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ddy-upland rotation system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7초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affected by paddy-upland rotation systems

  • Kim, Young Jung;Yoon, Seong Tak;Yang, jing;Han, Tae Kyu;Jeong, In Ho;Yu, Je Bin;Ye, Min Hee;Shim, Kang B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47-347
    • /
    • 2017
  • This study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cropping systems to allow cultivation of upland crops to the paddy rice lan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Anseong-si Gyeonggi province of Korea in 2015. In order to investigat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by different paddy-upland rotation systems, three crops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with four varieties of Samdachal, Samdamae, Kyeongkwan1, Hwanggeumjo in foxtail millet, Leebaekchal, Manhongchal, Hwangsilchal, Hwanggeumgijang in proso millet and Nampungchal, Moktaksusu, Aneunbangisusu, Hwanggeumchal in sorghum were examined. Four paddy-upland rotation systems of paddy-upland rotation, paddy-upland-upland rotation, paddy-upland-upland-upland rotation, and upland-paddy-upland rotation system were tested.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and ripening of foxtail millet was the shortest in the paddy-upland-upland-upland rotation system, but proso millet and sorghum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four rotation systems. In the average of culm length, paddy-upland-upland-upland rotation system showed the highest culm length in foxtail millet (141.5cm), proso millet (159.6cm) and sorghum (138.6cm) respectively among four paddy-upland rotation systems. In average yield per 10a, foxtail millet and proso millet showed the highest each 234.3kg/10a, 176.2kg/10a in paddy-upland-upland-upland rotation system, whereas sorghum was the highest 221.2kg/10a in paddy-upland-upland rotation system. The most suitable crop and varieties in paddy-upland rotation system was judged to be sorghum among three crops and suitable varieties were Samdachal in foxtail millet, Leebaekchal in proso millet and Nampungchal in sorghum respectively.

  • PDF

중부지역 답전윤환에 적합한 전작물 윤환년수와 논작부체계 (Crop Combinations and Rotation Years for Paddy-Upland Cropping System in Middle Part of Korea)

  • 김정일;이경희;오용비;오윤진;이정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04-311
    • /
    • 1993
  • 답전윤환에 의한 논 고도이용과 이에 적합한 작목선정 및 작부양식을 검토하기 위하여 1989년부터 4년간 수도, 콩, 옥수수, 율무를 1년, 2년, 3녀 윤환의 작부양식으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도수량은 윤환재배에 의하여 7~12% 중수되었으며 밭1년윤환답보다 밭2년대두답의 증수복이 더 컸으며, 윤환형태별로는 대두2년윤환답이 가장 유양시 되었으며, 미질은 윤환재배에 dlm하여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2. 대두는 밭연작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량도 크게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1년 윤환 및 매년윤환의 작부양식이 가장 유이하였다. 3. 식용옥수수 GCB70은 3년윤환재배에서, 사료용옥수수 수원19호는 2년윤환재배에서 가장 수량이 많았다. 4. 율무는 밭연작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수되었으며 1년윤환재배가 가장 수량이 많았다. 5. 담전윤환재배에 의하여 논ㆍ밭상태 모두 잡초발생량 및 초종수가 감소하였고 밭상태 보다 논상태에서의 잡초감소효과가 더 컸으며, 윤환작물별 우점잡초양상도 달라서 콩 3년연작 재배에서는 광엽잡초 명아주가 36%나 발생하였다. . 토양물리성은 답전윤환에 의하여 논ㆍ밭토양 모두 기상율 및 공극율 등 전반적읜 토양물리성이 개선되었고, 밭 작물기간이 길수록 기상률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매년윤환 밭토양에서 보다 2년간 밭 전역이 있는 논토양의 심토에서 3.4%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다.

  • PDF

신간척지 벼 재배 농지의 답전윤환에 따른 토양 특성 및 작물 생산성 변화 (Effects of Paddy-Upland Rotation on Soil Characteristics and Crop Productivity in Rice Fields on Reclaimed Tidal land)

  • 오양열;김영주;이수환;류진희;김선;이정태;전재범;김길용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641-650
    • /
    • 2018
  • Paddy-upland rotation system is one of the important cropping system for improving soil quality and crop productivity. w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ddy-upland rotation system on soil properties and crop productivity in reclaimed tidal land. The paddy-upland rotation could be effective to conserve soil water contents and prevent from salt damage when cultivating upland crops. The first two years of maize cultivation after rice cultivation could be effective to secure stable production. However, in case of soybean crop, the rotation effect might be lower than that of maize. In the first year, the yield of soybean was 214 kg/10a. In the second and third year, the yields of soybean decreased consecutively to 152, 123 kg/10a respectively. In this paper, it would be suggested that maize be cultivated for up to two years and soybean be cultivated for one year after rice crop grown in reclaimed tidal land. This study could be provide basic data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pplicable to paddy-upland rotation system at reclaimed tidal lands.

Disease and insect damage, growth and yield of sorghum, foxtail millet between rotational upland and continuing upland field

  • Yu, Je Bin;Yoon, Seong Tak;Yang, jing;Han, Tae Kyu;Jeong, In Ho;Kim, Young-Jung;Ye, Min Hee;Lee, Gil Jun;Cho, Soo Been;Lee, Young Kyun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49-349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disease, insect damag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green maize by organic paddy-upland rotation system. This experiment also was to select optimum variety for organic paddy-upland rotation cultivation.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Anseong-si Gyeonggi province of Korea in 2016. The varieties used in this study are green maize of total 8 varieties. Green maize was planted at rotational upland field and continuing upland field and tested for comparison. In case of average occurrence of 4 major diseases for green maize, rotational upland field was higher than that of continuing upland field. Heukjinjuchal and Daehakchal were the lowest occurrence by less than 2% among 8 varieties. Average damage of 8 varieties by Ostrinia furnacalis larva, which is the main pest in green maize was higher in rotational upland field than that of continuing upland field. Chalok 4 and Heugjeom 2 were judged to be resistant varieties to 4 major diseases among 8 varieties. The average yield of green maize per 10a in rotational upland field decreased to 85% level of continuing upland field and Chalok 4 showed the highest yield by 789.0 kg/10a among 8 varieties. The most suitable varieties in organic paddy-upland rotation system were judged to be Chalok 4, Heukjinjuchal and Heukjeom 2.

  • PDF

답전윤환 적합품종 선발을 위한 유기농 풋옥수수의 윤환밭과 연속밭의 병충해, 생육 및 수량 특성 (Disease, Insect Damag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Green Maize between Rotational Upland Field and Continuing Upland Field in order to Select Optimum Varieties for Paddy-Upland Rotation System)

  • 유제빈;윤성탁;양경;예민희;이길준;조수빈;이영경;한광섭;백승우;김병련;김순일;김건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87-401
    • /
    • 2017
  • 본 시험은 논으로부터 밭으로 윤환한 2년차인 답전윤환밭과 연속밭에 풋옥수수 찰옥4호 등 8품종을 사용하여 윤환밭과 연속밭의 병충해 발생, 생육 및 수량특성 차이 구명은 물론 풋옥수수의 체계적인 유기농 답전윤환 재배기술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기농 답전윤환 시 주요 병해는 전반적으로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발병률이 높았으며, 시험품종 중 저항성 품종으로 발병률이 2% 미만인 흑진주찰과 대학찰로 판단되었다. 유기농 답전윤환 시 주요 충해인 조명나방 유충 피해는 전반적으로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피해주율이 높았으며, 시험품종 중 저항성 품종으로는 피해주율이 낮은 찰옥4호와 흑점2호로 판단되었다. 유기농 답전윤환 시 수량은 윤환밭에서 연속밭의 85 %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답전윤환밭에서는 찰옥4호가 789.0 kg/10a로 가장 수량이 많았다. 내병성, 내충성, 수량을 종합 평가하면 유기농 답전윤환 시 적합 품종으로는 찰옥4호, 흑진주찰, 흑점2호로 판단된다.

답전윤환에서의 조, 수수, 기장 및 벼의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Sorghum and Rice in Paddy-Upland Rotation)

  • 윤성탁;김영중;정인호;한태규;유제빈;예민희;조영손;강항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300-307
    • /
    • 2015
  • 잡곡의 안정적 생산체제 마련을 위한 답전윤환 최적 모델개발의 일환으로 답전윤환에 있어서 논으로부터 밭1년과 밭2년차 재배에 있어 조, 수수, 기장과 벼연속구와 논-밭-논 윤환구의 벼의 생육 및 수량특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의 4품종 평균 출수소요일은 밭1년차에는 76.3일 소요되었으나, 밭2년차는 평균 70.5일 소요되어 약 6일정도 출수소요일이 짧았다. 포기당 이삭수는 밭1년차가 평균 2.2이삭이었으나, 밭2년차는 평균 3.3이삭으로 포기당 1이삭이 증가하였다. 10a 당 수량은 밭1년차가 179 kg이었으나, 밭2년차는 220.3 kg을 나타내 약 23% 증수하였다. 2. 기장 4품종의 평균 출수소요일 67일 소요되었으나, 밭2년차 기장은 평균 64.8일 소요되어 밭1년차에 비해 밭2년차가 약 2일 일찍 출수하였다. 포기당 이삭수는 밭1년차에서 4.2이삭이었던 반면 밭2년차에서는 평균 8.3이삭으로 약 4이삭이 증가하였다. 10a 당 평균수량은 밭1년차는 130.8 kg이었으나, 밭2년차는 152.8 kg으로 16.8% 증수하였다.3. 수수의 경우 5품종 평균 출수소요일은 밭1년차 68.6일 소요되었으며 밭2년차는 평균 67.4일 소요되어 큰 차이가 없었다. 수당립수는 밭1년차는 2,619.6립 이었으며, 밭2년차는 평균 2,931.6립으로 약 12% 증가하였다. 10a 당 평균 수량은 밭1년차는 231.7 kg으나, 밭2년차 평균수량은 242.3 kg으로 4.6% 증수하였다. 4. 벼연속구와 논-밭-논 윤환구에서의 벼의 생육 및 수량 특성을 보면 출수기는 차이가 없었다. 간장은 논연속구 75.6 cm에 비해서 논-밭-논 윤환구가 82.9 cm로 7.3 cm 컷으며, 수장도 논연속구에 비해 논-밭-논 윤환구가 1 cm 컷다. 포기당 이삭수는 논연속구가 20.7이삭, 논-밭-논 윤환구는 25.0이삭으로 논연속 윤환구에 비해 윤환구가 4.3 이삭 많았다. 10a당 수량은 논연속구가 479.9 kg, 논-밭-논 윤환구는 526.8 kg으로 연속구에 비해 윤환구가 9.8% 높았다.

답전윤환(畓田輪換) 체계(體系)에 따른 토양(土壤)의 층위별(層位別) 양분분포(養分分布) 및 양분수지(養分收支) (Effects of Paddy-Upland Rotation Systems on Nutrient Balance and Distribution in Soil Profile)

  • 안상배;본송휘구;이상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8-104
    • /
    • 1994
  • 1989~'93년(年)까지 5년(年)동안 답전수환시(畓田輸換時) 작부체계(作付體系)에 따른 토양(土壤) 층위별(層位別) 양분분포(養分分布)와 양분수지(養分收支)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았다. 1. 질산태질소(窒酸態室素),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 및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 EC는 표층(表層) 0~20cm에서 약간 높았을뿐 토층하부(土層下部)로 이동집적(移動集積)이 적었고, 작부체계(作付體系)에 따른 표토중(表土中) 함량은 전이환(田轉換) 감자-배추>2년 수환(輸換) 감자-배추>전전환(田轉換) 대두(大豆)>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 순(順)으로 높아 처리별(處理別) 시비량을 반영(反影)하였다. 2. 치환성(置換性) 석회(石灰)와 고토(苦土) 함량 및 pH는 심토(深土)로 갈수록 높아졌고, 이러한 경향은 특히,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에서 현저(顯著)하였다. 작부체계(作付體系)에 따라서는 전(全) 토층(土層)에서 전전환(田轉換) 대두(大豆)>전전환(田轉換) 감자배추>2년(年) 윤환(輪換) 감자-배추>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 순(順)이었고 처리별 식물체 흡수량(吸收量) 차이가 크게 영향하였다. 3. 전전환(田轉換) 감자-배추구(區)에서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의 양분수지(養分收支)는 투입량(投入量)보다 탈취량(奪取量)(흡수량)이 각각(各各) 21.5, 26.8, 9.2kg/10a 많았으나 투입량(投入量)중 화학비료량(化學肥料量)은 질소(室素)와 가리(加里)의 경우 탈취량(奪取量)에 비해 적었던 반면 인산(燐酸)은 많았다. 4. 전전환(田轉換) 대두구(大豆區)의 양분수지(養分收支)는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각각(各各) -12.8, 4.1, -1.0kg/10a로 질소(窒素)와 가리(加里)의 투입량(投入量)이 탈취량(奪取量)보다 적었으나 질소(窒素)는 근류균(根瘤菌)의 질소고정(窒素固定)으로 결핍되지 않았던 반면 가리(加里)는 생육중기(生育中期)에 결핍증상(缺乏症狀)을 나타내었다.

  • PDF

답전윤환형태별(畓田輪換形態別)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과 수도생산성(水稻生産性)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 of Paddy-upland Rotation System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Rice Yield)

  • 안상배;본송휘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1-188
    • /
    • 1993
  • 석천미사질(石泉微砂質) 양토(壤土)에서 윤환형태(輪換形態) 및 작부체계(作付體系)에 따른 연차간(年次間) 토양질소(土壤窒素)의 무기화(無機化) 양상(樣相), 토양중(土壤中) 유기물(有機物) 및 인산(燐酸)의 변동(變動) 및 수도수량(水稻收量)과 무기성분(無機成分) 흡수량(吸收量)과의 관계를 검토(檢討)한 몇가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긍온담수(恆溫湛水) 토양(土壤)에서 '90~'93년(年) 4년간(年間)의 4주(週) 및 10주(週)째의 질소무기화량(窒素無機化量)과 가급태(可給態) 질소함량(窒素含量)은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보다 매년윤환구(每年輪換區) 및 2연윤환구(年輪換區)에서, 대두구(大豆區)보다 감자-배추구(區)에서 많았다. 2. 토양(土壤)중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및 유효인산(有效燐酸)의 연차간(年次間) 변동(變動)은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에서는 큰 변동이 없었으나 윤환구간(輪換區間)에서는 전전환구(田轉換區)>2연윤환구(年輪換區)>매년윤환구(每年輪換區)의 순(順)으로 감소되었으며 작물(作物)간에는 감자-배추구(區)보다 대두구(大豆區)에서 감소폭(減少幅)이 컸다. 3. 정조수량(正租收量)은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에 비하여 감자-배추구(區) 및 대두구(大豆區)에서 3개년(個年) 동안 26~20%, 17~5%, 5~4% 증수(增收)되었는데 윤환년수(輪換年數)가 길수록 수량증수율(收量增收率)이 적었다. 4. 3년간(年間)('90~92년)의 수확기(收穫期) 수도(水稻) 식물체(植物體)중 모든 무기성분(無機成分) 흡수량(吸收量)은 수도(水稻) 연작구(連作區)보다 매년(每年) 윤환구(輪換區) 및 2년윤환구(年輪換區)에서, 대두구(大豆區)보다 감자-배추구(區)에서 흡수량(吸收量)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 PDF

답전윤환 적합 품종 선발을 위한 윤환밭과 연속밭에서의 수수, 조의 병충해, 생육 특성 비교 (A Comparison of the Disease and Insect Damag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between Rotational Upland and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in Order to Identify the Optimum Varieties for an Organic Paddy-Upland Rotation System)

  • 유제빈;윤성탁;양경;예민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224-232
    • /
    • 2017
  • 본 시험은 논으로부터 밭으로 윤환한 2년차인 윤환밭과 연속밭에 수수 남풍찰 등 7품종, 조 삼다찰 등 7품종을 공시하여 윤환밭과 연속밭의 병충해 및 잡초발생 양상, 생육 및 수량특성 차이 구명은 물론 답전윤환에 적합한 품종 선발 및 수수, 조의 체계적인 답전윤환 재배기술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답전윤환 시 주요 병해는 2작물 중 조의 경우 전반적으로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발병율이 높았으며, 수수는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발병율이 낮았다. 시험품종 중 저항성 품종으로는 수수는 발병율이 20% 미만인 소담찰, 조는 발병율 10% 미만인 삼다찰과 삼다메로 판단된다. 2. 답전윤환 시 주요 충해인 조명나방 유충에 대하여 수수와 조는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피해주율이 낮았다. 시험품종 중 저항성 품종으로 수수는 60% 미만인 동안메로 판단된다. 조는 모든 품종에서 입은 피해가 전체 잎 대비 피해율 2% 미만으로 생육 및 수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3. 답전윤환 시 잡초 발생 양상은 전반적으로 초종수의 차이는 없으나, 잡초의 개체수는 42% 감소하였고, 총 건물중 또한 40% 감소하였다. 건생잡초의 개체수는 연속밭 대비 윤환밭에서 65% 감소하였고, 습생잡초는 연속밭 대비 윤환밭에서 35% 감소하여 습생잡초보다 건생잡초의 감소폭이 컷다. 건생잡초의 건물중은 연속밭 대비 윤환밭에서 53% 감소하였고, 습생잡초는 연속밭 대비 윤환밭에서 35% 감소하여 습생잡초보다 건생잡초의 감소폭이 컷다. 윤환밭과 연속밭에서 모두 건생잡초인 바랭이가 우점하였다. 4. 답전윤환 시 각 작물별 수량은 수수는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90% 증가하였다. 조는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윤환밭에서 풋옥수수의 경우 찰옥4호가 789.0 kg/10a, 수수의 경우 동안메가 280.9 kg/10a, 조의 경우 다황메가 263.5 kg/10a로 가장 많았다. 5. 답전윤환에 적합한 품종은 병충해 피해 및 생육 수량을 기준으로 하면 수수에서는 병충해 피해가 비교적 적고, 수량이 많은 황금찰, 동안메, DS202가, 조에서는 삼다찰, 삼다메, 다황메가 적합품종으로 판단된다.

답전윤환재배지(畓田輪換栽培地)에서의 잡초발생동태(雜草發生動態) (Weed Occurrence in Paddy-Upland Rotating Field)

  • 김길웅;신동현;박상조;정종우;여명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05-312
    • /
    • 1995
  • 벼-콩 답전윤환재배지에서의 잡초발생동태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건답직파재배지에서는 피의 우점현상이 두드러졌으며, 연작에 의해서 계속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콩재배지에서는 피, 좀명아주 및 (좀)바랭이가 문제잡초로 제기되었다. 2. 벼 건답직파재배에서 콩 재배로 또는 콩재배에서 벼 건답직파재배로 답전윤환(畓田輪換)을 함으로써 잡초의 발생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너도방동사니, 올방개, 올챙이고랭이, 벗풀 및 수생잡초의 발생이 크게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3. 답전윤환재배시(畓田輪換栽培時) 동일 작물을 2년 이상 연속재배(連續我培)하면 잡초의 발생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