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eonia lactiflora pall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초

Isolation and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Root

  • Choung, Myoung-Gun;Kang, Kwang-Hee;An, Young-Nam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83-87
    • /
    • 2000
  • The five phenolic compounds of peony root were isolated b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identified by spectroscopic methods (UV, FT-IR, FAB-MS and $^1H$ .&^13C$-NMR). The complet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elucidated to be (+)-taxifolin-3-0-$\beta$-D-glucopyranoside, benzoic acid, gallic acid, (-)-epicatechin and (+)-catechin. The concentrations of five phenolic compounds in the peony root of three Korean cultivars (Youngchonjakyak, Euisungjakyak and Jomjakyak) were determined by reverse-phase HPLC. The constituents concentration in Youngchonjakyak were generally higher than in Euisungjakyak and Jomjakyak. The concentrations of (+)-taxifolin-3-O-$\beta$-D-glucopyranoside, benzoic acid, gallic acid, (-)-epicatechin and (+)-catechin in three different cultivars were ranged 0.23-0.52%, 0.20-0.30%, 0.26-0.28%, 0.09-0.12% and 0.34-0.63%, respectively.

  • PDF

Cryopreservation of Zygotic Embryos of Herbaceous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by Encapsulation-Dehydration

  • Kim Hyun-Mi;Shin Jong-Hee;Sohn Jea-Ke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54-357
    • /
    • 2004
  • A simplified technique which cryoprotects zygotic embryos by encapsulation-dehydration was developed for the germplasm conservation of herbaceous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The highest survival rate $(85\%)$ was obtained from embryos treated by encapsulation-dehydration. The zygotic embryos were precultured on MS medium containing 0.3mg/L $GA_3$ for 1 day. The precultured embryos were encapsulated in $3\%$ (w/v) alginate beads and immersed for 1 h in MS medium containing 2 M glycerol and 0.5 M sucrose. The encapsulated embryos were dehydrated for 5h by air drying prior to direct immersion in liquid nitrogen. This encapsulation-dehydration method appears to be a promising technique for germplasm cryopreservation of a herbaceous peony.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씨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 간조직의 항상화계와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s Extract of Paeonia Lactiflora on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of Liver in Rats Fed High-Cholesterol Diet)

  • 이정민;최상원;조성희;이순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8호
    • /
    • pp.793-800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Paeonia lactiflora (PL) seeds on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of liver in rats fed high-cholesterol diet.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100 $\pm$10g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ive experimental groups fed 0.5% cholesterol ; HC group which was not supplemented PL seeds extract, 0.1% methanol extract diet group (MP1 group), 0.2% methanol extract diet group (MP2 group), 0.05% ether-souble fraction diet group (EP1 group) and 0.1 % ether-souble fraction diet group (EP2 group). Experimental diets were fed ad libitum to the rats for 3 weeks. The activity of hepatic superoxide dismutase (SO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he high cholesterol diet groups. The hepatic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ctivity in MP2 group was increased to 27% compared to HC group. The activity of hepatic catalase (CA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all high cholesterol diet groups. The hepatic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activity in the EP1 and EP2 groups were increased to 12% and 13%, respectively, as compared to HC group. The levels of hepatic TBARS in the MP1, MP2, EP1 and EP2 groups were reduced by 18%, 21%, 20% and 23%,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HC group. The contents of lipofuscin in liv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he experimental grou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L seeds extract may be reduced oxidative damage by activating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of hepatic in rats fed high-cholesterol diets. (Korean J Nutrition 36(8): 793∼800, 2003)

Inhibition of Tyrosinase and Lipoxygenase Activities by Resveratrol and Its Derivatives from Seeds of Paeonia lactiflora

  • Kim, Hyo-Jin;Ha, Sang-Chul;Park, Sa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4호
    • /
    • pp.447-450
    • /
    • 2002
  • Previously, a methanol extract from seeds of Paeonia lactiflora was shown to have a potent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tyrosinase and soybean lipoxygenase (SLO). Seven stilbenes, trans-resveratrol-4-Ο-$\beta$-D-glucoside, trans resveratrol, trans-$\varepsilon$-viniferin, cis-$\varepsilon$-viniferin, gnetin H, suffruticosol A and B were isolated from the seeds as active principles for inhibition of the enzymatic activity. Among them, the resveratrol trimer, gnetin H exhibited the most potent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tyrosinase and SLO,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resveratrol dimers, trans-$\varepsilon$-viniferin and cis-$\varepsilon$-viniferin exhibited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two oxidative enzymes. Meanwhile, three other stilbene derivatives, such as trans-resveratrol, suffruticosol A and suffruticosol B had also weak inhibition activity. The least inhibitory activity was observed in transresveratrol-4-Ο-$\beta$-D-glucoside.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sveratrol dimers and trimer in the seeds of Paeonia lactiflora are potentially useful therapeutic agents against pathological disorders such as hyperpigmentation and inflammation.

작약에 의해 유도되는 HSP72 및 HO-1 유전자의 간독성 보호 효능 (Paeonia lactiflora Pall Pprevents $H_2O_2$-induced Hepatotoxicity by Increasing HSP72 and HO-1)

  • 오수영;이지선;서상희;김태수;마진열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43-848
    • /
    • 2011
  • In Korea, China, and Japan, Paeonia lactiflora Pall (PL) has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hepatitis, and fever for more than 1200 years. It has been reported that PL has protective effects against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and LPS-induced liver inflammation. However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 of PL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stress has not fully been elucidated. Here, we describe that the water-soluble extract of PL decreased $H_2O_2$-induced hepatotoxicity. This hepatoprotective effect of PL is reason to decrease the level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increase expression of heme oxygenase 1 (HO-1) and heat shock protein 72 (HSP72) which proteins are involved in protecting the cells from stress like as oxidative stress. We also elucidated that hepatoprotective effect of PL was abolished by knock down of HO-1 and HSP72 by siRN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creasing of HO-1 and HSP72 protein by PL treatment might be participated in hepato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tive stress such as $H_2O_2$.

한국산(韓國産) 작약근(芍藥根) 함유(含有) Paeoniflorin 과 Albiflorin의 분리(分離) 및 분석(分析) (Isolation and Determination of Paeoniflorin and Albiflorin in Korean Peony(Paeonia lactiflora Pall) Root)

  • 정명근;강광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49-254
    • /
    • 1997
  • 한국산 재배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에서 작약근의 주 활성물질로 평가되는 paeoniflorin과 albiflorin을 분리하였고. 국내 재배작약 10계통간에 paeoniflorin 과 albiflorin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분석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산 재배작약으로 부터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paeoniflorin 과 albiflorin을 분리하였고, 그 화학적 구조를 분광학적 방법 $(UV,\;FT-IR,\;^1H{\cdot}^{13}C-NMR)$으로 확인 하였으며, HPLC 상대순도는 각각 98%, 93%였다. 2. 국내 재배작약 10계통의 paeoniflorin함량을 조사한 결과 $1.56%{\sim}4.04%$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중 의성 9호가 1.56%로 가장 낮았고, 밀양 4호가 4.04%로 가장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재배 계통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3. 국내 재배작약 10계통의 albiflorin함량은 의성 4호가 0.04%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풍기 27호가 1.98%로 가장 높아 계통간 차이가 뚜렸하였고, 조사된 10계통 중 풍기 계통은 $0.10%{\sim}1.98%$로 기타 계통보다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 PDF

芍藥(Paeonia lactiflora Pall.)의 子葉組織으로부터 體細胞胚發생을 통한 식물체 獲得 (Plant Regeneration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from Cotyledon of Herbaceous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 신종희;손재근;김경민;박소득;김규원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91-294
    • /
    • 1997
  • 작약의 체세포 조직배양에 의한 기내증식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완숙종자의 접합자배를 배양하여 얻어진 유묘의 자엽으로부터 체세포 배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요인에 대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양부위에 관계없이 2,4-D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높은 캘러스 형성률을 나타내었지만 체세포배는 발생되지 않았다. 그러나 2,4-D를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 자엽을 배양했을 때는 경우는 27.2%의 체세포배발생률을 나타내었다. NH$_4$NO$_3$가 3.3g/L첨가된 배지에서 접합자배배양으로 얻은 자엽을 NH$_4$NO$_3$1.65 g/L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체세포배발생률이 80.0%로 가장 높았다. 탄소원의 경우, 30~40 g/L의 sucrose나 40 g/L의 fructose가 참가된 배지에서 체세포배발생률이 높았다. 자엽은 15~30일 간격으로 3~9회 새배지로 이식한 것이 39.6~41.4%의 높은 체세포배발생률을 나타내었으며, 자엽에서 얻어진 체세포배는 0.3 mg/L의 GA$_3$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할 경우 39%의 상배축신장율을 나타내었다. 체세포배에서 발아한 유묘의 상배축휴면 타파를 위해서는 4$^{\circ}C$에서 3주 이상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 PDF

芍藥(Paeonia lactiflora Pall.)의 子葉組織 培養시 식물생장조절제가 體細胞胚發생에 미치는 影響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Somatic Embryogenesis from Cotyledon of Herbaceous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 신종희;손재근;김경민;김기재;김재철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5-118
    • /
    • 1998
  • 작약의 종자로부터 절취한 배를 기내 발아시켜 획득한 자엽조직으로부터 체세포배발생에 적합한 배지내의 식물생장 조절제 조성을 밝히기 위하여 전배양배지와 배유도배지의 식물생장조절제 조성별 체세포배 발생율과 접합자배의 구조와 동일한 정상 체세포배 발생 정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엽으로부터 체세포배발생을 위한 식물생장조절제로 ABA가 첨가된 배지에서 체세포배 발생율이 높았으며, 특히 ABA가 0.5 mg/L 첨가된 배지에서 59.9%의 높은 체세포배 발생율을 나타내었다. ABA가 첨가된 배지에서 접합자배를 배양할 경우 발아가 저해되고 발아한 식물체가 비정상적인 형태로 발달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이들 비정상적인 형태의 자엽으로부터 체세포배 발생이 효과적이었으며, ABA가 0.5 mg/L 첨가된 배지에서 자엽으로부터 발생된 체세포배의 형태는 2개의 자엽을 갖는 정상체세포배가 22.6%, 3개 19.5%, 1개 9.8%로 나타났으며 볼링핀 또는 나팔모양의 비정상적인 배는 1.3%로 낮게 나타났다.

  • PDF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의 화사 유래 캘러스로부터 체세포배발생 (Somatic Embryogenesis from Filament-Derived Callus of Paeonia lactiflora PALL.)

  • 정재동;한증술;손재근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7-51
    • /
    • 1995
  • 작약(Paeonia lactifloral Pall)의 회사조직을 배양하여 체세포배의 획득 가능성을 밝히고 유묘의 대량번식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5월 중순경 채취한 화뢰로부터 회사조직을 절취하여 2,4-D 농도를 달리한 4종 의 MS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2,4-D 1.0 mg/L, 0.5 mg/L, 0.1 mg/L 첨가한 배지 순으로 캘러스의 형성과 생장이 양호하였고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는 회사조직이 갈변하여 캘러스 발생을 관찰할 수 없었으며 이들 캘러스를 설탕만 20 g/L로 줄인 동일한 생장조절제 조성의 배지에서 계대배양했을 때 증식이 양호하였다. 체세포배 유기를 위해 5 mm 크기의 캘러스를 3종의 배지에 이식했을 때2,4-D 0.5 mg/L 첨가배지에서 얻은 캘러스를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배양 80일 후 38.0%의 가장 높은 배발생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설탕 첨가농도와 활성탄 첨가유무를 달리한 6종의 생장조절제 무첨가 배지에 계대배양 중인 캘러스를 배양했을 때 2,4-D 0.5 mg/L 첨가배지에서 유기증식된 캘러스를 설탕 농도는 20 g/L로 동일하고 활성탄을 3 g/L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 60일 후 60.0%로 가장 높은 배발생률을 나타내어 배발생률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발생된 배들의 이식 적정시기를 구명하기 위해 발육상별로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 이식했을 때 부착된 모조직으로부터 다수의 배가 유기되었는데 어뢰형 배를 이식했을 경우 배의 증식률이 1.4배로 가장 높았으며 성숙배로의 발육도 양호하였다. 유백색의 자엽이 전개된 배들은 GA3 0.3 mg/L가 첨가된 배지에 이식하여 5$^{\circ}C$ 에서 2주간 암상태로 전처리 했을 때 배양 1개월 후 37% 의 배가 발아하였으며 발아된 배들을 BA 2.0 mg/L 첨가배지로 이식함으로써 유식물체로 생장하였다.

  • PDF

경주국립공원 내 야생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집단의 유전다양성 분석 (Genetic diversity assessment of wild populations of Paeonia lactiflora Pall.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 원효식;임창건;최선아;김미진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45-251
    • /
    • 2013
  • 작약은 원예 및 전통한약으로 중요한 자연자원이다. 경주국립공원 일대에서 발견된 야생 작약 집단에 대한 보전 및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해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마커를 활용한 유전적 다양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경주국립공원 일대 3개 집단과 중국 연변 1개 집단 등 4개 집단을 대상으로 유전적 다양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5개의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마커로부터 61개의 대립유전자를 확인하였으며, 평균 이형접합성($H_o$)은 0.452로 나타났다. 집단 간의 유전적 분화는 $F_{ST}$=0.116로 볼 때 비교적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층적 AMOVA 분석 결과 유전적 변이가 집단 간보다는 집단 내 개체사이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F_{ST}$값 대신 대립유전자의 크기를 고려한 $R_{ST}$ 값을 사용한 AMOVA 분석 결과에서는 중국 집단과 국내 집단 사이에 두드러진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양상은 STRUCTURE 분석에서도 확인되었다. 한편, 경주국립공원 일대 3개 집단 사이에는 지속적인 유전자 흐름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작은 집단 크기와 성숙한 개체가 적은 것으로 볼 때, 추가적인 보호 및 장기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