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H 전환

검색결과 553건 처리시간 0.031초

효모에 의한 phenol 성 물질의 자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Phenolic Substance by Yeast)

  • 김상달;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55-159
    • /
    • 1978
  • 분리된 효모에 의한 aromatic ring compound의 전환반응 실험에 앞서 phenol 자화능에 대한 환경 인자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phenol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분리된 효모균을 30시간, 3$0^{\circ}C$에서 진탕배양하여 균체증식량을 측정하였다. 1) pH3.5~4.5 온도 35$^{\circ}C$에서 가장 자화능이 우수하였으며 phenol의 처음 농도 1000ppm 까지 는 쉽게 이용할 수 있었고 2000ppm에서는 5 일간 배양시켰을 때 비로소 균체증식이 나타났다. 2) pH 5.0, 배양온도 3$0^{\circ}C$에서 본 균의 maximum specific growth rate는 0.27hr-1 이었으며, phenol 을 1000ppm씩 단계적으로 첨가하면서 phenol 소비율에 대한 균체수율 정수 Y값을 구한 결과 Y=3.2였다. 3) Yeast extract를 필수영양원으로 첨가할 때 0.005~0.01% 농도에서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또 산화환원소 효소 조해제인 HgCl$_2$, phenylhydrazine 을 명명 $10^{-5}$M, $10^{-3}$M을 배지내에 첨가하면 분리된 효모균의 증식을 거의 볼 수 없었다. 4) Phenol의 자화에 명종 실소원의 효과를 비교 해 본 결과 urea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이 효모균은 phenol 외에 catechol, resorcinol, benzidine 을 자화할 수 있다

  • PDF

암 치료 표적으로의 NAD(P)H Quinone Oxidoreductase 1 (NQO1) (NAD(P)H Quinone Oxidoreductase 1 (NQO1) as a Cancer Therapeutic Target)

  • 박은정;권택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8-103
    • /
    • 2014
  • NQO1은 플라보 단백질 계통의 2 전자 환원 효소이며 NADH 또는 NADPH를 보조인자로 quinone 계통의 화합물을 hydroquinone으로 환원 한다. 암에서 NQO1은 그에 상응하는 정상 조직과 비교하였을 때 비교적 높은 발현을 나타낸다. NQO1의 다양한 기능 중 quinone 물질 대사는 두 가지 형태의 상반되는 기능을 가진다. 이것은 quinone으로부터 전환된 hydroquinone의 상태적 안정성과 불안정성에 기인하며, 불안정한 hydroquinone의 생성은 산화적 손상 야기 및 DNA 손상은 세포의 운명을 바꾸어 놓게 된다. 따라서 암에서 그 발현이 높은 NQO1을 표적으로 작용하는 생체환원 물질은 암 세포 사멸을 강하게 유도하게 되어 암 치료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항암 표적 분자로서 NQO1 특징과 NQO1을 통해 작용하는 생체환원물질 ${\beta}$-lapachone의 항암 효과와 기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Bacillus stearothermophilus KY-126가 생산하는 Cyclodextrin glycosyltransfer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Cyclodextrin glycosyltransferase from Bacillus stearothermophilus KY-126)

  • 강상모;유시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5-381
    • /
    • 1994
  • 토양을 대상으로 하여 CGTase를 생산하는 균주를 분리, 선별하여 Bacillus stearothermophilus KY-126을 얻었다. CGTase의 정제는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ion exchange chromatography, gel filtration의 과정을 통해 분리 정제하여 단일 효소를 얻었으며, 분자량은 약 67,000이었다. 효소 반응의 최적 온도는 $65^{\circ}C$였으며, $55^{\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에도 비교적 열에 안정하였다. 최저 활성 pH는 5.5였고 pH5.5에서 10.5까지 비교적 안정하였다. $HgCl_{2}$에 의해 저해를 받았으며, 그 외의 금속 이온에는 저해를 받지 않았다. Soluble starch로부터 CD의 전환율은 43%이었으며, ${\alpha}-:,\;{\beta}-:,\;{\gamma}-$, CD의 생성 비율은 2.9 : 2.1 : 1이었다.

  • PDF

분쇄마찰 효소반응계에서 Fungal $\alpha$-Amylase를 이용한 생전분의 직접전환에 의한 Maltose 생산 (Direct Conversion of Raw Starch to Maltose in an Agitated Bead Enzyme Reactor using Fungal $\alpha$-Amylase)

  • 이용현;박진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0-295
    • /
    • 1991
  • Maltose 생산효소인 Fungamyl과 생전분의 알칼리성 현탁액에 고형분쇄마찰매체를 첨가교반하면서 증자액화과정을 거치지 않고 생전분으로부터 maltose를 직접 생성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불용성 생전분을 기질로 하는 분쇄마찰 효소반응계에서 효소반응은 증자액화된 전분을 기질로 하는 기종의 maltose 제조법과 비슷한 효소반응속도를 보였다. 그러나 24시간후 maltose 농도는 증자법을 초과하여, 생전분의 농도가 150g/l일 때 95g/l의 maltose를 얻을 수 있었고, 첨가생전분에 대한 수율은 0.60이었다. 또한 생산된 포도당, maltose, maltoriose의 농도는 각각 20, 95 그리고 13g/l였으며, maltose의 함량은 72%로서 증자법의 6%0에 비하여 매우 높았다.

  • PDF

달성광산 산성광산배수 침전물의 시간에 따른 광물상 특성 변화 및 이에 따른 미량원소의 거동 변화 (Changes of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es in Acid Mine Drainage of the Dalsung Mine and Related Changes of Trace Elements)

  • 윤영진;김영규;이성주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5호
    • /
    • pp.531-540
    • /
    • 2022
  • 산성광산배수 내에서 침전하는 다양한 철광물들은 침전 과정뿐만 아니라 침전 후 다른 광물로 상전이를 거치면서 배수의 미량 원소의 농도 변화 및 이동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슈베르트마나이트가 주로 침전되는 것으로 알려진 달성광산의 산성광산배수 침전조에서 채취한 고체 침전물에 대하여 pH 및 시간에 따른 광물 특성 변화와 이와 연관된 배수내의 원소 농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러나 채취된 시료의 주 구성 광물은 침철석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는 이미 슈베르트마나이트가 어느 정도 침철석으로 상전이가 되어 있는 상태임을 지시한다. 실험 결과 배수의 pH가 높을수록 피크의 반치폭이 좁아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비정질에 가까운 슈베르트마나이트의 침철석으로의 전환 또는 침철석의 결정도 증가로 해석할 수 있으며 pH가 높을수록 이러한 변화가 큼을 보여준다. Fe의 농도도 pH에 큰 영향을 받으며 pH가 증가할수록 배수 내의 Fe의 농도는 감소하였다. 시간이 증가할수록 Fe의 농도는 증가하다가 추후 감소하였는데 이는 일부 슈베르트마나이트가 용해된 후 다시 침철석으로 침전하여 생긴 결과로 해석된다. 이런 결과로 황(S)의 경우 초기에 빠르게 증가하다 시간이 지나면서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양상을 보여준다. S의 농도는 또한 슈베르트마나이트의 안정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슈베르트마나이트가 안정한 낮은 pH에서는 낮은 농도를 그리고 침철석이 안정한 높은 pH에서는 높은 농도를 보여준다. 배수 내의 미량 원소들도 pH와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주며 일반적으로 pH가 낮을수록 높은 농도를 보이는데 배수 내 양이온으로 존재하는 미량원소의 경우 낮은 pH에서의 높은 용해도와 높은 pH에서의 침전과 표면 전하의 변화 등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달리 비소(As)의 경우 배수 내 음이온으로 존재함으로 낮은 pH에서 높은 농도를 보여주지만 모든 pH 범위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농도가 증가함을 보이는데 이는 광물 표면의 전하보다 슈베르트마나이트 등으로 As와 공침할 수 있는 Fe의 배수 내 농도와 관련이 있어보이며 시간에 따른 As의 증가도 슈베르트마나이트의 감소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spergillus niger의 휴지균체에 의한 Gluconic Acid생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Gluconic Acid by Resting Cell System of Aspergillus niger)

  • 정지관;양호석;신규철;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19
    • /
    • 1981
  • Aspergillus niger의 휴지균체법에 의한 glucose 로부터 gluconic acid 생산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 gluconic acid 생산은 반응 pH, 온도, 기질농도, 통기조건, 금속 ions, 휴지균체의 보존상태 및 반응시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다. 휴지균체법에 의해서 glucose로부터 전환된 생성물질은 thin layer chromatography와 infrared spectrophotometer에 의해서 gluconic acid로 확인되었으며, glucose로부터 gluconic acid 생성반응에서는 $Mg^{++}$, S $n^{++}$의 첨가로 촉진효과를 보였으나, C $u^{++}$, H $g^{++}$, C$d^{++}$, A $g^{+}$ 및 Cyanide는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휴지균체의 최적보존 조건으로는 0.05 M phosphate buffer(pH7.0)에서 -$25^{\circ}C$ 보존 시가제일 안정하였다. 휴지균체법에 의한 gluconic acid 생산은 발효법에 비해서 배양시간이 짧고 수율이 양호하고, 정제 시 회수가 간단할 뿐 아니라 균체의 반복사용이 가능하였다.

  • PDF

자로사이트 내 양이온 종과 pH에 따른 침철석으로의 광물 변화 특성 (Mineral Transformation Characteristics of Jarosite to Goethite Depending on Cation Species and pH)

  • 김영규
    • 광물과 암석
    • /
    • 제37권2호
    • /
    • pp.47-57
    • /
    • 2024
  • 자로사이트는 pH가 낮은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되는 알루나이트 계열의 광물로 양이온이나 산화음이온이 공침 또는 치환된 형태로 구조 내 존재할 수 있다. 자로사이트는 pH 변화에 민감하여 pH 증가와 같은 지구화학적 변화 시 쉽게 침철석으로 상변화를 거치며 이러한 과정 중 자로사이트 내의 유해 이온들이 방출되어 추가적인 환경적 피해를 유발 할 수 있다. 자로사이트의 양이온 자리에 K 뿐만 아니라 Na와 NH4가 대신 존재할 수 있으며 다른 양이온을 포함하는 자로사이트의 생성은 산성광산배수 뿐만 아니라 특히 제련산업에 있어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양이온을 함유하고 있는 세 종류의 자로사이트를 합성한 후 pH 변화에 따른 각 자로사이트의 침철석으로의 상변화 과정을 비교 연구하였다. 모든 자로사이트들은 pH의 변화에 민감하여 pH 4에서 보다 pH 8에서 훨씬 높은 상변화율을 보였다. 상대적으로 낮은 pH 4에서는 구조적으로 가장 안정한 K-자로사이트의 침철석으로의 상변화가 가장 느리게 일어났다. 다른 두 자로사이트의 경우 함유된 양이온이 K 이온보다 반경이 작거나 커서 구조적 안정성에 차이가 있고 이로 인하여 침철석으로의 전환이 더 빨리 일어났다. 그러나 pH 8에서는 K-자로 사이트가 다른 자로사이트에 비하여 훨씬 더 빠른 침철석으로의 변화를 보였으며 이는 수용액 속의 K 이온의 급격한 증가에서도 확인될 수 있었다. 높은 pH에서 K-자로사이트의 상변화 양상은 낮은 pH에서 보여주는 것과 확연하게 다르며 침철석으로의 변화 기작이 pH 4에서 와는 다르다는 것을 지시한다. 이에 대하여는 추후 추가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산성광산배수나 제련소 폐기물의 처분 등에서 자로사이트의 상변화가 중금속의 거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지시하며 제련 산업 폐기물 처리에 있어서 중금속의 거동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cetohydroxamic acid 이용한 Urea로부터 암모니아 발생 저감 연구 (Reduction of ammonia conversion from urea by adding acetohydroxamic acid)

  • 윤광수;오하은;정민웅;황옥화;윤여명
    • 유기물자원화
    • /
    • 제29권4호
    • /
    • pp.5-13
    • /
    • 2021
  • 가축분뇨의 요소에서 유래하는 암모니아는 미세먼지(PM2.5) 생성의 주요 전구체로 작용하여 대기질을 저하시키고 공중 보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Acetohydroxamic acid(AHA)의 주입에 따른 요소로부터 암모니아 전환의 억제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실험은 다양한 요소 농도(500-4,000 mg Urea-N/L), AHA 농도(0-4,000 mg AHA/L), pH(pH 6-10) 및 온도(10-35℃)범위에서 수행되었다. 그 결과 AHA 농도가 높을수록 Urease 억제 효율이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특정 Urease 억제 활성은 pH가 높을수록 감소하여 pH 6에서 867.1±6.7 Unit/g AHA, pH 10에서 1,167.9±17.4 Unit/g AHA를 나타냈다. AHA와 대조군 모두에서 높은 온도에서 요소분해효소 억제 효율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AHA가 가축분뇨 관리에서 암모니아 배출을 줄이기 위한 요소분해효소 억제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추역병을 방제하는 PGPR균주 Bacillus subtilis AH18의 항진균성 Cellulase 유전자의 Cloning 및 효소 특성 조사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Cellulase Gene from a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Bacillus subtilis AH18 against Phytophthora Blight Disease in Red-Pepper)

  • 우상민;정희경;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11-317
    • /
    • 2006
  • 식물생육을 촉진하고 고추역병균을 방제하는 다기능 PGPR 균주 Bacillus subtilis AH18 항진균성 cellulase 유전자를 PCR을 이용해 pUC18과 재조합 후 E. coli DH5$\alpha$에 cloning하여 E. coli내에 발현시켰으며, 그 형질전환 균주를 E. coli DH5$\alpha$(pCM 41)이라 명명하였고, 발현된 cellulase를 ce/H라 하였다. E. coli DH5$\alpha$(pCM 41)의 inset 부위는 B. subtilis AH18의 1,582 bp 유전자를 포함하며 cellulase의 유전자는 1,524 bp로 508개의 amino acid가 암호화된 것으로 추정되었고, CMC를 함유한 SDS-PAGE의 방법으로 약 55 kDa의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B. subtilis AH18이 가지는 ce/H는 3종의 대표적인 Bacillus spp.들의 cellulase 유전자의 DNA와 아미노산 배열이 98% 이상 유사하였으며, CMC(carboxymethyl-cellulose) 뿐만 아니라, 불용성 섬유소인 Avicel, filter paper(Whatman No. 1) 특히 고추역병균인 Phytophthora capsici의 건조 cell wall도 분해하였다. 또한 colH의 cellulase는 $50^{\circ}C$에서 효소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최적 pH는 pH 6.0이었다. 그리고 $AgNO_3$ 또는 $CoCl_2$ 첨가시 활성이 1.7배, 2배 정도 증가하였고 $HgC1_2$ 첨가시는 활성이 20%까지 떨어졌다. 또한 여러 화학 저해제들 중 Sodium azide 또는 Hydroxy urea는 효소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CDTA 또는 EDIA는 섬유소분해능을 감소시켰다. 이들의 결과는 고추역병균 P. capsici의 생육을 억제하는 B. subtilis AM18의 진균세포벽 용해성 cellula의 효소학적 특성을 구명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 H-Transferase 유전자 과발현 형질전환 체세포주 확립 및 검증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rcine Cell Lines Overexpressing Human H-Transferase)

  • 이상미;박효영;김혜민;문승주;강만종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1권3호
    • /
    • pp.187-191
    • /
    • 2007
  • 본 연구는 사람 H-transferase가 과발현하는 돼지 체세포주를 개발하는데 있다. 돼지 세포에 사람 H-transferase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것은 이종간 장기 이식에 있어서 초급성 거부 반응을 방지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발현 벡터를 구축하기 위하여 사람 H-transferase을 HepG2 세포로부터 동정하였으며, 이 유전자를 CMV promoter를 이용하여 발현할 수 있도록 포유동물 발현 벡터인 pRc/CMV벡터에 삽입하였다. 또한, 돼지 산자의 귀 세포를 이용하여 체세포를 수립한 후 jetPEI DNA transfection reagent를 이용하여 벡터를 도입하였고, $300{\mu}g/ml$의 G418로 12일간 선별하였다. PCR을 이용하여 선별된 colony들을 분석한 결과, 벡터가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고, RT-PCR을 이용하여 사람 H-transferase mRNA가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세포주는 사람 H-transferase가 과발현하는 형질 전환돼지의 생산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