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latability of rice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5초

Influence of Ripening Stages on the Quality of Whole Crop Silage and Grain Silage of Fodder Rice

  • Maruyama, S.;Yokoyama, I.;Asai, H.;Sakaguchi, S.;Ohtani, T.;Yokota, H.;Kit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3호
    • /
    • pp.340-344
    • /
    • 2005
  • In high-income Asian countries like Korea and Japan, per capita rice consumption has declined because of the change in consumer' favorite foods from rice to high-cost quality foods. This has forced farmers to reduce rice production. Although fodder rice could be another option to be cultured by farmers, available information concerning rice grain silage has been limited. In the present study, therefore, the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fodder rice silage prepared from either whole crop or grain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was compared. Various supplements were also added into whole crop and grain silages of fodder rice before ensiling, and thereafter, the palatability of prepared silages was determined by beef cattle. At ear emergence stage, the pH values for both grain and whole crop silages were approximately 4.5. In both grain and whole crop silages, the pH valu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progressing ripening stages from milk-ripe stage to yellow-ripe stages, and the increase in pH value for grain silage was faster than that for whole crop silage. In the grain silage, the higher lactic acid (LA) content in grain silage seemed to be, the lower pH value was. Both in grain and whole crop silages, pH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supplementation with LA bacteri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ed intake among any treatment groups.

벼 유기재배와 관행재배의 생육 및 수량과 품질 비교 (Comparison of Growth, Yield and Quality between Organic Cultivation and Conventional Cultivation in Rice (Oryza sativa L.) Field)

  • 차광홍;오환중;박노동;박흥규;안규남;정우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9-208
    • /
    • 2010
  • 벼 유기재배와 관행재배의 쌀 수량 및 품질의 비교를 조사하기 위하여 벼 병충해의 발생정도를 반남과 노안의 벼 포장에서 실시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시험에서 벼 병충해 방제는 노안지역 관행재배는 2회, 반남지역 관행재배는 4회 실시하였으며 유기재배는 노안, 반남지역 모두 2회 실시하였다. 포장에서 벼 병해충은 줄무늬잎마름병,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 혹명나방, 멸구류가 주로 발생하였다. 벼 병해충 중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혹명나방은 관행재배보다 유기재배에서 발생이 많았다. 2. 벼 생육상황은 간장이나 수장은 관행재배에 비해 유기재배에서 약간 짧은 경향이었다. 노안지역은 유기재배의 경우 관행재배에 비해 주당수수는 0.6개 정도 많았으나 수당입수, 등숙비율, 정현비율, 현미 천립중이 낮았다. 반면 반남지역은 유기재배의 경우 관행재배에 비해 주당수수는 0.8개 정도 적었으나 수당입수와 등숙비율은 높았고 정현비율은 낮았다. 전체 수량은 유기재배가 관행재배에 비해 노안지역은 84% 수준이고, 반남지역은 94% 수준이었다. 3. 쌀의 품위는 노안지역과 반남지역 두 지역 모두 완전립율이 관행재배보다 유기재배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쌀의 품질은 반남지역의 경우 유기재배시 기비로 사용한 질소가 관행재배에 비해 많아서 늦게 비효가 발현되어 이삭도열병, 혹명나방 피해가 발생하여 관행재배에 비해 단백질, 취반미 윤기치값이 낮았다. 반면 노안지역의 경우 유기재배시 기비로 사용한 질소가 관행재배에 비해 적어서 관행재배보다 단백질, 백도, 취반미 윤기치값 등에서 양호하게 나타났다.

국내산 쌀과 중국산 찐쌀의 품질 비교 (Comparison of Grain Quality between Chinese Parboiled and Domestic Rice)

  • 원종건;안덕종;김세종;박소득;최경배;이상철;손재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9-23
    • /
    • 2005
  • 본 시험은 중국에서 수입된 찐쌀 및 중국에서 시판되고 있는 브랜드 쌀의 품질 및 물리적 특성 등을 분석하여 국내산 브랜드 쌀과의 미질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완전미 비율은 비록 국내산 일품벼 브랜드 쌀에서 $96.1\%$, 중국의 갱관(粳冠 Jinguan) $94.1\%$, 소참도(小站稻, Xiaozhandao) $86.5\%$였으며, 특히 중국산 찐쌀에서는 금간쌀이 $8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싸라기 함유율 또한 $12.5\%$로 나타나 완전미는 전혀 찾아 볼 수 없었다. 2. 단백질 함량은 국내산 일품벼과 중국 브랜의 소참도에서 6.5와 $6.7\%$로 낮게 조사되었고, 중국산 찐쌀과 중국산 브랜드인 갱관에서는 7.4와 $7.5\%$로 상당히 높게 조사되었다. 3. 아밀로즈 함량은 가공하지 않았던 국내산 일품 쌀과 중 국산 갱관 및 소참도 등에서 $18.6\~19.9\%$정도였으나 일차적으로 쪄서 말려 가공된 중국산 찐쌀의 경우 $46.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4. 단백질 함량이 높을수록 최고점도, 강하점도 등은 저하되었으며, 아밀로즈 함량이 높을수록 치반점도의 절대값은 높아져 국내산 일품벼 및 소참도는 밥맛이 양호하였으나 찐쌀은 그와 반대되는 경향이었다. 5. 밥의 형태가 변형되는데 필요한 힘을 나타나낸 경도(Hardness)는 일품벼에서 5618g로 중국 찐쌀의 3907g에 비해 1711g이나 더 높았으며 그 외 부착성, 점탄성, 저작성 모두 일품벼에서 더 높아 밥의 물리적 특성이 좋게 나타났다. 6. 중국산 찐쌀에서 취반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경도의 강하 정도는 더 커서 밥의 물성 변화가 더 빨랐다. 오히려 잔디의 밀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초장의 경우 복비의 무처리시 거의 잔디의 초장이 신장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잔디의 피해지역에 복비를 처리할 경우 잔디의 빠른 생장이 이루어졌다. 신초 건물중은 복비 처리전 8월 6일에 비하여 11월 6일에 이스트밸리 LD지역의 무처리구가 $1.2\%$감소하였지만 처리구는 $50\%$정도가 증가하였다. 지산의 시험 결과도 이스트밸리와 유사하였다. 신초와 뿌리의 비율(S/R)은 처리구의 경우 뿌리보다 신초의 건물중이 더 증가하였지만, 무처리구의 경우 뿌리와 신초의 생장율이 거의 비슷하였다. 포복경과 지하경의 건물중을 합한 R&S의 건물중을 조사한 결과, 이스트밸리의 경우 복비를 처리하기 전 8월6일에 무처리구인 LD지역이 처리구인 LD지역에 비하여 $5.5\%$정도가 적었지만 복비를 처리한 후엔 오히려 처리구의 LD지역이 $48\%$로 증가하였다. 지산의 결과 역시 이스트밸리와 유사하였다. 4. 이상의 결과들로 알 수 있는 것은 수목 근부에 생장하고 있는 잔디의 피해 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골프장내 수목의 밀생 지역이 아닌 경우에는 광에 의한 피해보다는 오히려 양분과 수분의 경쟁에 의한 피해 발생 비율이 크다. 따라서 이들 잔디의 피해 지역에 복비를 처리함으로서 무처리 지역에 비하여 상당히 많은 효과를 보았기 때문에 수목 근부에서 생장하는 잔디의 집중관리 체계로 보다 효율적인 코스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ing이 관찰되는데, 진성기업의 Stainless Steel은 가늘고 긴 압흔이 있으며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을 보이고, Unitek사의 경우 압흔과 함께 pitting 이 관찰되며, Ormco Stainless Steel의 경우 불규칙한 pitting이 다

Effects of Panicle Position and Planting Densit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 in Panicle Number Type Rice

  • Han, Chae-Min;Shin, Jong-Hee;Kwon, Jung-Bae;Kim, Sang-Kuk;Won, Jong-Gun;Ryu, Jung-G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3호
    • /
    • pp.155-163
    • /
    • 2022
  • The tillering potential of panicle number type (PNT) rice greatly varies with planting density. Moreover, grain filling and ripening differ depending on the panicle position, which may further affect rice grain quality.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grain quality of PNT rice sparsely planted to reduce production costs.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arch from the grains of PNT type rice 'Ilpum' planted at different densities (37, 50, 60, and 80 plants/3.3 m2) and at different positions of panicles (upper or lower on the culm) were determined. Overall, as the planting density decreased, the number of panicles increased but the starch content decreased, which further reduced the 1,000-grain weight. In particular, at the lowest density (37 plants/3.3 m2), protein content increased but particle size, enthalpy, and relative crystallinity decreased. The effects were more pronounced at lower than at upper panicle posit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illering potential differs with planting density, ultimately affecting the palatability of rice grains.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 restricting rice transplantation to a planting density of ≤37 plants/3.3 m2 to achieve the best quality of grains at lower costs and with less labor.

남부 산간고랭지에서 쌀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량 (Optimum N-fertilization Level for Quality Rice Production in the Southern Alpine Area of Korea)

  • 김상수;최원영;남정권;이준희;백남현;박홍규;최민규;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30-34
    • /
    • 2006
  • 남부 산간고랭지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질소시비량을 구명하고자 $2002{\sim}2004$년에 남부 산간고랭지 인 운봉에서 삼천벼를 공시하여 질소시비량에 따른 생육, 수량구성요소, 쌀 수량 및 품질 관련형질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수수와 입수는 다비할수록 많았으나, 등숙비율과 현미천립중은 다비할수록 저하되었다. 2. 백미 외관상 품위에서 완전립 비율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낮았고, 아밀로스 함량은 질소시비량 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됨에 따라 다소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3. 쌀 수량과 완전미 수량은 질소 9 kg/10a 수준까지는 증수 되었으나 그 이상의 질소시비량에서는 수량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4. 따라서 남부 산간고랭지에서 완전미 수량, 완전미비율, 미질, 등숙비율 등을 고려한 품질향상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량은 10a당 9 kg 내외로 판단된다.

소비재배가 벼 생육 및 미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fertilization on Rice Growth and Quality of Milled Rice)

  • 김세종;원종건;안덕종;박소득;최경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67-72
    • /
    • 2006
  • 본 시험은 벼 질소 소비 재배시 생육 및 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일품벼 등 18종을 공시하여 관행 질소량 11.0 kg/10a와 소비 질소량 5.5 kg/10a로 구분하여 수행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비 재배시 관행 재배에 비해 출수기는 1일 빠르거나 같았고, 초장은 $1{\sim}7cm$ 정도 작았으며, 경수, SPAD 치는 같거나 비슷한 경향이었다. 지상부 건물중은 새계화벼가 5.5kg/10a 시용시 주당 5.7 g적어 가장 큰 감소를 보였다. 수량은 470 kg/10a 이상 생산할 수 있는 품종은 일미벼, 남평벼, 신동진벼, 동진1호, 동안벼였다. 그러나 소비재배시 관행에 비해 수량 감소가 13% 이상 큰 품종은 주남벼, 동안벼였으며 수량 감소가 적은 품종은 수라벼, 화영벼 등이었다. 쌀 품위 및 식미 향상 품종은 화영벼, 추청벼, 일미벼, 일품벼 등 11품종이었다. 소비재배해서 쌀 수량 및 식미가 좋은 유망 품종은 동안벼, 일미벼, 일품벼, 동진1호, 새추청벼, 새계화벼였다.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the mixture of glutinous rice and cooking methods

  • Woo, Koan Sik;Lee, Kyung Ha;Kim, Mi-Jung;Ko, Jee Yeon;Sim, Eun-Yeong;Lee, Choon Ki;Jeon, Yong H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48-248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cook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added at various rate of glutinous rice addition and treated with two cooking methods. Cooked rice added with glutinous rice was cooked by general and high pressure cooking method with and without fermented alcohol. Pasting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were decreased as increasing the amounts of glutinous rice. Water binding capacity and swelling power were significant decreased with the amounts of glutinous rice increasing, however water solubility indices were significant increased. Palatabilit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added with glutinous rice showed similar results to cooked rice without glutinous ric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cooked rice added with glutinous rice and fermented alcohol were significantly distinc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increased as increasing the amounts of glutinous rice. Total flavonoid contents by general cooking method of cooked rice added with 20% glutinous rice and fermented alcohol were $23.20{\pm}0.61{\mu}g\;CE/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dded with and without glutinous rice were 2.97~5.19 and 3.19~5.45 mg TE/100 g, respectivel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by high pressure cooking method of cooked rice added with 20% glutinous rice and fermented alcohol were $19.48{\pm}0.63mg\;TE/100g$. In this study, cook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added with glutinous rice we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on manufacturing processed products.

  • PDF

Varietal Difference in Water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Milled Rice, and Its Relation to the Other Grain Quality Components

  • Hae Chune, Choi;Jeong Hyun, Chi;Soo Yeon, C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88-295
    • /
    • 1999
  • Nineteen japonica and Tongil-type rices were selected from seventy nine Korean and Japanese rice cultivars grown in 1989 based on the water uptake behavior of milled rice under the room temperature and boiling conditions. The selected rice cultivars were investigated for water absorbability and som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illed rice, proper water amount for cooking and sensory evaluation of cooked ric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ested grain properties were also examined. The highest varietal variation of water uptake rate was observed at twenty minutes after soaking in water. The maximum water uptake of milled rices at room temperature occurred mostly at about eighty minutes after soaking in water. Newly harvested rices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water uptake rate of milled rice at 20 minutes after soaking, a relatively higher maximum water absorption ratio under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less water uptake and volume expansion of boiled rice compared with the one-year old rice samples. The water uptake rate and the maximum water absorption ratio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K/Mg ratio and alkali digestion value(ADV) of milled rice. The rice materials showing the higher amount of hot water absorption exhibited the larger volume expansion of cooked rice. The harder rices with lower moisture content revealed the higher rate of water uptake at twenty minutes after soaking and the higher ratio of maximum water uptake under the room temperature condition. These water uptake characteristics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protein and amylose contents of milled rice ansd the palatability of cooked rice. The water/rice ratio(in w/w basis) for optimum cooking was averaged to 1.52 in dry milled rices (12% wet basis) with varietal range from 1.45 to 1.61 and the expansion ratio of milled rice after proper boiling was averaged to 2.63(in v/v basis). The water amount needed for optimum cooking was the lowest in Cheongcheongbyeo (Tongil-type rice) and the highest in Jinbubyeo, and the amount could be estimated with about 70% fittness by the multiple regression formula based on some water uptake characteristics, ADV and amylose content of milled rice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Nineteen rice cultivars were classified into seven groups based on scatter diagram project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eight properties related to water uptake and gelatinization of milled rice.

  • PDF

벼 중만생 복합내병 직파적응성 "동진2호" (A New Medium-late Maturity Rice Cultivar, "Dongjin2" with Direct Seeding Adaptability and Multiple Disease Resistances)

  • 김보경;고종철;백만기;남정권;하기용;김기영;이재길;고재권;백소현;김정곤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95-298
    • /
    • 2008
  • "동진 2호" 품종은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에서 2005년도에 육성한 중만생 복합내병성 직파적응성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담수직파와 건답직파에서 8월 16일, 8월 21일로 주안벼보다 3~5일 늦으며, 호남평야지 및 영남평야지 보통기 보비 이앙재배에서는 평균 출수기가 8월 13일로 남평벼보다 3일정도 빠른 중만생종이다. 2. 간장은 70 cm로 남평벼 보다 8 cm 작고 이앙재배에서 주당수수는 남평벼와 같고 수당립수는 많다. 등숙비율은 다소 떨어지고 현미천립중은 24.2 g으로 중립종에 속한다. 3. 도열병에는 중강, 흰잎마름병 및 줄무늬잎마름병에는 강하나 기타 바이러스병이나 멸구 및 매미충류에는 약한 반응을 보였다. 4. 수발아 및 냉수처리 임실율은 남평벼와 비슷하거나 같았으며 냉수시 출수는 3일 지연되었다. 5. 쌀수량은 담수직파에서 571 kg/10a으로 주안벼보다 12%, 건답직파에서 539 kg/10a 으로 7% 증수되었으며 평야지 이앙재배에서는 574 kg/10a으로 6% 증수하였다. 6. 쌀은 심복백이 거의 없으며 투명도는 남평벼 수준으로 맑고 투명하다. 단백질 함량은 남평벼 보다 낮고 제현율과 도정율은 높았다. 7. 동진2호는 충남 이남 평야지(충남, 전남북, 경남북) 이앙재배 및 담수직파재배에 알맞은 품종이다.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에 따른 벼의 미질특성 분석 (Assessing Grain Quality Properties of Reclaimed Wastewater Irrigation)

  • 정기웅;김학관;장태일;김상민;박승우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6호
    • /
    • pp.183-189
    • /
    • 2010
  • 본 연구는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에 따른 벼의 미질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험포장을 조성하여 쌀의 아밀로스 및 단백질 함량, 완전미 도정수율을 분석하고 유의성을 고찰하였다. 시험포장의 수질 및 토양환경을 조사하였으며,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통해 미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하수처리수로 재배된 쌀의 미질 특성치는 일반미와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분석 결과 5% 유의수준에서 각 처리구별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