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 variation

검색결과 1,305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 of Myostatin (MSTN) g+6223G>A on Production and Carcass Traits in New Zealand Romney Sheep

  • Han, J.;Zhou, H.;Forrest, R.H.;Sedcole, J.R.;Frampton, C.M.;Hickford, J.G.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7호
    • /
    • pp.863-866
    • /
    • 2010
  • Myostatin, which is also known as growth and differentiation factor 8 (GDF8), has been reported to act as a negative regulator of skeletal muscle development. Variation in the myostatin gene (MSTN) has been associated with variation in muscularity in certain "meaty" sheep breeds. Polymerase Chain Reaction-Single Strand Conformational Polymorphism (PCR-SSCP)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allelic variation in the previously described g+6223G>A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SNP) in the 3' untranslated region (3' UTR) of MSTN. The sheep studied were 79 New Zealand (NZ) Romney lambs derived from a single sire heterozyous for g+6223G>A, which is in itself notable as this polymorphism has not been described previously in this breed. Allelic variation was observed to be associated with an abnormal gender ratio (p = 0.046) in the progeny. The presence of allele A was observed to have an effect (p<0.05) on birth weight, mean loin yield, proportion yield loin and total muscle yield. Allelic vari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mean shoulder yield, leg yield, proportion yield shoulder and proportion yield leg. This preliminary result suggests that while the A allele at MSTN g+6223 appears to improve some valuable traits in NZ Romney sheep,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understand if and how it may affect other traits.

고분자막 pH 센서 제작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meric membrane pH Sensors)

  • 조동회;정성숙;정구춘;이경호;박면용;김병수
    • 센서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5-40
    • /
    • 1996
  • 수소이온운반체로 HDBA(hexyldibenzylamine)나 HDPA(hexyldiphenylamine)을 이용하여 고분자막 pH 센서를 제작하였고, 온도 및 막의 두께 변화에 대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HDPA를 이용한 센서는 수소이온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감응하지 않았으며, HDBA를 이용한 센서는 pH 2 - pH 10 범위에서 수소이온에 대하여 선형적이고, 응답시간도 30 - 50초로 매우 빠르며, Nernstian 기울기는 53.6mV/pH을 나타내었다. pH 센서는 유리전극과 비교하여 알칼리금속과 알칼리토 금속이온에 대하여 방해를 적게 받았고, 재현성 및 안정성에 대한 편차는 2 - 4mV(${\pm}0.1mV$)로 우수하게 나타내었다.

  • PDF

Metal Cupferrate Complex에 關한 硏究(第4報) Spectrophotometry에 의한 바나듐(IV) 및 바나듐(V)-Cupferrate 의 化學組成의 決定 (Study on Metal Cupferrate Complex (Part IV). Determination of Vanadium(IV) and Vanadium(V) Cupferrate Compositions)

  • 김시중
    • 대한화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47-152
    • /
    • 1964
  • 有機溶媒(benzene)에 의한 抽出法을 利用하고, 分光光度法에 의한 몰比法과 連續變化法을 써서, V(IV)-cupferrate와 V(V)-cupferrate의 化學沮成이 水溶液相에서 有機溶媒相으로 分配된 다음에도 雙하지 않을 것이라는 假定밑에서, 水溶液의 酸性度에 따르는 cupferrate 錯化合物의 化學組成을 決定하였다. V(IV)-cupferrate의 benzene 溶液에서의 最大吸光波長은 pH에 따라 445$m{\mu}$ 또는 450$m{\mu}$이고, V(V)-cupferrate의 그것은 pH 1.8以下에서는 pH에 無關하게 445$m{\mu}$이었다. V(V)-cupferrate의 化學組成은 沈澱이 形成되는 水溶液의 pH에 따라 다르며, pH 1.0 以下에서는 $VCupf_4$, pH 1.3∼1.7에서는 $HVOCupf_3$ 또는 $VCupf_4$$VOCupf_2$의 거의 같은 몰씩으로된 混合物이고, pH 1.8∼4.3에서는 $VOCupf_2$이었다. V(V)-cupferrate의 化學組成은 水溶液의 pH에 따라 變化가 없고, pH 1.8 以下에서는 $HVO_2Cupf_2$이었다.

  • PDF

제주화산도의 암석성분에 관한 통계학적인 수치해석 (The Statistical on Numerical Analysis for The Petrology and Bulk Chemical Composition. In Cheju Volcanic Island)

  • 택훈
    • 동굴
    • /
    • 제14권15호
    • /
    • pp.42-90
    • /
    • 1987
  • 제주화산도의 암석학에 대한 암석기재 및 총화학 조성의 63종은 이문원에 의해 보고되고 있다. 총화학조성 데-타는 FORTRAN77의 프로그램에 의해 해석을 하였다. 해석에는 우선 최소자집법에 의해 환산식과 산분도를 검토했다. 다음에 통계적 데-타는 평균치, 최대치, 최소치, 범위, 표준편차, 분산, 표준오차 및 변동계수를 구했다. 표준편차의 큰 단위 물질은 SiO$_2$, MgO 및 FeO이고 작은 단위 물질은 MnO와 P$_2$O$_{5}$이다. 표준오차와 분산은 표준편차와 매우 유사한 조항이 있다. 그렇지만 변동계수는 표준편차와 다르다. 여기에서 큰 단위 변동계수는 $H_2O$$^{-}$$H_2O$$^{+}$이고, 작은 단위 변동계수는 $Al_2$O$_3$ 및 SiO$_2$ 이다. 상관계수의 계산은 정과 부의 상관성을 SiO$_2$, $Al_2$O$_3$ 및 TiO$_2$에 대해서 다른 조성과의 관계를 계산적으로 구할수 있다.

  • PDF

금산장기생태조사지 낙엽활엽수림내 토양이산화탄소 방출량의 연변동 (Annual Variation of Soil CO2 Efflux in a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of the Geumsan (Mt.)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 김춘식;이임균;임종환;박병배;천정화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86-190
    • /
    • 2013
  • 산림생태계 토양 호흡량은 지구탄소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금산 장기생태 연구 조사지 낙엽활엽수림을 대상으로 4년 동안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량의 연 변동을 조사하였다. 금산 장기생태 연구 조사지 월별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량은 토양온도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토양수분함량과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P > 0.05). 동절기(1월과 2월, 2007년의 경우 1월부터 3월)를 제외한 평균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량은 2008년 0.32 g $CO_2\;m^{-2}h^{-1}$, 2009년 0.40g $CO_2\;m^{-2}h^{-1}$, 2007년 0.41g $CO_2\;m^{-2}h^{-1}$, 2010년 0.54 g $CO_2\;m^{-2}h^{-1}$ 순이었으며, 2008년의 연 평균토양온도는 $12.0^{\circ}C$로 다른 연도의 토양 온도 $13.0-13.5^{\circ}C$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낮았다.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량과 토양 20cm 깊이의 토양온도는 지수함수 관계가 있었으며 ($R^2$ = 0.31-0.75, P < 0.05), 토양수분함량은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량과 유의적인 관계가 없었다(P > 0.05).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금산장기생태연구 조사지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량의 연 변동은 토양수분보다는 토양온도 변화와 관계가 있었다.

$C_{28}H_{58}$$Na_4P_2O_7{\cdot}10H_2O$의 전열특성 및 축열성능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arison o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 and Heat Storage Capability of $C_{28}H_{58}$ and $Na_4P_2O_7{\cdot}10H_2O$)

  • 임장순;김준근;조남철;김영기
    • 태양에너지
    • /
    • 제11권2호
    • /
    • pp.41-50
    • /
    • 1991
  • 본 연구는 상변화물질로써 용융점온도가 $62^{\circ}C$인 파라핀($C_{28}H_{58}$)과 용융점온도가 $79^{\circ}C$인 피로인산나트륨($Na_4P_2O_7{\cdot}10H_2O$)을 사용하여 축열 및 방열과정 시 잠열축열조내에서 각 상변화물질의 시간경과에 따른 온도특성 및 열전달현상을 실험적으로 규명한 것으로 각 상변화물질의 온도분포와 축열량 및 방열량을 계산하고 이를 비교, 검토한 것이다. 파라핀의 경우 축열과정초기에 자연대류 열전달현상으로 인하여 온도가 서서히 증가하는 반면 피로인산나트륨의 경우는 전도 열전달 현상의 지배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축열과정 초기에 온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또한 축열 및 방열과정 시 파라핀의 경우 tube의 상하부벽면에서의 온도변화와 중심부의 온도변화가 큰 차이를 보였으나 피로인산나트륨의 경우 tube의 상하부 벽면에서의 온도와 중심부에서의 온도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축열과정 시 동일질량에 대한 각 상변화물질의 축열량은 파라핀보다 피로인산나트륨이 약 16%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은행나무와 곰솔의 줄기 및 뿌리의 생장과 해부형태에 미치는 인공산성비의 효과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Growth and Anatomical Changes of Stem and Root of Ginkgo biloba and Pinus thunbergii)

  • 김명란;조애령;조덕이;소웅영
    • 환경생물
    • /
    • 제18권3호
    • /
    • pp.315-322
    • /
    • 2000
  • 은행나무 줄기와 뿌리의 해부학적 관찰에서 횡단면의 가도관의 접선직경, 세포면적, 세포벽 두께 및 방사열에서 세포층수는 산성비의 pH가 낮아짐에 따라 감소되었다. 은행나무의 절선면에서 관찰한 줄기와 뿌리의 방추형 시원세포의 길이와 방사조직 시원세포의 길이는 산성비 처리에 의해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곰솔의 줄기와 뿌리의 횡단면에서 가도관의 접선직경, 세포면적, 세포벽 두께 및 방사열에서 세포층수 역시 산성비 처리에 의해 pH가 낮아짐에 따라 감소되었다. 곰솔의 피층, 수와 목부의 면적은 산성비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다. 따라서 산성비는 은행나무와 곰솔의 길이생장은 물론 형성층의 활동력을 감소시켜 2기목부의 분화를 둔화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 PDF

ISSR에 의한 잔디속 식물의 DNA 다형성과 유전적 관계 평가 (DNA Polymorphism and Assessments of Genetic Relationships in genus Zoysia Based on 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57-262
    • /
    • 2015
  • 한국에서 채집한 잔디속(genus Zoysia) 식물 종의 유전적 변이를 단순 서열 반복(Inter-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ISSR) 마커 시스템으로 조사하였다. 8개의 ISSR 시발체를 이용한 중합효소 사슬 증폭반응에서 86개의 분절의 증폭물을 얻었으며 이 중 76(87.1%)개 분절이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ISSR 마커 시스템에서 다형성 정보 지수(PIC)는 0.848이었다. 다형성 대립유전자좌위의 퍼센트(Pp)는 41.2%에서 44.7%까지 나타내었다. 네이(Nei)의 유전자 다양성(H)은 0.149에서 0.186까지 이며 평균은 0.170이었다. 샤논(Shannon)의 정보 지수(I)의 평균값은 0.250이었다. 대립유전자좌위에 근거하여 전체 변이에서 종 간 차이를 나타내는 변이의 몫(GST)은 0.601였다. 이는 전체변이의 약 60.1%는 종 간에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변이의 약 39.9%는 종 내에 있었다. GST에 근거한 유전자 흐름(이동)은 잔디속 간에는 대단히 낮았다(Nm = 0.332). 계통도는 3개의 뚜렷한 분지군으로 분리되었다. 왕잔디(Zoysia macrostachya)와 금잔디(Z. tenuifolia) 분지군, 갯잔디(Z. sinica) 단독 분지군, 잔디(Z .japonica) 단독 분지군이었다. 결론적으로 잔디속 식물에 대한 ISSR 분석은 유전적 변이를 탐지하는데 유용하며, 종을 구분하는 유전자형의 대한 식별력을 주었다.

수수에서의 색소 추출과 저장 안정성 (Colorant Extracting and Its Storage Stability from Sorghum)

  • 배도규;이성은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8권
    • /
    • pp.9-1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수수피에 함유된 천연색소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추출방법에 따른 색소 추출 효율과 저장안정제 첨가에 따른 저장 안정성과 특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용액 추출 시 온도가 높을수록, 시간이 경과될수록 색소 추출 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pH 조건에서는 pH 4가 가장 효율적이었다. 2. 착액 추출 시, 단시간 전처리에서는 증류수가 pH 5에서보다 색소 추출량이 많았지만, 20시간 이상의 장시간 전처리에서는 오히려 pH 5에서 많게 나타났다. 3. 수수피 색소용액의 pH 변화에 따른 색도는, pH가 증가할수록 옅은 황색에서 짙은 황색을 거쳐 붉은색 톤으로 변화하였다. 4. 저장 안정제로 Methionine을 첨가한 결과에서는 첨가에 따른 수수피 색소의 안정화 효과에서 저장기간 18일까지는 변색 지연 효과를 보였으며, Methionine 10 mmol 첨가>20 mmol 첨가>무첨가 순으로 안정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PDF

고 안정화 프로터결정 실리콘 다층막 태양전지 (Highly Stabilized Protocrystalline Silicon Multilayer Solar Cells)

  • 임굉수;곽중환;권성원;명승엽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2-108
    • /
    • 2005
  • We have developed highly stabilized (p-i-n)-type protocrystalline silicon (pc-Si:H) multilayer solar cells. To achieve a high conversion efficiency, we applied a double-layer p-type amorphous silicon-carbon alloy $(p-a-Si_{1-x}C_x:H)$ structure to the pc-Si:H multilayer solar cells. The less pronounced initial short wavelength quantum efficiency variation as a function of bias voltage proves that the double $(p-a-Si_{1-x}C_x:H)$ layer structure successfully reduces recombination at the p/i interface. It was found that a natural hydrogen treatment involving an etch of the defective undiluted p-a-SiC:H window layer before the hydrogen-diluted p-a-SiC:H buffer layer deposition and an improvement of the order in the window layer. Thus, we achieved a highly stabilized efficiency of $9.0\%$ without any back reflect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