 식품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한약 재료로 이용되고 있는 개머루덩굴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식품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은 식품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효과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Escherichia coli O157:H7 균에 대해 가장 높은 항균효과를 보였다. 또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almonella typhimurium, Yersinia enterocolitica,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O157:H7 균들의 배양액에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를 250, 500, 1,000, 2,000 mg/L 각 농도별로 첨가하여 생육을 조사한 결과 250 mg/L까지는 대조군과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500 mg/L 이상에서는 유의적인(p<0.05)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이 식중독을 유발시키는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개머루덩굴이 효과적인 천연보존료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피마자(Ricinus communis L.) 잎과 열매의 열수(熱水)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항산화 효능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Ricinus communis L. Leaves and Fruits)

  • 박장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353-361
    • /
    • 2018
  • 천연 항균제 및 항산화제 개발의 일환으로 선택한 피마자 열매의 열수 추출물(RFW)과 에탄올 추출물(RFE)은 각각 15.8%와 18.4%의 수율을 나타냈다. Paper-disc method을 통한 항균활성 측정 결과, 피마자 열매를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났다. 특히 녹농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에서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캔디다균에서도 배양 16시간까지 1.5mm 정도의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나 24시간 이후에는 캔디다균의 증식이 다시 관찰되었다. 피마자 열매 에탄올추출물(RFE)의 MIC실험 결과 S. aureus와 P. aeruginosa에서 각각 96%와 93%의 항균력이 나타났다. 피마자 잎 열수추출물(RLW)과 피마자 잎 에탄올추출물(RLE)의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을 통한 항산화 효능 결과는 $1000({\mu}g/m{\ell})$에서 각각 $1.8{\pm}0.6%$, $2.1{\pm}0.7%$의 free radical 소거율을 나타냈다. 본 연구가 향후 천연물을 이용한 항균제 및 항산화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리라 사료된다.

디지털 비디오 광 디스크의 복제방지를 위한 후처리 암호화 기록 장치의 설계 (Design of After-processing Encrypted Record System for Copy Protection of Digital Video Optical Discs)

  • 김형우;주재훈;김진애;최중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435-1440
    • /
    • 2010
  • 본 논문은 디지털 비디오 타이틀 제작 업체가 디스크 제작을 완료한 후 디스크 복제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디스크의 일부영역에 타이틀 업체의 고유ID를 기록하는 후처리 암호화 기록장치에 대한 시스템을 제시한다. 그 방법으로서 FPGA를 이용하여 광디스크의 메모리블럭 동기화 신호인 SYNC.를 검출하고, 기록(Write)을 위한 다중펄스(Multi Pulse)를 발생시키는 기록 패턴을 설계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광 디스크의 데이터영역을 어느 곳이라도 자유자재로 기록이 가능하도록 FPGA로서 기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설계한다. 이러한 디지털 비디오 광 디스크의 비기록 데이터영역을 사용자 임의대로 기록하는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서 소프트웨어 복제 방지에 효과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며, 향후 고밀도 광 디스크의 암호화 기록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백강균(Beauveria bassiana)을 이용한 식물병원성세균 생장억제효능 검증 (Effects of the growth inhibition against plant pathogenic bacteria using Beauveria bassiana)

  • 이기만;남성희;홍인표;성규병;배윤환;강태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7-89
    • /
    • 2011
  • 뽕나무병원성세균에 대한 Beaveria bassiana 6균주의 항균활성을 paper disc법으로 조사하였고 최소성장저해농도(MIC)를 액체배지희석법으로 조사하였다. 항균활성은 B. bassiana J200에서만 나타났으며, Erwinia rhapontici KACC 10407에서는 13mm, Pseudomonas syringae KACC 10390와 Xanthomonas campestris KACC 12134에서는 각각 17 mm의 항균활성이 나타났다. MIC 측정 결과 E. rhapontici KACC 10407, P. syringae KACC 10390 및 X. campestris KACC 12134 모두 4.0%에서 MIC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B. bassiana의 뽕나무병원성세균에 대한 생물학적 방재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배풍등 분획물의 항균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The Effects on Antimicrobial and Cytotoxicity of Solanum Iyratum Fractions)

  • 신미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48-954
    • /
    • 2005
  • 민간에서 만성간염, 수종, 옹종, 습진, 류마치스성 관절통, 소변분리, 말라리아, 황달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며, 해열 진통제로 약용하고 있는 배풍등을 metanol (SLM)로 먼저 추출하고 이를 hexane (SLMH), ethylether (SLMEE), ethylacetate(SLMEh), butanol (SLMB) 및 수층 (SLMA) 등 다섯가지의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배풍등의 항균 및 항발암 효과를 연구하였다. 먼저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하여 배풍등의 항균효과를 알아보았다. P. mirabilis, S. aureus, S. marcescens 및 B. substilis의 4가지 사용균주에 배풍등의 각 분획물을 처리한 결과, 모든 균주에서 SLMEA층에서 가장 높은 항균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는 SLMEE에서 항균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배풍등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cytotoxicity)를 MTT assay로 실험한 결과, 4종의 암세포주 HeLa, MCF-7, HT-29 및 HepG2 모두 배풍등의 ethylether 분획층인 SLMEE총에서 가장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암예방 QR유도 활성을 HepG2 세포주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에서도, 다른 분획층에 비해 비극성 용매층인 SLMEE층에서 유의적으로 QR유도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극성과 비극성을 둘 다 가지는 SLMEA층에서의 항균활성 물질과 비극성 용매층인 SLMEE 층에서의 암 예방 물질의 단계적인 분리 동정을 통한 생리활성 물질의 개발이 기대되어진다.

파일 오브젝트 분석 기반 개선된 물리 메모리 실행 파일 추출 방법 (An improved extraction technique of executable file from physical memory by analyzing file object)

  • 강영복;황현욱;김기범;노봉남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861-870
    • /
    • 2014
  • 악성코드의 지능화에 따라 물리 메모리에서 실행 파일을 추출하는 것이 중요한 연구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물리 메모리에서 파일 데이터를 추출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실행과정에서 사용 중인 파일 데이터를 추출하기 때문에 원본 파일 데이터가 추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물리 메모리에 저장되는 파일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과 동일하게 추출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윈도우 파일 오브젝트 커널 정보 분석을 통한 실행 파일 데이터 추출 방법을 제시한다. 실험을 통해 물리 메모리에 저장되어있는 실행 파일 데이터 특징을 분석하고,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원본 파일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추출함으로써 제안 방법의 우수함을 증명한다.

광 픽업 성능 평가기 캘리브레이션 (Calibration of an Optical Pick-up Performance Evaluator)

  • 류정래;도태용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578-583
    • /
    • 2014
  • Optical pick-up is a core component for data read/write operations in optical disc drives, and an optical pick-up performance evaluator is an instrument used to analyze the overall performance of an optical pick-up. Due to inevitable errors in an analog measurement circuit, resultant evaluation data is not guaranteed to be accurate. In this paper, a calibration method for an optical pick-up performance evaluator is proposed to ensure evaluation accuracy. Measured data is corrected by a 1st order correction function, and a calibration process based on least-square method is utilized to obtain correction coefficients of the correction function. The proposed calibration method is applied to experiments, and enhanced accuracy is presented with resultant evaluation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