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의 변화

검색결과 6,928건 처리시간 0.041초

Fujj 사과의 감압저장중(減壓貯藏中) Acid-phosphatase의 변화(變化) (Changes of Acid-phosphatase in Fuji Apples during Sub-atmospheric Storage)

  • 배천호;손태화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권
    • /
    • pp.85-91
    • /
    • 1985
  • Fuji의 감압저장중(減壓貯藏中) 품질변화(品質變化)에 미치는 영향을 효소적(酵素的)인 면(面)에서 관찰하고자 preclimacteric 단계에서 수확하여 상온(常溫)($15^{\circ}C$) 및 저온(低溫)($2^{\circ}C$), 감압(減壓)(380mmHg) 및 상압(常壓)(760mmHg)에서 저장(貯藏)하여 경도(硬度), 산(酸), 당(糖) 그리고 효소활성(酵素活性)의 변화 및 전기영동형(電氣泳動型)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Fuji 사과의 Acid-phosphatase는 cell wall fraction에 주로 존재하며 climacteric maximum에서 최고의 활성(活性)을 보였으며 이후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상온상압구(常溫常壓區)에서 변화의 폭이 가장 크고 활성(活性)이 높았으며 그 다음 상온감압구(常溫減壓區), 저온상압구(低溫常壓區), 저온감압구(低溫減壓區)의 순(順)이었다. 효소(酵素)의 최적(最適) pH는 5.5, 최적온도(最適溫度)는 $45^{\circ}C$였다. 열(熱)과 pH의 안정성(安定性)을 조사한 결과 $30^{\circ}C$까지는 안정하였으며 pH 5~8사이에 안정하였다. 무기감(無機監) 영향에서는 Fe, Hg에 의해서 크게 저해(沮害)되었다. 저장중 상온상압구(常溫常壓區)와 저온감압구(低溫減壓區)에서 저장기간별로 추출해낸 효소액(酵素液)을 전기영동(電氣泳動)시킨 결과 전기간(全期間)에 걸쳐서 약간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 PDF

$\pi$-Water 처리를 통한 닭고기의 신선도 유지 효과 (A Effect on the Maintenance of Chicken Freshness through $\pi$-Water Treatment)

  • 김윤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97-206
    • /
    • 2002
  • 생체수 파이-워터($\pi$-water)가 닭고기의 신선도 유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파이-워터의 희석농도를 달리 하여 닭고기육에 인젝션한 후 닭고기 신선도의 판정지표와 관련한 이화학적 성질이 보관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닭고기의 지방산패정도(TBA-Value)는 Control군의 경우 보관기간 3일 경과 시점부터 경시적인 변화를 보이며 불쾌한 냄새 등으로 인하여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였으며 20% 희석군과 5% 희석군의 경우 보관기간 5일 경과 시점부터 경시적인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7일 경과 시점까지는 제품에 이상이 없었다. 2. 닭고기의 pH는 도계직후 평균 pH가 5.50수준이나 본 실험을 위한 원료육의 pH는 8.0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원료육에 주입한 염지액(pH : 8.38)의 영향으로 인한 것이며 보관기간의 경과에 따른 pH의 경시적 변화현상은 볼 수 없었다. 장시간 보관에 따른 닭고기의 신선도 판정지표로써 pH 변화 측정은 적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3. 닭고기의 일반세균수 변화는 Control군의 경우 1일 경과 시점부터 일반 균수가 증가하기 시작 보관기간 3일 경과 시점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20% 희석군과 5%희석군의 경우 4일 경과 시점까지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나 보관 5일경과 이후부터 일반 세균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4. 관능검사는 닭고기의 육색과 냄새를 평가하였으며 육색은 Control군의 경우3일경과 시점부터 품질의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여 5일 경과 시점에는 녹변 현상을 보였고 냄새는 3일 경과시점부터 암모니아 냄새와 같은 불쾌취를 발생 초기 부패과정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희석군의 경우 육색은 7일 경과 시점, 냄새는 5일 경과 시점부터 초기부패과정을 보였으며 5%희석군의 경우 육색은 10일 경과 시점, 냄새는 7일 경과시점부터 초기 부패과정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체수 파이-워터는 닭고기의 신선도 유지와 관련하여 지방산패를 억제하고 일반세균의 증식을 막아줌으로써 제품의 신선도를 연장시킬 수 있으며 희석농도의 차이에 따른 유의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수계종속 영양세균 군집의 종조성 및 세포외 효소의 변화에 미치는 산성화의 영향 (Effects of Acidification o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the Changes of Extracelluar Enzymes of Heterotrophic Bacterial Community)

  • 최영길;한명수;김세화;이경;유광일
    • 환경생물
    • /
    • 제20권1호
    • /
    • pp.85-90
    • /
    • 2002
  • 인위적으로 pH 구배가 조성된 회분배양 시스템 (batch culture system)내에서 산성화에 따른 종속영양 세균 군집의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총세균의 개체수는 산성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종속영양세균 군집의 크기는 pH가 낮아질수록 감소하였다. 전 pH구간에서 분리된 종속영양 세균들은 모두 12속 22종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그람음성 세균은 64%,그람양성 세균은 36%의 비율로 분포하였다. pH가 낮아짐에 따라 그람양성 세균의 분포 비율은 감소하는 반면, 그람음성 세균의 분포 비율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각 pH 구간별 속의 분포 비율은 pH 7에서는 12개 속이 출현하였으나, pH 3에서는 5개 속만 출현하여 pH가 낮아짐에 따라 속의 다양성이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였다. 세포외 효소의 활성도는 $0.008-0.292\;\mu{M}\ell^{-1}\;hr^{-1}$의 범주로 나타났고, 산성화에 따라 세포외 효소의 활성도는 급격히 감소하여 pH 5이하에서는 5-38%의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erratia marcescens 균주로부터 추출한 Prodigiosin의 흡수분광학적 연구 (Absorption Spectroscopic Studies of Prodigiosin Extracted from Serratia Marcescens Strain)

  • 박희억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55-361
    • /
    • 2019
  • Serratia marcescens 2354(ATCC 25419) 균주로부터 추출한 붉은 색소는 prodigiosin (PG)이었고, 이를 methanol에 녹여 자외선 및 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라를 측정한 결과 537 nm의 최대흡수파장 (${\lambda}_{max}$)을 갖는 산성용액에서의 전형적인 PG의 흡수 스펙트라이었다. 또한 methanol 용액에서 PG의 농도를 $1.0{\times}10-5M$에서 $9.0{\times}10-5M$로 증가시키면, 537 nm의 흡수강도는 증가하고 467 nm의 흡수강도는 감소하였으며, 500 nm에서 isosbestic point가 관측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537 nm와 467 nm가 각각 산과 염기용액에서의 PG 흡수대이고, 500 nm의 isosbestic point 등을 고려하면 가역적 산-염기 평형반응에 의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한편 pH, 4.75의 acetic acid 완충용액에서 PG의 농도를 $6.0{\times}10^{-4}M$에서 $1.0{\times}10^{-4}M$로 감소시키면 500 nm에서 ${\lambda}_{max}$를 가지는 새로운 흡수대가 나타난다. 이 흡수대는 pH 4.75의 수용액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같은 pH의 순수한 methanol 용액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PG 분자가 $H_2O$에 의해 ${\alpha}$-이성질체에서 ${\beta}$-이성질체로의 전환에 기인하는 것이다. 즉 PG의 색변화는 용액의 농도 및 용매의 특성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Electrokinetic정화시 토질의 완충능을 고려한 시료내의 pH변화 (pH Variation In Soils Considering Buffer Capacity during Electrokinetic Extraction)

  • 오승록;한상재;김수삼;조성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85-590
    • /
    • 2001
  • Physicochemical phenomena in soils are dependent upon pH when using electrokinetic extraction for the contaminants removal especially for heavy metals. pH variation in soils is affected on H$\^$+/ and OH ̄ ions produced by electrolysis reaction and buffer capacity of soil. High amount of heavy metals are retained in the soils if the soil buffer capacity remains high enough to resist a change in pH. Therefore, accurate pH estimation of soil is important in the application of electrokinetic mechanism for decontamination and understanding of subsurfac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s also required as well as considering buffer capacity for the enhanced methods application. For these, buffer capacity and pH distribution were measured for the four soils, and also compared with modeling results. The results of buffer modeling were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data. It is showed that four soils were effected by buffer capacity

  • PDF

캐티온염료를 이용한 Silk/Cationic Dyeable Polyester 혼합사의 염색거동 (Dyeing Behavior of Silk/CDP Mixed Filament with a Cationic Dye)

  • 최종문;권해용;박영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4-160
    • /
    • 1995
  • Silk/CDP 혼합사의 염색거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pH, 염색온도, 조제 등 염색조건을 변화시켜가면서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견섬유는 염욕의 pH가 증가함에 따라 일계 pH까지 염착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CDP 섬유는 pH에 따른 염착량의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염색온도의 염착거동에 대한 영향은 염색온도가 증가하면 초기염착속도는 증가하는 반면 최종 염착량은 줄어드는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CDP섬유의 경우 유리전이온도 이하에서도 염착속도가 상당히 느린 결과를 보였다. 2. Carrier를 사용하여 silk/CDP 혼합사를 염색하는 경우 염욕의 pH 및 염색온도에 따라 각 component에의 염료 흡착 및 탈착거동, 염착량 변화 등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arrier가 없는 경우에는 CDP component에는 거의 염착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3. Silk/CDP 혼합사의 염색시에 나타나는 이염현상은 carrier의 존재하에서 CDP component의 구조 이완에 따라 염착능력이 증대되고 염욕의 평형이 깨어지면서 silk component의 탈착과 동시에 친화력이 큰 CDP component,쪽으로 염료이동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미역 포자엽 fucoidan의 중금속 흡착 특성 (Biosorption of Lead and Cadmium by Fucoidan from Undariafinnatifida)

  • 구재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21-525
    • /
    • 2001
  • 국내에서 다량 생산되는 갈조류인 미역포자엽, 다시마, 톳, 모자반으로부터 fucoidan을 추출, 분획하여 Pb와 Cd의 흡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4종의 갈조류에서 추출한 fucoidan의 분획물 모두 Pb의 흡착량이 Cd보다 높았으며, 시료간에는 미역포자엽 분획물 (Fr-3.0)이 Pb와 Cd 모두 흡착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pH와 농도 변화에 따른 홉착력의 변화는 $C_f$ (잔류농도)가 50mg/L까지는 pH 간 차이가 없었으나, 농로가 증가함에 따라 pH 5.5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흡착량이 증가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얻은 Pb 와 Cd의 최대 흡착량은 pH 5.5에서 각각 94mg/g ($C_f$164mg/L), 64mg/g ($C_f$197mg/L)였으며 Langmuir sorption model을 통해 구한 최대 흡착량은 pH 5.5에서 각각 178mg/g, 122mg/g이었다. Cd 공존시 Pb 흘착량은 $C_f$가 낮을 범위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C_f$가 증가함에 따라 공존 이온의 흡착 방해로 인하여 감소하였다.

  • PDF

NaCl 농도가 인삼의 ginsenoside 함량과 pH 및 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change of ginsenosides, pH and color by NaCl concentration)

  • 박명한;이종원;이종태;김교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4호
    • /
    • pp.260-264
    • /
    • 1993
  • 인삼을 조미제품의 첨가성분으로 이용할 때 그 NaCl 농도에서 인삼성분의 안정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미삼과 홍삼정을 NaCl 농도별로 처리하여 pH, 색상 및 ginsenosides 함량을 조사한 결과, 미삼의 경우 NaCl 농도가 증가 할수록 pH는 높아졌으나 홍삼정 시험구에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색상은 NaCl 농도가 증가 될수록 감소하였다. n-BuOH extract 수율은 5% NaCl 농도에서 감소하였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증감 범위는 홍삼정이 컸다. Ginsenosides 함량은 diol계 saponin인 ginsenoside-Re, $-Rb_1$, $-Rb_2$, -Rc, -Rd 및 triol계 saponin인 ginsenoside-Re 모두 5% NaCl 농도에서 감소하였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ginsenoside-Re가 가장 민감한 증감의 변화를 보였다.

  • PDF

베시클을 이용한 단분산 구형 미분체 합성에서 베시클 내 알루미늄 이온의 침전조건과 침전메카니즘 (Condition and Mechanism of Precipitation of Intravesicular Aluminum Ion in Preparation of Monodispersed Spherical Fine Particles With Use of Vesicles)

  • 정종재;김창현;이병교;이창섭;이해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535-541
    • /
    • 1996
  • 베시클을 이용한 알루미나 미분체 제조에 있어서 베시클 외부 분산계의 pH 변화, 즉 수산화이온의 농도변화가 베시클 내부에서 침전 반응기구 및 침전물의 입자 형태, 분포, 크기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TEM)과 탁도계로 관찰한 결과 분산계의 pH가 11.4 및 11.3에서부터 베시클내부에서 알루미늄 이온과 수산화이온이 반응하여 침전물이 생성되기 시작하였고 pH 12.0 에서 평균입자 크기가 50nm정도의 미세하고 균일한 구형의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pH12.3 이상인 영역에서는 시간경과에 따른 베시클간의 응집 및 합체가 일어나 베시클 내부의 침전물이 pH12.0에서 생성된 침전물 크기에 비해 약 두 배 정도 성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세치제에 함유된 비효소계 항산화제의 경시변화에 따른 잔류량 (Residue by elapsed time of non-enzymatic antioxidants in dentifrice)

  • 박정은;박용덕;홍태기;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83-790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non-enzymatic antioxidants stabilities in dentifrices by ascorbic acid and tocopherol according to the chemical condition. Methods: For the analysis of two antioxidants, HPLC UV detector system was used. HPLC was performed using sodium sulfate, acetonitrile(ACN), methanol(MeOH) and measuring absorbance at 240-295 nm. To confirm general pH reaction of two compounds, buffer solution was prepared for the analysis. The dentifrice was titrated by pH so as to examine the change of elapsed time in dentifrice. Linearity of calibration curve of two antioxidants was measured. Results: Each compound showed good linearity at optimized wavelength as well as showing good precision. General pH reaction of two antioxidants was examined. Ascorbic acid showed the highest residue(63.23%) at pH 10 and the lowest residue(2.77%) at pH 4. Tocopherol showed the highest residue(55.70%) at pH 7 and the lowest residue(3.31%) at pH 4. As a result of changing elapsed time of antioxidants in dentifrice by pH, components were remained stably at low temperature($39.2^{\circ}F$) and pH 7.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keep dentifrice including ascorbic acid and tocopherol, and non-enzymatic antioxidants at pH 7 and low temperature for improving chemical s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