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clobutrazol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27초

Paclobutrazol 처리시기가 벼의 도복형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Lodging Related Traits and Yield of Rice as Affected by Time of Paclobutrazol Application)

  • 이석순;김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36-342
    • /
    • 1988
  • 생장억제제인 paclobutrazol의 처리시기가 출수후 수도 품종 섬진벼의 도복 관련형질의 변화와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질소 수준은 12 및 18kg/10a, paclobutrazol(0.6% 입제) 처리시기는 출수전, 43, 33, 23, 13일 이었고, 도복 관련형질은 출수후 10, 20, 30, 40일에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절간장은 paclobutrazol 처리시기가 빠를수록 하위절간, 처리시기가 늦을수록 상위절간이 단축되었으며, 간장은 처리시기가 늦을수록 더 단축되었다. 2. 모든 처리에서 도복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도복지수는 출수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증가되었고, paclobutrazol 처리는 무처리보다 도복지수가 낮았다. 생체중은 출수후 30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나 좌절중은 출수후 30일까지는 차이가 없었으나 40일에는 감소하였고, paclobutrazol 처리시기간에 좌절중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3. 도복지수에 미치는 생체중의 직접효과는 출수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감소하나 좌절중과 간장의 직접효과는 시기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었고, 출수후 40일에 도복지수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좌절중, 간장, 생체중의 순이었다. 4. 간기부의 전분함량은 모두 출수후 20일까지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였다. 간기부의 cellulose함량은 출수후 20日까지 증가하였으나 hemicellulose, lignin 함량은 출수후 조사시기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간기부의 전분함량,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음량과 좌절중과는 상관이 없었다. 5. 수량은 paclobutrazol을 출수전 13일에 처리한 것이 무처리와 비슷하였으나 그 이전의 처리에서는 수당영화수의 감소로 감수하였다.

  • PDF

Paclobutrazol이 수도(水稻)의 도복형질(倒伏形質)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aclobutrazol on Anti-lodging Characteristics and Yields of Rice)

  • 변종영;허윤근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83-190
    • /
    • 1985
  • 식물생장억제제(植物生長抑制劑)인 Paclobutrazol이 수도(水稻)의 도복(倒伏)에 미치는 제형질(諸形質)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고자 낙동벼와 섬진벼를 공시하여 질소(窒素) 12,20kg/10a을 이용(利用)한 조건(條件)에서 Paclobutrazol 12,18g ai/10a을 출수전(出穗前) 20,15,10 일에 토양처리(土壤處理)하였다. 1. Paclobutrazol 18g ai/10a을 출수전(出穗前) 20일과 15일에 처리(處理)하면 수도(水稻)의 간장(稈長)은 전반적(全般的)으로 짧아졌으며, 특히 제(第) 3 절간(節間)에서 그 경향(傾向)이 현저하였다. 간장(稈長)은 Paclobutrazol 12,18g ai/10a을 출수전(出穗前) 20, 15일에 처리(處理)할 때 낙동벼에서 다소 짧아진 경향(傾向)이었다. 2. Paclobutrezol 처리(處理)에 의하여 간단면적(稈斷面積), linear density 및 줄기의 휨 강도 (EI)는 증가(增加)되었고 줄기가 만곡(彎曲)되는 경향(傾向)은 적었다. 3. 휨강도와 간단면적(稈斷面積), 간단축직경(稈短軸直徑) 및 linear density는 정(正)의 상관(相關), 줄기의 만곡각도(彎曲角度)와 간단면적(稈斷面積) 및 간단축직경(稈短軸直徑)과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4. Paclobutrazol 12g ai/10a 을 출수전(出穗前) 10, 15일에 처리(處理)하면 수량(收量)은 감소(減少)되지 않았으나 Paclobutrazol 18g ai/10a을 출수전(出穗前) 20일에 처리(處理)하면 수량(收量)은 약간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

질소수준(窒素水準)이 다른 조건하(條件下)에서 Paclobutrazol 처리(處理)가 수도생장(水稻生長) 및 도복(倒伏)에 미치는 영향(影響) (Growth and Lodging of Paddy Rice as Affected by Paclobutrazol Application under the Different Level of Nitrogen Fertilizer)

  • 임일빈;이선용;임무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71-178
    • /
    • 1987
  • 질소(窒素) 수준(水準)을 달리한 (0, 5, 10, 15, 20, 25, 30, 35, 40, 45 kg/l0a의 10 수준(水準)) 수도포장(水稻圃場)에서 paclobutrazol을 출수전(出穗前) 15일(日)에 처리(處理)하여 절간신장억제(節間伸長抑制) 및 도복(倒伏)과의 관계(關係)를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로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Paclobutrazol 처리(處理)로 간장(稈長)은 소비(少肥)( 0 ~ 15 kg/10a) 수준(水準)에서 9~11 cm 다비(多肥)(20 ~ 40 kg/10a) 수준(水準)에서 9~14 cm 정도(程度) 단축(短縮)시켰고 간장단축율(稈長短縮率)은 10 ~ 15%이었다. 절간장(節間長)은 paclobutrazol의 처리소비(處理少肥)(0~10 kg/10a) 에서는 第 3, 2, 1 절(節), 보비(普肥)(15~25kg/10a)에서는 제(第) 3, 2 절(節), 다비(多肥)( 30 ~ 45 kg/10a)에서는 3, 2, 4 절(節) 순(順)으로 단축율(短縮率)이 컸다. 2. 질소수준(窒素水準)이 높을수록 지상부(地上部)의 모멘트 중심고(中心高)가 높고 좌절중(挫折重)은 낮아 도복(倒伏) 지수(指數)가 높아졌으며 paclobutrazol 처리(處理)에 의하여 모멘트 중심고(中心高)가 낮아지고 다비(多肥)에서 무처리(無處理)보다 좌절중(挫折重)을 높게하여 도복지수(倒伏指數)가 낮아졌다. 3. 도복(倒伏)과 도복형질(倒伏形質)과의 관계(關係)는 무처리(無處理)에서 간장(稈長), 모멘트, 좌절중(挫折重), 도복지수(倒伏指數)와 도복간(倒伏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있었으나 paclobutrazol 처리(處理)는 도복(倒伏) 경감(輕減)으로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도복(倒伏)은 25 kg/10 a 이상수준(以上水準)에서 도복정도(倒伏程度)가 1~3이었으나 paclobutrazol 처리(處理)에서는 45 kg/10a 구(區)에서만 1 정도로 경미(輕微)했다. 4. 질소수준(窒素水準)이 높을수록 출수(出穗)가 2~3일(日) 지연(遲延)되었으며 paclobutrazol 처리(處理)에 의한 출수기(出穗期)의 변동(變動)은 없었다. 5. Paclobutrazol 처리(處理)로 주당수수(株當穗數)와 수당영화(穗當穎花) 수(數)의 차이(差異)는 거의 없었고 등열비율(登熱比率)은 질소수준(窒素水準)이 높을수록 낮았으며 paclobutrazol 처리(處理)에 의하여 25 kg/10a 이상수준(以上水準)에서는 무처리(無處理)보다 높았다. 현미(玄米)1,000 입중(粒重)도 등숙비율(登熟比率)과 같은 경향이었다. 6. 수량(收量)은 30kg/10a까지는 질소수준(窒素水準)이 높을수록 많아졌으나 35 kg/10a 이상수준(以上水準)에서는 무처리(無處理)가 12~23% 감수(減收)한 반면 paclobutrazol 처리(處理)는 3~7% 감수(減收) 무처리(無處理)보다 15~26% 증수(增收)하였다. 최고수량(最高收量)의 질소수준(窒素水準)은 무처리(無處理)가 26kg/10a인 반면 paclobutrazol 처리(處理)는 31 kg/10a 이었다.

  • PDF

Uniconazol 및 Paclobutrazol의 葉面散布 처리가 더덕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liar Application of Uniconazol and Paclobutrazol on Growth and Yield of Codonopsis lanceolata)

  • 김학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11-417
    • /
    • 1997
  • 더덕의 재배기술 개선을 목적으로 Uniconazol 및 Paclobutrazol을 더덕의 생장기별로 엽면산포(葉面散布)를 행했다. Uniconazol 및 Paclobutrazol 처리는 처리시기에 관계 없이 농도가 높을수록 초장은 억제되었으며 엽면적(葉面積)의 감소를 나타냈다. Uniconazol 처리에 의한 지하부의 형질은 3절(節) 분화시의 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와의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12절 분화시의 10mg $liter^1$ 와 100mg $liter^1$ 농도처리에서는 대조구보다 생체중(生體重)이 각각 64%, 100%의 증가를 보였다. 세포독성(細胞毒性) Screening의 결과는 대조구 및 6절 분화시 10mg $liter^1$ 처리구에서만 활성을 나타했다. Paclobutrazol 처리에 의한 지하부의 생체중(生體重)은 3절(節) 분화시의 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와의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12절 분화시의 10mg $liter^1$ 농도처리에 의해 조금의 증가를 보였다. 세포독성(細胞毒性) Screening의 결과는 대조구 및 모든 처리구에서 약한 활성치를 나타냈다.

  • PDF

Paclobutrazol처리(處理)가 수도생육(水稻生育) 및 도복(倒伏) 관련형질(關連形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aclobutrazol Application on the Growth and Characters Related with Lodging of Paddy Rice Plant)

  • 임일빈;이선룡;김종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24-329
    • /
    • 1988
  •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 paclobutrazol를 수도(水稻) 출수전(出穗前) 35, 25, 15일(日)에 10a당(當) 12, 18, 24 g씩 처리(處理)하여 도복(倒伏)에 관련(關連)된 형질(形質)과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1985년(年) 본(本)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aclobutrazol을 출수전(出穗前) 35, 25, 15일(日)에 처리(處理)한 결과(結果) 간장단축율(稈長短縮率)은 각각(各各) 12, 9, 7% 정도(程度)였으며, 35일(日) 처리(處理)는 $N_4$ 이상(以上), 25일(日) 처리(處理)는 $N_3$ 이상(以上) 15일(日) 처리(處理)는 $N_2$ 이상(以上)의 절간(節間)을 많이 단축(短縮)시켰고 각(各) 처리시간(處理時間) 공(共)히 처리량(處理量)이 많을수록 단축(短縮)시키는 정도(程度)가 컸다. 2. Paclobutrazol 처리(處理)는 간경(稈經), 간벽(稈壁)의 두께, 간(稈)의 횡단면적(橫斷面積)을 크게 하였다. 3. Paclobutrazol 처리(處理)는 도복지수(倒伏指數)가 낮았으며 도복(倒伏)이 되지 않았다. 4. 출수전(出穗前0 35일(日)에 paclobutrazol 처리(處理)는 영화수(潁花數)를 크게 감소(減少)시켰고 출수전(出穗前) 25일(日) 처리(處理)도 약간(若干) 감소(減少)시켰으며 처리량(處理量)이 많을수록 영화수(潁花數) 감소(減少)도 컸다. 5. 수량(收量)은 paclobutrazol 처리(處理)가 도복(倒伏)이 되지 않아 등숙비율(登熟比率)이 높아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 5~8% 높았다.

  • PDF

벼 도복(倒伏) 관련(關連) 형질(形質)에 미치는 Paclobutrazol과 Flurprimido의 처리(處理) 효과(效果) (Effect of Paclobutrazol and Flurprimido Application on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Lodging of Paddy Rice Plant)

  • 오세문;이한규;이경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3-168
    • /
    • 1984
  • 생장억제제(生長抑制劑) paclobutrazol 0.6%입제(粒劑)와 flurprimido 50% 수화제(水和劑)를 벼출수전(出穗前) 40일(日)에 처리(處理)하여 도복(倒伏)에 관련(關連)된 형질(形質)과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19873년(年) 본(本)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aclobutrazol과 flurprimido를 출수전(出穗前) 40일(日)에 처리(處理)한 결과(結果) 간장(稈長)을 각각(各各) 17cm, 18cm 단축(短縮)시켰으며 특(特)히 하위절간(下位節間)의 신장(伸長)을 크게 억제(抑制)하였다. 2. Paclobutraxol은 하위절간(下位節間)을 가늘게 하면서 간벽(稈壁)을 두껍게 하였으며 flurprimido는 간경(稈徑)의 변화(變化)없이 간벽(稈壁)을 현저(顯著)히 두껍게 하였다. 3. 좌절중(挫折重)은 paclobutrazol 처리(處理)로 변화(變化)되지 않았으나 flurprimido 처리(處理)에 의해서는 증가(增加)되었다. 4. Paclobutrazol과 flurprimideo 처리(處理)로 도복지수(倒伏指數)가 54~53% 낮아졌으며 포장(圃場)에서 도복(倒伏)이 없었다. 5. 두 약제(藥劑) 모두 엽장(葉長)을 짧게하여 1 엽당엽면적(葉當葉面積)을 감소(減少)시켰으나 분얼수(分蘖水)의 증가(增加) 및 하위청엽(下位靑葉)이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 많아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가 높았다. 6. Paclobutrazol과 flurprimido 처리(處理)로 수당립수(穗當粒數)를 감소(減少)시켰으나 도복(倒伏)이 방지(防止)됨에 따라 도복(倒伏)이 된 무처리(無處理)보다 등숙율(登熟率)과 수량(收量)을 증가(增加)시킬 수 있었으나 무처리(無處理)의 도복(倒伏)이 없는 조건(條件)에서는 두 약제처리(藥劑處理)에 따라 수량(收量)을 6~7% 감소(減少)시켰다.

  • PDF

지황 신초의 유도와 신장에 미치는 Thidiazuron과 Paclobutrazol의 영향 (Effects of Thidiazuron and Paclobutrazol on the Induction and Elongation of Shoots in Rehmania glutinosa Lib.)

  • 고은정;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6-149
    • /
    • 2001
  • 이 연구는 지황에서 신초의 유도와 신장에 미치는 thidiazuron과 paclobutrazol의 영향을 조사분석한 것으로 얻어진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신초 유도시 thidiazuron을 단독처리한 경우에 신초 발생율이 높았으며, thidiazuron은 저농도에서부터 활성을 나타내어 영향을 주는 농도범위가 비교적 넓었다. 특히 thidiazuron 1.0mg/L 농도에서 신초 발생이 많았다. 2. 신초 유도시 thidiazurona만을 사용하였거나 thidiazuron에 paclobutrazol을 조합처리하였던지 간에 신초의 신장에는 모두 thidiazuron 1.0mg/L 처리구에서 마디수와 신초의 수가 가장 많아 신초 신장에 효과적이었다.

  • PDF

Ethephon, Paclobutrazol과 Uniconazole 처리가 분화 서양톱풀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ephon, Paclobutrazol, and Uniconazole on Growth and Flowering of Potted Yarrow, Achillea millefolium 'Cerise Queen')

  • 남상용;권오달;김선동;박선미;소창호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303-307
    • /
    • 2009
  • 본 연구는 서양톱풀 Achillea millefolium의 품종에서 개화특성에 미치는 몇 가지 생장조절제의 영향을 규명하여 서양톱풀의 분화재배 시 관상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분화용 서양톱풀의 개화에 미치는 적정 생장조절제 농도를 찾고자 신장기 직전에 2회 살포하였다. 초장은 ethephon 1,000ppm에서 45.7 cm로 가장 길게 나타났고 uniconazole은 20ppm에서 11.1cm로 초장의 억제 효과가 컸다. 소화수는 대조구에 비해서 ethephon 200 ppm에서는 오히려 47.8% 증가하였으나 paclobutrazol 200 ppm에서는 43.6%로 적었고 uniconazole 20 ppm의 농도에서는 90.0%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측화수도 ethephon에서 28.6%, paclobutrazol에서 23.5% 증가하여 많아졌으나 uniconazole에서는 55.3%나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ethephon에서는 초장과 개화수가 증가하였고 uniconazol에서는 초장이 작아졌으나 개화가 지연되고, 개화수가 유의하게 적어졌다.

Effect of Application Method and Concentration of Plant Growth Retardants On Plant Quality of Potted Saxifraga rosacea Moench

  • Park, Yeon Hee;Kim, Yoon Jin;Jung, Hyun Hwan;Kim, Ki Sun
    • 화훼연구
    • /
    • 제19권3호
    • /
    • pp.127-138
    • /
    • 2011
  • 운간초의 분화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Kumoma'와 'Kumoma-Gusa' 두 품종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식물생장억제제 (PGRs) 4종을 처리하였다. 식물생장억제제 종류와 처리농도는 paclobutrazol (10, 20, 40, $80mg{\cdot}L^{-1}$), flurprimidol (5, 10, 20, $40mg{\cdot}L^{-1}$), daminozide (500, 1000, 2000, $4000mg{\cdot}L^{-1}$), chlormequat (50, 100, 200, $400mg{\cdot}L^{-1}$)이고 엽면살포와 토양관주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Paclobutrazol $40mg{\cdot}L^{-1}$ 처리는 운간초의 두 품종에서 초장과 화경장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었다. 'Kumoma' 품종에서, paclobutrazol $40mg{\cdot}L^{-1}$ 엽면살포와 토양관주 처리방법은 초장을 각각 12.6, 12.5 cm로, 화경장은 3.4, 3.3 cm로 줄일 수 있었다. 'Kumoma-Gusa' 품종에서는 paclobutrazol 토양관주는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장은 13.2-10.7 cm, 화경장은 3.9-2.0 cm까지 줄일 수 있었지만 꽃의 수는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현저하게 감소하여서 20개까지 감소하였다. Flurprimidol $20mg{\cdot}L^{-1}$ 스프레이와 토양관주 처리는 두 품종 모두 초장과 화경장을 줄일 수 있었다. 'Kumoma' 품종에서 flurprimidol $10mg{\cdot}L^{-1}$ 스프레이 또는 토양관주 처리는 개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대조구와 비교해 꽃의 수는 44.7개 이상, 출하 일수는 5일 정도 빨리 출하 할 수 있었다. 'Kumoma-Gusa' 품종에서 PGRs처리에 의한 초장과 화경장 억제효과가 가장 큰 것은 paclobutrazol $80mg{\cdot}L^{-1}$과 flurprimidol $40mg{\cdot}L^{-1}$ 이었고 paclobutrazol과 flurprimidol 스프레이와 토양관주 처리에서 각각, 초장은 10.7, 9.9 cm, 화경장은 2.0, 1.5 cm 로 생장 억제효과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flurprimidol $40mg{\cdot}L^{-1}$ 토양관주 처리에서 출하일수는 농도에 따라 3-13일 정도 대조구보다 늦어졌고 꽃의 수는 15.6개로 가장 적은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두 품종 모두에서 daminozide 처리는 초장과 화경장이 줄어들지 않았지만 'Kumoma' 품종에서는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꽃의 수가 증가하였다. Chlormequat 처리는 paclobutrazol 과 flurprimidol 처리와 비교했을 때 화경장 감소효과는 작았고 처리 식물의 잎은 다른 처리에 비해 연한 녹색을 보여주었다. 두 품종 모두에서 chlormequat 과 daminozide 처리는 생육과 개화 품질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꽃의 수는 모든 처리농도에서 41개 이상을 보여주었고, 'Kumoma-Gusa' 품종에 chlormequat 토양관주 처리는 최대 꽃의 수 63개를 볼 수 있었다. 이번 결과들은 paclobutrazol 과 flurprimidol 처리가 운간초 분화의 품질 향상을 위한 화경장의 생육을 조절하는 생장억제제로서 사용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고, 'Kumoma' 품종에서는 paclobutrazol $40mg{\cdot}L^{-1}$ 스프레이는 생육특성을, flurprimidol $10mg{\cdot}L^{-1}$ 토양관주 방법은 개화관련 특성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생장억제제의 농도로 추천 될 수 있고, 'Kumoma-Gusa' 품종에서는 flurprimidol $20mg{\cdot}L^{-1}$ 스프레이와 flurprimidol $5mg{\cdot}L^{-1}$ 토양관주 방법이 운간초 분화의 생육특성과 개화품질을 향상시키는 생장억제제의 농도로 추천 될 수 있다.

밥맛이 좋은 Japonica 벼 품종들의 도복저항성과 도복경감제 paclobutrazol에 대한 반응 (Lodging Liability and Response to Paclobutrazol Application of High Eating Quality Japonica Rice Varieties)

  • 이은웅;권용웅;소창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24-233
    • /
    • 1987
  • 밥맛이 좋은 벼 품종들의 질소반응과 도복억제제에 대한 반응을 밝히기 위하여 다마금, 농림 006, 고시히까리, 추청벼, 동률벼 및 밀양 2003를 공시하여 4월 20일에 파종하여 5월 30일에 이앙하였다. 질소시비수준은 10a당 5, 10 및 15kg 이었으며 도복억제제로는 paclobutrazol 을 사용하여 이앙 후 20일에 10a당 입제(유효성분 0 6 %)로 0 및 2kg을 처리한 후 출수 전 15일에 0, 3 및 4.5kg을 처리하였다. 도복관연형질은 출수 후 25일에,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는 출수 후 45일에 조사하였다. 밥맛의 평가는 관능검사로 하였다. 1. 질소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간장 및 수량은 증가하였으나 제3절간의 좌절하중은 감소하고 도복지수는 증가하였다. 2. Paclobutrazol 처리는 공시품종 모두의 간장, 제 3절간장을 단축시켰으나, 제 3절간의 난절하업과 도복지수는 다마금, 농림 006 및 고시히까리와 같은 장간종에서는 이앙 후 20일에 처리할 경우에는 오히려 도복하기 쉬운 조건이되었고 출수 전 15일에 처리할 경우에는 그 반대경향을 보였다. 3. 포장에서의 도복은 다마금, 농림 006 및 고시히까리에서 발생하였으며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도복이 심하였으며. paclobutrazol 처리에의해서는 도복발생이 경감되었다. 4 질소시비량에 대한 수량의 반응은 다마금, 농림 006 및 추청은 10a당 10kg 에서, 고시히까리는 15kg 수준에서 최고수량을 보였다. 5. Paclobutrazol 처리의 수량에 대한 효과는 질소시비량과 품질, 그리고 paclobutrazol의 시용량 및 시용시기에 따라 달랐는데 질소시용량이 10a당 5 kg 수준일 때에는 paclobutrazol(0.6 G ) 3 kg 처리에 의해 3.4∼26% 증수되었고, 4.5kg 처리에 의해서는 3.8∼20% 증수되었다. 단간종인 동률벼와 밀양 2003는 질소 15kg/10a 수준에서도 도복의 위험이 없었지만 밥맛이 좋은 장간종들은 질소시비량를 10kg/10a 이상의 경우 도복하기 쉬웠는데 농림 006는 질소 10kg/10a, 출수 전 15일에 paclobutrazol 3kg 처리구, 다마금은 질소 15kg/10a, 출수 전 15일에 paclobutrazol 3kg 처리구, 고시히까리와 추청벼는 질소 15kg/10a에서 paclobutrazol을 이앙후 20 일에 2kg 처리 후 출수 전 15일에 3kg 2회 처리한 경우 수량이 제일 많았다. 6. 다마금ㆍ농림 006. 고시히까리 및 추청벼의 밥맛 차이는 없었으며 paclobutrazol 처리에 의한 밥맛의 변화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