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cked column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38초

계면활성제 미생물반응기의(혼합 VOCs) 생분해 I: 반응기 거동평가 (Biodegradation of VOC Mixtures using a Bioactive Foam Reactor I: Reactor Performance)

  • 신승규;장현섭;황선진;송지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6B호
    • /
    • pp.689-694
    • /
    • 2006
  • 계면활성제 거품과 부유미생물을 이용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VOCs)를 제어하는 새로운 방법인 계면활성제 미생물반응기(BFR)를 대상으로, 단일 VOC와 혼합 VOCs가 유입되는 조건에서 BFR의 반응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 VOCs로는 benzene, toluene, p-xylene, styrene의 4가지 물질을, 단일 VOCs로는 toluene을 선정하였다. 전체적으로 BFR 시스템은 기체체류시간 40초 조건에서 안정적인 운전효율을 보여 기존 담체충진형 바이오필터의 대안기술로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동적부하 변동실험 결과 BFR 시스템은 높은 부하량 유입시 거품에 의한 물질전달율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안정적인 처리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유입 VOCs 농도가 증가하면서 액상으로 전달된 VOCs 일부가 미생물 반응조에서 탈기 작용으로 기체상으로 역배출되어 최종 유출농도가 상승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Styrene 이외의 다른 VOCs는 물질전달율 면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생분해율(styrene, toluene, benzene, p-xylene) 순에 따라 최종 유출농도가 결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BFR 시스템은 활성미생물 농도 또는 미생물 반응조 부피 증가 등의 방법으로 전체 운전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BFR 시스템에 대한 추가 연구 및 개량은 물질전달율 증가보다는 미생물 활성도, 혼합 VOCs에 의한 미생물 군집변동 등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이온교환수지 분체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ulverized Ion Exchange Resins)

  • 허재용;구경미;장용원;강상현
    • 멤브레인
    • /
    • 제34권2호
    • /
    • pp.132-139
    • /
    • 2024
  • Total dissolved solids (TDS) 제거에 이용되는 이온교환수지는 컬럼에 충진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온교환 과정에서 이온성 물질과 이온교환수지의 충분한 접촉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온교환수지의 분체화를 통하여 짧은 접촉시간으로도 높은 TDS 제거 성능을 보이는 이온교환수지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흐름성 등을 고려한 분체의 최적 크기는 100 ㎛ 이상임을 확인하였고, 250~500 ㎛d와 100~250 ㎛ 크기의 최대 분쇄 수율은 각각 67.3%와 36.9%였다. 또한 100~500 ㎛ 크기의 분쇄 수율은 분쇄 시간 2분에서 87.1%로 나타났다. 회분식(batch) 실험 조건에서 250~500 ㎛ 크기의 분체가 95%와 99%의 제거율에 도달하는 시간은 분쇄 전(non-pulverized) 이온교환수지에 비해 각각 1.82배와 1.96배 더 빨랐다. 100~250 ㎛ 크기의 분체는 각각 15.9배와 6.18배 더 빨랐다. 컬럼 테스트의 경우 분쇄 전 이온교환수지는 총 1.74 g, 250~500 ㎛ 크기의 분체는 1.83 g, 100~250 ㎛ 크기의 분체는 1.63 g의 NaCl을 제거하였다. 분체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용량(capacity)이 약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분체화된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접촉시간 대비 높은 TDS 제거 성능을 얻을 수 있는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토양중 Na+ 이온이 간척지 토주의 수리전도도와 용출수의 화학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 ion on Changes in Hydraulic Conductivity and Chemical Properties of Effluent of Reclaimed Sandy Soil Column)

  • 유진희;정덕영;양창휴;이상복;최원영;김시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454-459
    • /
    • 2009
  • 전북 부안군 소재 계화도간척지 시험포장에서 토양의 염류가 논토양의 투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염농도가 높은 지점과 낮은 지점을 대상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토양의 물리 화학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토양은 포화침출액 전기전도도($EC_{e}$)가 고염지 표토 $25.2dS\;m^{-1}$, 고염지 심토 $37.8dS\;m^{-1}$, 저염지 표토 $3.0dS\;m^{-1}$, 저염지 심토 $3.4dS\;m^{-1}$로 시험토양을 염류토양 분류기준에 의거 분류한 결과, 고염지 표토는 saline soil, 고염지 심토는 saline-sodic soil이었고 저염지 표토 및 심토는 일반 토양(normal soil)에 해당되었다. 토주실험 결과 저염지 표토의 포화수리전도도 (Ksat)는 $0.623cm\;hr^{-1}$이었으나, 고염지 표토에서는 용출수의 하향이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고염지 표토를 토양 무게에 대하여 1:2의 비율로 증류수, 1N NH4OAc, 0.1eq L-1oxalic acid로 연이어 세척하여 수용성 및 치환성 이온을 부분 제거하고 컬럼에 충전하여 포화수리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K_{sat}$값은 세척전에 투수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던 것에 비하여 크게 증가하여 $0.68cm\;hr^{-1}$을 나타내었다. 세척비율 1:3과 1:7에서 같은 방법으로 포화수리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K_{sat}$값은 각각 $0.71cm\;hr^{-1}$, $0.73cm\;hr^{-1}$을 나타내었고 토양에 대한 희석요인이 증가할수록 $K_{sat}$값은 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고염지 표토 토양을 $1N\;NH_4OAc$로 1시간 진탕 세척하여 수용성 및 치환성 양이온의 대부분을 제거한 후 컬럼에 충전하여 포화수리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K_{sat}$값은 $0.23cm\;hr^{-1}$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수용성 및 치환성 양이온을 제거한 고염지 표토 토주의 하단에 NaCl용액을 농도별로 상향 포화시켜 처리한 후 포화수리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K_{sat}$값은 NaCl 처리 농도별로 $0.13{\sim}0.15cm\;hr^{-1}$을 나타내었으며 NaCl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K_{sat}$값은 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상향식 바이오필터에서 상.하층의 메탄 산화 특성 비교 (Comparison of Methanotrophic Activity at Top and Bottom Layers in Up-flow Biofilters)

  • 윤정희;김정미;김지은;이다슬;조경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21-227
    • /
    • 2013
  • Perlite와 tobermolite 담체를 각각 상 하단(바이오필터 A) 또는 하 상단(바이오필터 B)으로 충전한 상향식 바이오필터에서 상하단의 메탄산화 특성을 비교하였다. 각 바이오필터에서 상단과 하단 담체를 채취하여 메탄산화속도를 측정하고, 정량적 real time PCR 방법을 이용하여 메탄산화세균수를 정량분석 하였다. 혼합담체의 층적배열 차이에 따른 각 담체의 순수 메탄산화속도를 조사한 결과, biofilter A perlite 상단이 $845.16{\pm}64.78{\mu}mol{\cdot}VS^{-1}{\cdot}h^{-1}$로 tobermolite 하단 $381.85{\pm}42.00{\mu}mol{\cdot}VS^{-1}{\cdot}h^{-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았다(p < 0.005). 또한, biofilter B tobermolite의 상단($601.25{\pm}37.78{\mu}mol{\cdot}VS^{-1}{\cdot}h^{-1}$)이 perlite 하단($411.07{\pm}53.02{\mu}mol{\cdot}VS^{-1}{\cdot}h^{-1}$)에 비하여 메탄산화속도가 높았다(p < 0.005). 바이오필터 A는 상단(1.27E+13 pmoA gene copy number/mg-VSS)보다는 하단(3.33E+13 pmoA gene copy number/mg-VSS) (p < 0.05)에 더 많은 메탄 산화 세균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바이오필터 B는 상단과 하단간의 메탄 산화 세균수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Perlite와 tobermolite로 충진된 각 담체의 순수 메탄산화속도는 상단부에 위치한 담체들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바이오필터내에서 메탄농도 감소폭이 컸던 하단부에서 메탄산화세균이 많이 존재하였다.

칼럼 반응조에서 Phosphate Solubilizing Microorganism(PSM)과 EDTA에 의한 납 오염토양의 식물상 복원 증진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Enhanced Phytoremediation of Pb Contaminated Soil with Phosphate Solubilizing Microorganism(PSM) and EDTA in Column Reactor)

  • 남윤선;박영지;이인숙;배범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00-506
    • /
    • 2008
  • 토양칼럼반응조에서 Pb 오염토양(1,200 mg/kg)에 강아지풀로 식물상복원공법을 적용하였을 때 EDTA 혹은 인용출미생물(Phosphate solubilizing microorganism) 주입이 식물의 Pb 섭취 및 연직이동에 주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EDTA 주입량은 Pb 오염총량과 동일한 mol수이었으며, 6회에 걸쳐 분할 주입하는 방법과 1회에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2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뿌리에 축적된 Pb의 농도는 control(164.7 mg/kg)에 비하여 PSM 처리구(M)는 2.6배, EDTA 분할처리구(ES)는 3.0배, EDTA 일괄처리구(E)는 3.3배가 증가하였고, 줄기에서는 control(8.1 mg/kg)에 비하여 M 처리구는 27배, ES 처리구는 37배, E 처리구 40배가 증가하였다. 뿌리로부터 지상부로 이동한 납의 비율은 control에서 0.06이지만, E 및 ES 처리구는 0.6, M 처리구는 0.5로 큰 차이가 없었다. Pb 제거량은 E 처리구가 많았고, EDTA의 연직이동은 ES 처리구에서 큰 것으로 나타나, 식물수확기 전에 EDTA를 일괄주입하는 방안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PSM 처리는 EDTA보다 Pb 제거량은 낮았지만 Pb의 식물섭취가 증가하였고, 식물의 성장 및 토양 내 미생물 활성도를 증진하는 장점이 있어 유독한 EDTA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向流컬럼浮選機에서 石炭灰의 크기 및 未燃炭素 含量이 分離特性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Particle Size and Unburned Carbon Content on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Fly ash in the Countercurrent Column Flotation)

  • 이정은;이재근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9권6호
    • /
    • pp.36-44
    • /
    • 2000
  • 석탄회는 기포에 잘 부착되는 미연탄소 성분의 입자와 기포에 부착되지 않는 산화광물 성분의 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석탄회입자를 수중에 부유시킨 상태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면 미연탄소와 산화광물질 입자를 각각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이들 두 종류의 입자들은 건축용 재료, 화장품, 섬유 및 반도체의 충진제(Filler), 흡착제, 야금용 탄소 등과 같이 고부가가치 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부유선별법에 의해 구성된 향류컬럼부유분리장치를 이용하여 혼합입자인 석탄회 입자를 효율적으로 분리하고자 하는 것인데, 분리특성은 기포와 혼합입자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기포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장치의 설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선행연구에서 충분히 이루어졌으나 혼합입자의 특성에 따른 분리효율 평가에 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고 있다. 혼합입자인 석탄회가 분리에 미치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석탄회 입자의 질량중앙직경이 23, 95, 190$mu extrm{m}$일 때, 미연탄소의 함량이 7, 11, 20%일 때에 각각의 분리효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급되는 석탄회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미연탄소 함량이 작을수록 분리효율이 증가하였다. 즉 포수제 투입량이 8$\ell$/ton-fa로 같은 조건에서 미연탄소 함량이 7%와 20%인 경우 분리효율은 각각 86%와 74%로 분석되었으며 질량중앙직경이 23$mu extrm{m}$와 190$\mu\textrm{m}$ 일 때 분리효율은 각각 74%와 39%로 분석되었다. 결국 석탄회에서 소수성인 미연탄소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분리효율은 감소하는 반면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기포와의 부착성능이 향상되어 분리효율은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a$/$\beta$/$\gamma$/$\alpha$/$\alpha$/$\beta$]r 배향각을 갖는 적층판을, 일반기술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본 논문의 방법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기술자들의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경우에 대한 고유진동수의 계산결과가 제공되고 있다. 고유진동수의 계산결과가 제공되고 있다. 사료된다.거나 둔화되는 것으로 분석된다.으로 분석된다..리학적 부하량이 2 $m^3$/$m^2$/min 일때, 2 kg 02 kg $O_2$/kW-hr의 가장 높은 표준에어레이션효율을 나타내었다. 위의 두 실험 결과에 따라 packed column 에어레이터에서 발포스티로폼 입자를 산소전달 매질로 이용하여 산소 전달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 Cu, Y, Nb, La, Nd, Pb, Th in excess of 10 ppm. Relatively high amount of most trace elements were detected in the Hwangto. The major and minor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Hwangto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host rocks. However, their difference was in the similar range compared with the compositions of host rocks. electron acceptor triggers sensory transduction processes in B. japonicum.t

  • PDF

식물유의 Triglyceride 조성 1. 참기름의 Triglyceride 조성 (Triglyceride Composition of Some Vegetable Oils 1. Triglyceride Composition of Sesame Oil)

  • 박영호;화전준;소천천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
    • /
    • 1981
  • 유지의 triglyceride 조성을 밝히기 위하여 비교적 구성지방산의 종류가 간단한 수종의 식물유를 시료로 하여 연구 검토하였는데, 본 보고에서는 참기름의 triglyceride 조성에 대하여 보고하기로 한다. 시료유를 Bio-Beads SX-2및 sephadex LH-20을 사용한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triglyceride를 분리하고, 이것을 $\mu-Bondapak\;C_{18}$ column을 사용한 HPLC에 걸어 PN별로 triglyceride를 분획하여 분취하였다. 분취한 획분의 일부를 GLC에 걸어 acyl 탄소수별로 분획하고, 또 일부는methyl 화하여 GLC에 걸어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triglyceride조성을 산정하였는데 산정할 수 있었는 triglyceride는 21종류이며, 그 중 주요 triglyceride는 $(2{\times}_{C18:1},\;C_{18:2};\;17.1\%),\;(C_{18:1},\;2{\times}C_{18:2};\;17.0\%),\;(3{\times}C18:2;17.0\%),$ $(3{\times}C_{18:1}; \;10.9\%),\;(3{\times}C_{18:2};\;9.6\%),$ $(C_{16:0},\;C_{18:1},\;C_{18:2};\;7.9\%),\;(C_{16:0},\;2{\times}C_{18:1};\;7.4\%),$ $(C_{16:0},\;2{\times}C_{18:2};\;6.8\%), (C_{18:0},\;C_{18:1},\;C_{18:2};\;3.1\%),$ $(2{\times}C_{18:0},\;C_{18:2};\;1.5\%),\;(C_{18:0},\;2{\times}C_{18:1};\;1.4\%),$ $(C_{16:0},\;C_{18:0},\;C_{18:1};\;1.3\%),\;(2{\times}C_{16:0},\;C_{18:1};\;1.2\%)$$(C_{16:0},\;C_{18:0},\;C_{18:2};\;1.0\%)$ 등이었다.

  • PDF

토양(土壤)에 처리한 광재규산질비료의 입도별(粒度別) 용해도(溶解度) 및 이동성(移動性) (Particle-size Effect of Silicate Fertilizer on Its Solubility and Mobility in Soil)

  • 유순호;박리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7-63
    • /
    • 1980
  • 시판(市販)되고 있는 광재규산질비료를 사별(篩別)하여 10목이하(目以下) 20-35목(目) 및 100목이상(目以上)의 3개입자군(個粒子群)으로 분리(分離)하고 그들을 토양(土壤)에 처리했을 때 토양용액(土壤溶液)의 규산함량변화(珪酸含量變化), 토양(土壤)에서의 이동성(移動性) 등을 조사(調査)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20mg을 증류수50ml로 침출(浸出) 했을 때 용액(溶液)의 규산농도(珪酸濃度)는 10목이하(目以下), 20-35목(目), 100목이상(目以上) 입자(粒子)에 처하여 각각 0.3, 1.0, 3.2ppm 이었으며 1N-Na-acetate용액(溶液)으로 침출(浸出)했을 때의 농도(濃度)는 각각 24.5, 126.2, 225.5ppm 이었다. 2.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20mg을 첨가(添加)한 상양(上壤)20g을 증류수 50ml로 침출(浸出)했을 때 10목이하(目以下), 20-35목(目), 100목이상(目以上) 입자(粒子)의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를 처리한 토양용액중(土壤溶液中)의 규산농도(珪酸濃度)는 규산(珪酸)을 첨가(添加)하지 않았을 때 보다 각각 0.25, 0.97, 3.28ppm 증가하였다. 3. 토양용액(土壤溶液)의 pH는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첨가(添加) 여부와 관계(關係)없이 담수일수(湛水日數)와 함께 2~4주(週)까지는 상승(上昇)하고 그 후(後) 6~10주(週)까지 하강(下降)하였다. 이때 수용액중(水溶液中)의 규산농도(珪酸濃度)는 pH와 역상관(逆相關)을 냐타내었으나 담수(湛水) 6~10주이후(週以後)에는 pH와 관계(關係)없이 수용액중(水溶液中)의 규산농도(珪酸濃度)는 증가하였다. 4. 토양투하수(土壤透下水)의 분액별(分液別) 규산농도(珪酸濃度)는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를 첨가(添加)하지 않았을 경우 투과수(透過水)의 양(量)이 0.88 pore volume에 달(達)했을 때 최고치(最高値)를 나타내었으며 20-35목(目), 100목이상(目以上)의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를 첨가(添加)하였을 때에는 각 각 0.94, 1.03pore volume에서 최고농도(最高濃度)를 나타내었다. 5. 1.5pore volume의 증류수를 투하(透下)시킨 후(後) 토양(土壤) column의 부위별(部位別) 규산함량(珪酸含量)을 분석(分析)한 바 수용성(水溶性) 규산(珪酸) 함량(含量)은 6~9cm이하에서는 깊이에 관계없이 일정(一定)하나 그 위 부위(部位)에서는 위로 갈수록 낮은 함량(含量)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1N-Na-acetate 가용규산(可溶珪酸)은 이동(移動)되지 않고 규산(珪酸) 처리부위에 집적(集積)되어 있었다.

  • PDF

부산석회를 이용한 납석광산 폐석의 중화처리 (Neutralization of Pyrophyllite Mine Wastes by the Lime Cake By-Product)

  • 유경열;정영욱;옥용식;양재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5-221
    • /
    • 2005
  • 납석광산 폐석의 중화제로서 Solvay 공정에서 발생되는 알칼리성 부산물인 부산석회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폐석을 충진한 컬럼 용출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폐석의 pH 값은 3.67로 매우 낮았으며 화학성분 중 $Al_2O_3$ 함량은 16.44%, $Fe_2O_3$의 함량은 11.62%로 높게 나타났다. 컬럼시험에서는 폐석 단독 처리구의 경우 침출수의 pH가 $3.5{\sim}4.0$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나 폐석+탄산석회 전층혼합 및 폐석+부산석회 전층혼합 처리에서는 침출수의 pH가 $7.0{\sim}8.0$의 수준으로 유지되어 뚜렷한 중화효과를 나타내었다. 침출수의 EC 값은 폐석+부산석회 전층혼합 처리에서 초기에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부산석회에 Ca을 비롯한 염류물질이 다량 함유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침출수 중 Fe의 농도는 폐석+부산석회 전층혼합 처리예서 1 mg $L^{-1}$ 이하의 수준으로 나타났고, Al의 농도는 초기 용출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이후 1 mg $L^{-1}$ 이하의 수준으로 안정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부산석회는 복토제의 피복 없이도 납석광산 폐석의 오염물질 유출을 차단할 수 있는 중화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고, 부산석회는 폐석과 혼합하여 처리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토양 column중 제초제 mefenacet의 용탈 (Leaching behaviour of the herbicide mefenacet in the soil columns)

  • 김성민;권정욱;안기창;조일규;경기성;이재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76-181
    • /
    • 2003
  • Mefenacet의 토양 중 이동성을 알아보고자 토양 column(내경 5cm $\times$ 길이 34 cm) 을 이용하여 유기물 함량이 다른 2 종의 토양(토양 A 3.1%, 토양 B 1.3%)이 충전된 토양 column에 8.33 kBq의 표지화합물과 비표지화합물을 1.05 mg/kg이 되도록 처리한 다음 벼(Oryza sativar L.)를 재배하면서 벼를 심지않은 경우를 대조로하여 119일 동안 매일 17.5 mL를 용탈시켜 벼 재배 유무 및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른 mefenacet 의 용탈성을 시험하였다. 119 일의 실험기간 동안 용탈수 중 $^{14}C$의 함량은 벼를 재배하지 않은 토양 A와 B에서 각각 총처리 방사능의 4.19%와 7.09%였으며 벼를 재배한 토양 A와 B에서는 각각 1.95%와 2.69%로 벼 재배구에서 보다 벼를 재배하지 않은 시험구에서 용탈률이 다소 높았다. 벼에서는 총 처리 방사능의 $8.47\sim8.95%$가 검출되었는데 주로 뿌리와 줄기부위에 분포하였다. 그리고 처리방사능의 대부분 $(79.85\sim89.52%)$이 토양 중에 존재하였다. 토층별 $^{14}C$ 분포량은 주로 $0\sim5cm$에 총처리 방사능의 $62\sim73%$가 존재하였으며, 휘발되거나 무기화된 량은 $3.4\sim9.2%$이었다. 그리고 용탈수를 수상, 유기상으로 분배한 결과, 수상에 처리방사능의 $59.4\sim97.7%$가 분배한 것으로 보아 토양 중에서 mefenacet은 빠르게 극성 대사물로 분해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