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inting layers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1초

아크릴계 수지(Paraloid B-72)가 사찰벽화 보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금산사 미륵전 외벽화를 중심으로 - (Assessing the Effects of Acrylic Resin (Paraloid B-72) on Buddhist Mural-painting conservation - Focusing on Outside Mural Paintings of Mireuk Hall in Geumsan Temple -)

  • 이경민;한경순;이화수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9호
    • /
    • pp.65-90
    • /
    • 2008
  •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and the physical features of Paraloid B-72 layers with examination of microstructure and analysis of organic matters. Paraloid B-72 layers were coated on samples from the colour layer of outer wall painting in Mireuk hall in Geumsan temple.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examination result, it has made the samples which are similar to outer wall in Mireuk hall in Geumsan temple. The samples can be divided into two, one; 5% Paraloid B-72 coating and another is without coating. Then samples have been experimented under the compulsive environments of infrared radiation and immersion, thereafter compared the results of the damages and physical features between two sample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sample with Paraloid B-72 had more serious cracks, exfoliations and peeling layers than that of without Paraloid B-72. Otherwise, in the examination of ultraviolet radiation, the sample with Paraloid B-72 coating showed weaker physical properties, less density in structure of colour layer and less hardness in surface of colour layer than the sample without coating. The percentage of moisture content after the ultraviolet radiation was higher in the sample without Paraloid B-72 than the sample with Paraloid B-72 coating. Observing the conditions before the ultraviolet radiation, the sample with Paraloid B-72 coating demonstrated lower rate in moisture evaporation rate than the sample without Paraloid B-72. As a consequence, in examination of this samples, the change of physical features are increased in the sample with Paraloid B-72 coating than that without Paraloid B-72 when compulsive environment of heat, moisture and ultraviolet rays for a short term are imposed.

  • PDF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중앙아시아벽화 보존처리 (Conservation of Central Asia Wall Painting Stock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조연태;이용희;허윤현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5권
    • /
    • pp.43-47
    • /
    • 2004
  •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중앙아시아벽화 5점(본4054, 본4074, 본4077, 본4096, 본4097)을 약 2년여에 걸쳐 연차적으로 보존처리를 실시하여 완료하였다. 이번에 보존처리 완료한 중앙아시아벽화는 세척 - 안료층 강화 - 안료층 보호를 위한 Facing - 목재 프레임 해체 및 분리 - 벽체 강화 및 보강 - 벽체 지지체 부착 - Facing 제거 - 액자 제작 및 마감처리 순으로 실시 하였다. 특히, 박락된 안료층과 약화된 벽체의 강화와 전시 프레임의 구조개선에 중점을 두고 처리 하였다.

미얀마 바간유적 파야톤주 사원벽화의 채색층 고착처리를 위한 님(Neem) 수지 적용 가능성 연구 (A Study on Applicability of Neem Resin as a Fixative on the Painting Layer of Mural Paintings from Payathonzu Temple in Bagan, Myanmar)

  • 음소정;이화수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4권
    • /
    • pp.117-132
    • /
    • 2020
  • 미얀마 바간유적 파야톤주 사원벽화의 채색층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손상이 발생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얀마 전통 접착제인 님(Neem) 수지를 대상으로 채색층 고착처리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 소아교와 Paraloid B-72를 선정하였으며, 원 벽화와 유사한 조건의 의사시료를 제작하여 고착제 도포 전·후 및 열화실험에 따른 변화양상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님 수지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표면의 얼룩, 황변, 광택 등의 변화가 다른 고착제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나, 4% 조건에서는 비교적 적은 변화가 확인되었다. 색도 및 광택도 역시 고착제 도포 전·후로 변화폭이 큰 것으로 확인되나, 다른 농도와 비교했을 때 4% 농도에서 낮은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고착강도의 경우, 님 수지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다른 고착제에 비해 바탕칠층 및 채색층에 대한 고착 능력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환경요인에 따른 적은 표면변화, 낮은 색차 및 광택도, 우수한 고착강도의 특성들을 보았을 때 님 수지 4%의 조건에서 채색층 고착 처리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파야톤주 사원벽화 보존처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aterial and Manufacturing Properties of Bracket Mural Paintings of Daeungjeon Hall in Gaeamsa Temple, Buan

  • Lee, Hwa Soo;Yu, Yeong Gyeong;Han, Kyeong-Soon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5-54
    • /
    • 2022
  • This study examined the production technique of bracket murals in Daeungjeon Hall, Gaeamsa Temple by conducting a analysis of their wall structur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ainting layers. Wall was a single-branch structure with support layer, middle layer, finishing layer, and painting layer. The support layer, middle layer and finishing layer, were produced by mixing sand (quartz, feldspars etc.), and loess. The ratio of above medium sand to below fine sand was approximately 0.7 : 9.3 in the support layer, 4 : 6 in the middle layer and 6 : 4 in the finishing layer, which had a more percentage of above medium sand than the support layer. The analysis of the painting layer showed that natural soil pigment was used to establish a relatively ground layer of up to 50 ㎛, and pigments such as Lead sulfate, atacamite and mercury sulfide were painted on top of the layer. This study's results confirmed that the bracket mural paintings in Gaeamsa Temple are within the category of the production style of murals during the Joseon period. However, the points that the middle layer was formed several tim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le size distribution between the wall, and the absence of chopped straw in the support layer are a feature of bracket mural paintings in Gaeamsa Temple. These properties of murals as material and structure may be viewed for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damage to wall structure of mural painting and would serve as an important reference to diagnosis the conservation conditions of murals or prepare conservation treatments.

Transparent TIO/Ag NW/TIO Hybrid Electrode Grown on PET for Flexible Organic Solar Cell

  • Seo, Ki-Won;Lee, Ju-Hyun;Na, Seok-In;Kim, Han-ki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94.2-394.2
    • /
    • 2014
  • We fabricated highly transparent and flexible Ti doped In2O3 (TIO)/Ag nanowire(NW)/TIO (TAT) multilayer electrodes by linear facing target sputtering (LFTS) and brush-painting for used as flexible for anode organic solar cells(FOSCs). The characteristics of TAT transparent anode as a function of number of brush-painting cycles was also investigated. At optimized conditions we achieved highly flexible TAT multilayer electrodes with a low sheet resistance of $9.01{\Omega}/square$ and a high diffusive transmittance more than 80% in visible region as well as superior mechanical stability. The effective embedment of the Ag NW network between top and bottom TIO films led to a metallic conductivity, high transparency. Based on FE-SEM HRTEM, and XRD analysis, we can find that the Ag NW network was effectively embedded between top and bottom TIO layers due to good flexibility of Ag NW, the TAT multilayer showed superior flexibility than single TIO layer. Successful operation of FOSCs with high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3.01% indicates that TAT hybrid electrode is a promising alternative to conventional ITO electrode for high performance FOSCs.

  • PDF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한 회화문화재 상태진단 적용연구 (Study of Noncontact Condition Diagnosis on Painting with Terahertz Waves)

  • 백나연;강대일;하태우;심경익;이호원;김재훈;이한형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35-247
    • /
    • 2016
  • 회화문화재의 손상상태를 진단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육안관찰, 적외선 촬영, X선 촬영 등이 활용되고 있으나 표면에서 확인되지 않는 하부층의 손상상태에 대한 3차원적 정보획득에는 한계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문화재 분야에 막 응용되기 시작한 테라헤르츠 분광분석기술을 회화문화재 상태진단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회화문화재의 손상양상을 고려한 의사시편을 제작하고 테라헤르츠 반사펄스 이미징기술을 적용하여 채색층 하부의 바탕층 및 배접층의 손상에 대한 정보 획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바탕층과 배접층의 균열, 층위 간 이격, 이격의 범위와 정도에 대한 정보획득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의사시편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회화문화재인 보물 제1792호 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에 대하여 테라헤르츠 이미징기술을 적용한 결과, 유물의 3차원적 손상 형태와 손상 정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이는 비파괴, 비접촉식의 테라헤르츠 이미징기술이 우리나라 회화문화재의 3차원 손상상태 진단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주는 결과이다.

진도 쌍계사 대웅전 벽화의 재질특성 및 제작기법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for the Mural Paintings in Daeunjeon at Ssanggyesa Temple, Jindo)

  • 이나라;유영경;이화수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01-71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진도 쌍계사 대웅전 내부 벽화를 대상으로 현미경 조사, SEM-EDS, XRD, 입도분석 등을 통한 과학적 조사를 실시하여 벽화의 구조 및 재질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벽체는 모래와 풍화토 등 토양을 사용하여 벽체를 제작하였으며, 초벽층, 중벽층, 그리고 마감층의 층위를 구성한 점들을 미루어 볼 때 전형적인 사찰벽화 토벽화 제작양식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토벽체 위에 석회로 마감층을 조성하고, 그 위에 징크 화이트를 사용하여 바탕칠한점 등의 특이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채색층의 균열 양상, 화면의 광택, 두께감 있는 붓 터치 등 유화 기법으로 제작된 회화 표면과 유사한 특징들이 관찰되었다. 연구 결과, 진도 쌍계사 대웅전 내부 벽화는 흙으로 벽체를 조성하였으나, 채색층은 건성유를 사용한 서양화 기법이 쓰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국내 현존하는 사찰벽화에서 유화 기법이 사용된 최초 연구 사례로 볼 수 있다.

Scientific Analysis of Pigments in 20th Century Paintings for Selected Historical Churches of the Bohol, Philippines

  • Roxas, Gracile Celine;Han, Min Su;Moon, Dong Hyeok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07-518
    • /
    • 2017
  • Through a combination of scientific analytical methods, the coloring materials used in $20^{th}$ century paintings in historical churches of Baclayon, Dauis and Loay, which are municipalities in Bohol, Philippines, were studied. Inorganic pigments were identified using SEM-EDS and XRD. Iron-based pigments were commonly found in the paintings, yielding dark yellow and brown colors. Zinc oxide was identified as the white pigment in the ceiling paintings of Dauis Church and Loay Church, while titanium dioxide was detected in the column painting in Baclayon Church. Organic analysis showed the presence of Pigment Yellow 3, a synthetic organic pigment. Paint layers, as well as other components of the samples such as grounds and metal leaves, were examined microscopically. It was observed that different types of grounds were applied on different types of surfaces. Moreover, organic pigments were found in combination with white extender materials. Microscopic examination also revealed alterations in the artworks, such as the overpaint layer found in the samples from Baclayon Church cornice and the imitation metal leaf layers applied over the original gilt surface in the Loay Church retablo.

한국 판벽화 채색층 보존처리 고착제의 내후성 연구 (A Study on the Weathering Resistance of Fixatives Used on Conservation of Painting Layer of Korea Wooden Painting)

  • 이슬;한경순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97-405
    • /
    • 2018
  • 현재 한국 판벽화에 대한 연구는 극히 드물며 정확한 정의, 손상원인 등의 연구 또한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판벽화 및 단청의 채색층 박리부위 고착을 위한 고착처리제의 내후성을 비교하였다. 시료는 육송 위 총 5종의 호분, 자황, 석간주, 뇌록, 삼청안료를 채색하고 아교, 우뭇가사리, Methyl cellulose, PVAc계열 고착제(Caparol binder) 총 4종의 고착제를 각각 농도 0.5%, 1.5%로 도포하여 비교하였다. 고착 보존처리 후 문화재에 발생할 수 있는 환경변화 요소인 온 습도, 자외선을 인위적으로 조사(照射)하였다. 조사 후 환경에 따른 물성 변화는 색차변화, 박리손상도 평가, 표면관찰을 통해 다각적으로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아교는 타 고착제들에 비해 모든 채색층이 안정적으로 고착되었으나 실외에 노출되어 있는 삼청에 사용할 시 황변이 우려되었다. 우뭇가사리는 아교와 마찬가지로 삼청은 자외선에 의한 영향을 받으나 이외에 급격한 온 습도 변화에는 타 고착제에 비해 고착력이 가장 우수했다. Methyl cellulose는 일정 이상 농도에서 광택에 유의하여야 하며 급격한 온 습도 변화에 비교적 강했으며 PVAc계열 고착제(Caparol binder)는 타 고착제들에 비해 고착성이 현저히 떨어졌다.

공주 송산리 6호 벽화고분 보존을 위한 온열환경 분석 연구 (Thermal Environment Analysis for Preserving Ancient Mural Painting in Songsan-ri Tomb No. 6, Gongju, Korea)

  • 김대운;정선혜;이민영;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21-534
    • /
    • 2016
  • 고분은 구조적 특성상 대부분 좁고 밀폐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분을 둘러싼 높은 봉분으로 인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일부 차단된 공간적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공간적 특성은 연중 낮은 온도와 높은 상대습도가 유지되는 환경적 특성으로 이어진다. 연구 대상인 공주 송산리 고분군은 외부로부터 고분 내부로 유입되는 열에너지가 고분을 덮고 있는 토양층과 다수의 연결된 출입구로 인해 열의 흐름이 차단되거나 지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열흐름의 특이성(특수성)은 고분 내부 환경과 외부 환경 사이에 약 2개월의 시간적 격차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또한 고분 외부에서 차등적으로 유입되는 열에너지로 인해 고분 내부의 환경은 수평적, 수직적으로 미세한 환경적 차이가 발생되었다. 고분 내부에서 발생된 미시환경의 차이는 매년 규칙적으로 발생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방위 및 공간에 따른 환경조건과 결로현상 발생위치를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최적 보존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강제순환식 항온항습기의 고분 벽화 손상 위험성과 기계적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송산리 고분과 고분 벽화를 보존하기 위한 최적의 공조 설비 방안 및 공간계획수립에 있어 기반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