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CR

검색결과 1,873건 처리시간 0.035초

사료용 복합생균제가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Probiotic Feed Mixture on Chicken Meat Quality and Growth Performance in Broilers)

  • 신종서;엄경환;김창래;최윤서;박희진;이혜선;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779-788
    • /
    • 2019
  •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의 품질에 미치는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로 구성된 사료용 복합생균제(PFM, probiotic feed mixture)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병아리 (Ross 308) 240마리를 4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35일간 사육하였다. 처리구는 사료용 복합 생균제를 함유하지 않은 대조구(CON, control), 일반생균제(CP3, commercial probiotics 0.3%), 사료용 복합 생균제 3(PFM3, 사료용 복합 생균제 0.3%), 사료용 복합 생균제 5(PFM5, 사료용 복합 생균제 0.5%)로 구분하였다. 체중은 CON과 비교할 때 CP3, PFM3, PFM5가 높았고 PFM3, PFM5는 CP3에 비해 우수하였다(p<0.05). F낭, 흉선, 비장의 무게 및 IgG 수준은 CON과 비교할 때 PFM3, PFM5 및 CP3에서 증가하였으며 PFM3, PFM5는 CP3에 비해 높았다(p<0.05). 맹장의 Lactobacillus 균수는 PFM3, PFM5 및 CP3를 섭취한 브로일러가 CON에 비해서 높았으나 E.coli, Salmonella, coliforms, 총 호기성 균수는 감소하였다(p<0.05). PFM3 및 PFM5를 섭취한 닭 가슴살의 보수력은 CON 및 CP3와 비교할 때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를 포함하는 사료용 복합생균제 0.3%가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한국산 주요 식용해조류의 미량금속 함량 및 안전성 평가 (Trace Metal Contents and Safety Evaluation of Major Edible Seaweeds from Korean Coast)

  • 목종수;박희연;김지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464-1470
    • /
    • 2005
  • 우리나라 연안에서 수집한 김(33점), 미역(88점), 다시마(12점), 파래(43점)등 총 176점의 주요 식용 해조류에 대한 미량금속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아연, 망간, 구리 순으로 우리 체내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성분들의 함량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크롬, 니켈, 납, 카드뮴, 수은 순이었다. 김에서는 카드뮴과 아연이, 그리고 파래에서는 크롬, 니켈 및 납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고, 다시마에서는 수은이 가장 높게 검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카드뮴과 아연의 농축계수는 김에서 각각 약 12,000 및 14,00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크롬과 납은 파래 에서 각각 약 23,000 및 약 2,500으로 가장 많이 농축되었다. 또한, 구리는 김과 파래에서 약 5,500으로 많이 농축되었다. 다시마에서는 망간과 납 사이에 다른 식용해조류와는 달리 특이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금속간의 상관관계도 같은 갈조류인 미역, 그리고 녹조류인 파래와 전혀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김, 미역, 파래에서는 니첼-망간, 니켈-크롬 및 망간-크롬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다른 금속들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크롬-니켈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우리나라 국민의 식용해조류를 통한 수은의 1일 섭취량은 평균 $0.03{\mu}g$이었으며, 이는 PTWI($5{\mu}g/kg$ body weight/week)의 $0.07\%$ 수준이었다. 또한, 카드뮴의 1일 섭취량은 평균 $2.15{\mu}g$이었으며, 이는 PTWI(7${\mu}g/kg$ body weight/week)의 $3.57\%$ 수준이었다. 납의 1일 섭취량은 평균 $2.65{\mu}g$이었으며, 이는 PTWI($25{\mu}g/kg$ body weight/week)의 $1.20\%$ 수준이었다. 따라서 우리국민이 해조류를 통해 일주일에 섭취하는 수은, 납, 카드뮴등의 함량은 PTWI의 $0.07{\~}3.57\%$에 해당되며, 유해중금속 함량은 매우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국민은 해조류 통한 구리, 아연, 망간, 크롬의 섭취량은 영양소 기준치의 각각 1.35, 0.89, 4.28, $9.18\%$ 수준이었다.

미나리의 중금속 흡수량 측정 및 중금속 결합단백질의 동정 (Uptake of Heavy Metal Ions by Water Dropwort (Oenanthe stolonifera DC.) and Identification of Its Heavy Metal-Binding Protein)

  • 박영일;김희근;김유영;김인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6호
    • /
    • pp.494-500
    • /
    • 1996
  • 중요한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중금속 오염의 대처 방안으로 식물을 이용한 경제적인 정화 방법을 모색하고자 미나리의 중금속 흡수능력을 검정하고 카드늄 결합단백질을 동정하였다. 미나리의 중금속 흡수능력은 미나리를 카드늄 $(Cd^{2+})$, 크롬 $(Cr^{3+})$ 및 납 $(Pb^{2+})$의 농도를 달리한 배양액에서 재배한 후 미나리에 잔류하는 중금속을 정량함으로써 측정되었다. 중금속의 처리 기간은 3일과 7일로 하였고, 생장 저해가 일어나는 농도까지 처리하였다. 카드늄은 16.68 ppm, 크롬은 20 ppm까지 지속적으로 잔류량이 증가하였고 그 농도 이상에서는 생장 저해가 일어나면서 잔류량의 증가율이 둔화되었다. 식물체 부위별 카드늄과 크롬의 잔류량은 뿌리에서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고 줄기와 잎의 순으로 낮아졌다. 납의 경우는 카드늄과 크롬에 비하여 잔류량이 가장 높은 뿌리에서 4배 정도 잔류량이 높게 나타났다. 20 ppm의 중금속 용액에서 7일간 재배한 미나리 뿌리에는 건조중량 1 g에 대하여, 카드늄이 6.1 mg, 크롬은 5.2 mg 그리고 납은 23.6 mg이 잔류하고 있었다. 이것은 잔류하고 있는 중금속 중에서 카드늄은 80%, 크롬은 92%그리고 납은 96%이상이 미나리 뿌리에 잔류하고 있는 것이다. 20 ppm카드늄이 함유된 배양액에서 7일간 자란 미나리 뿌리 추출액을 Sephadex G-50과 DEAE-Cellulose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 상으로 단일 단백질 분리대의 중금속 결합단백질을 정제하였다. 이 단백질의 분자량은 gel filtration 상에서 약 5,000 Da이었고 아미노산의 조성을 보면 산성 아미노산이 27.3%, cystein이 9.9%로서 중금속 결합단백질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 아미노산 조성은 지금까지 알려진 phytochelatin과는 다른 새로운 중금속 결합단백질로 나타났다.

  • PDF

국내 무기안료 제조 및 취급 공정에서의 공기 중 크롬산연 노출 평가 (Evaluation of Workers' Exposures to Airborne Lead chromate in the Producing and Using Industries)

  • 최호춘;안선희;이현석;김화성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3-302
    • /
    • 2008
  • Lead chromate is made by sodium dichromate and lead acetate, and has being used widely in the part of pigment, paints, inks, plastics and so on. Even though lead chromate has health hazards which like both lead and chromium, there are a few study about pigment workplaces using lead chromat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orkers' exposure levels and airborne lead and chromium concentration in the pigment workplaces using lead chromate. There are 20 workers in the total 5 workplaces. 10 workers(50%) have been exposed to lead and 3 workers(15%) have been exposed to chromium, which exceeded the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ACGIH) Threshold Limit Value (Pb: $0.05\;mg/m^3$, Cr: $0.012\;mg/m^3$) and Korean Ministry of Labor's Standard. Geometric mean (GM) of airborne lead was highest in pigment ($0.0421\;mg/m^3$), paint ($0.0020\;mg/m^3$) and PVC coloring ($0.0007\;mg/m^3$), respectively(p<0.05). The result of airborne chromium concentration was paint ($0.0033\;mg/m^3$), paint ($0.0004\;mg/m^3$) and PVC coloring ($0.0003\;mg/m^3$). Also the lead and chromium concentration in the manual process is each 30 times and 10 times higher than the value in automatic process(p<0.01). In the classified process by detail, the concentration of airborne lead was $0.0638\;mg/m^3$ in grinding & packaging, mixture & after-measuring ($0.0436\;mg/m^3$), filtration & drying ($0.0402\;mg/m^3$), lead nitrate & dissolution($0.0129\;mg/m^3$), pigment commitment & mixture ($0.0013\;mg/m^3$) and dispersion & grinding ($0.0010\;mg/m^3$) (p<0.05). Moreover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in weighting & packaging was $0.0023\;mg/m^3$. The concentration of lead in workers' blood was pigment (15.12 ug/dl), paint (4.74 ug/dl) and PVC coloring (2.50 ug/dl), and some samples have exceeded biological exposure limit. In conclusion, the depending on their work industry and process, workers have been exposed to the high lead chromate.

체외 배양 체계가 체외수정 및 유전자 미세주입 수정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 Vitro Culture Systems on the Development of In Vitro Fertilized or DNA-Microinjected Embryos)

  • 박용수;민관식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9권3호
    • /
    • pp.181-18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배양 체계(혈청 첨가 TCM199, TALP, CRlaa 및 혈청 미첨가; IVMD101, IVF100, IVMD101)가 체외수정 또는 미세주입된 수정란의 체외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미세주입에 사용하는 GFP유전자의 양 및 미세주입 수정란에서 형광발현 양상을 검토하였다. 체외수정된 수정란의 $\geq$ 2세포기, 8세포기 및 배반포 도달율이 미세주입 수정란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 미첨가 배지에서의 8세포기 발달율이 수정란의 종류에 관계없이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 3.3\%\;vs.\;15.5\%$$21.4\%\;vs.\;39.4\%$, respectively), 배반포 도달율은 유사한 경향이었다($2.7\%\;vs.\;2.3\%$$23.0\%\;vs.\;23.6\%$, respectively). 한편, 2ng/uL 유전자를 미세주입한 수정란의 $\geq$ 2세포기, 8세포기 및 배반포 도달율이 4 및 8ng/uL의 것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미세주입 수정란의 형광발현율은 1세포기가2및 8세포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4세포기 및 배반포 단계와는 차이가 없었다.

지렁이 퇴비화장치 연속운영시 하수슬러지 침출액 및 분변토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wage Sludge and Casting Charateristic Variation During the Continus Vermicomposting)

  • 이창호;김종오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3호
    • /
    • pp.35-41
    • /
    • 2003
  • 본 연구는 지렁이 퇴비화 장치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연구를 목적으로 지렁이 퇴비화 장치 연속 운영시 하수슬러지 침출액 및 처리 후 발생되는 분변토의 특성변화를 살펴본 결과 pH는 지렁이 생육에 적합한 5~8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산화환원전위와 전기전도도는 처리 전 후의 값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NH_3-N$ 처리 후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고, $NO_3-N$는 처리 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pH, 알카리도, T-N, T-P는 처리 전 후의 성분변화가 낮게 나타나 지렁이 퇴비화 장치 설계시 ORP 또는 EC 항목을 이용하여 하수슬러지 퇴비화 지표활용으로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처리 후 발생되는 분변토를 부숙토로 재활용시 적합 판단을 목적으로 30일간 발생된 분변토의 평균 특성과 부숙토 제품기준을 비교 검토한 결과 분변토의 유기물함량, 유기물 대 질소비 및 염분 등은 각각 42.3%, 21.3, 0.15%와 As, Cd, Cr, Cu, Pb 및 Hg은 각각 0.041, 0.013, 0.012, 0.348, 0.006mg/kg 및 불검출로 나타나 부숙토 제품 등급의 가 등급으로 재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NO_3-N$$NH_3-N$$NO_3-N$ 농도가 $NH_3-N$ 농도보다 높게 나타나 분변토를 토양개량제 및 매립지 복토용으로 재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in cereal grains and co-products in growing pigs

  • Lee, Su A;Ahn, Jong Young;Son, Ah Reum;Kim, Beob Gy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7호
    • /
    • pp.1148-1155
    • /
    • 2020
  • Objective: The objective was to determine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of crude protein (CP) and amino acids (AA) in cereal grains and various co-products fed to growing pigs. Methods: Ten feed ingredients tested were barley (9.3% CP), lupin kernels (31.1% CP), and wheat (11.3% CP) as cereal grains, and 2 sources of corn gluten feed produced in China (21.6% CP) and Korea (24.6% CP), corn gluten meal (65.3% CP), lupin hulls (11.6% CP), rice bran (14.5% CP), soybean meal (44.8% CP), and wheat bran (15.4% CP) as co-products. Ten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each ingredient as a sole source of N and an N-free diet was used to correct basal endogenous losses of CP and AA. All diets also contained 0.5% Cr2O3 as an indigestible index. A replicated 11×6 incomplete Latin square design with 11 dietary treatments, 6 periods, and 22 animals was employed. Twenty-two barrows with an initial body weight of 64.6±4.9 kg were equipped with a T-cannula in the distal ileum. An experimental period consisted of a 4-d adaptation period and a 2-d collection period. Results: The SID of CP in the barley, lupin kernels, wheat, 2 sources of corn gluten feed, corn gluten meal, lupin hulls, rice bran, soybean meal, and wheat bran were 84.7%, 90.5%, 90.4%, 77.4%, 74.6%, 89.5%, 90.4%, 74.4%, 86.9%, and 63.4% (standard error of the mean [SEM] = 5.3, p = 0.006), respectively. The respective SID values of Lys were 75.5%, 88.4%, 83.9%, 74.7%, 62.4%, 80.3%, 83.9%, 78.5%, 88.0%, and 71.2% (SEM = 3.3, p<0.001), and the SID values of Met were 83.6%, 88.7%, 89.4%, 85.7%, 78.3%, 88.9%, 89.4%, 85.3%, 91.1%, and 77.0% (SEM = 2.4, p<0.001), respectively. Conclusion: The ileal digestibility of protein and amino acids varies among the feed ingredients fed to pigs.

제주도 현무암 기원 토양의 바나듐 용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Vanadium Leaching from Basaltic Soils of Jeju Island, Korea)

  • 현익현;양철신;윤성택;김호림;이민규;감상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541-1554
    • /
    • 2016
  •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vanadium leaching from soils formed by the weathering of basalts, paleo soil at Gosan, Jeju Island, Korea, and several present-day soils from neighboring areas were collected. Leachi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two approaches: 1) batch experiments under various geochemical conditions (redox potential (Eh) and pH) and 2) continuous leaching experiments under conditions similar to those of natural environments. From the batch experiments, leached vanadium concentrations were highest under alkaline (NaOH) conditions, with a maximum value of $2,870{\mu}g/L$, and were meaningful (maximum value, $114{\mu}g/L$) under oxidizing ($H_2O_2$) conditions, whereas concentrations under other conditions (acidic-HCl, $neutral-NaHCO_3$, and $reducing-Na_2S_2O_3$) were negligible. This indicated that the geochemical conditions, in which soil-water reactions occurred to form groundwater with high vanadium concentrations, were under alkaline-oxidizing conditions. From the continuous leaching experiments, the pH and leached vanadium concentrations of the solution were in the ranges of 5.45~5.58 and $6{\sim}9{\mu}g/L$, respectively, under $CO_2$ supersaturation conditions for the first 15 days, whereas values under $O_2$ aeration conditions after the next 15 days increased to 8.48~8.62 and $9.7{\sim}12.2{\mu}g/L$, respectively. Vanadium concentrations from the latter continuous leaching experiments were similar to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groundwater in Jeju Island ($11.2{\mu}g/L$). Furthermore leached vanadium concentrations in continuous leaching experiment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pH and Al, Cr, Fe, Mn and Zn concentr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 alkaline-oxidizing conditions of water-rock (soil) interactions were essential to form vanadium-rich groundwater and 2) volcanic soils can be a potential source of vanadium in Jeju Island groundwater.

TiO2/UV 산화기술을 이용한 염색폐수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Dyeing Wastewater Using TiO2/UV)

  • 김종규;정호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2-400
    • /
    • 2004
  • This research uses the $TiO_2$/UV process to verify the most suitable condition and possibility to dispose dyeing wastewater that contains pigment and a large amount of pollutants. For this, this research has enforced experiments that compare photo adsorption, photolysis, and photo catalyst oxidation reaction, and also evaluated and analyzed the change of pH and $TiO_2$ dosage, irradiation rates of ultraviolet rays and the dosage change and injection method of $H_2O_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yeing wastewater experiment of storehouse catalyst that uses the new form of $TiO_2$, the photo catalyst oxidation reaction proved to be more effective than photo adsorption and photolysis; 35%, 21% in the case of $TCOD_{cr}$ and 39%, 28% in the case of chromaticit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action time, amount of photo catalyst reaction and irradiation amount of ultraviolet rays,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of pH change proved to be most effective at pH 4. On the whole, the acidity area proved to be effective in dyeing water exclusion than neutral and alkalinity areas. Having evaluated the influence of $TiO_2$ dosage, not only does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continuously improve as the $TiO_2$ dosage increases but the shielding effect does not occur also when the $TiO_2$ is at a fixed state. The influence of ultraviolet irradiation amount concluded in the result that as the ultraviolet irradiation amount increases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continually increased, but in the case of chromaticity when the irradiation amount was higher than 37.8mW/cm2 the removal efficiency is slowed remarkably. The influence of $H_2O_2$ dosage evaluation reached the results that although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H_2O_2$ dosage, when above 150mg (total dosage: 1200mg) $H_2O_2$ consumes OH radical itself and reduces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Also in the case of the $H_2O_2$ injection method rather than injecting in the whole amount of $H_2O_2$ (1200mg) needed at the beginning all at once, injecting divided quantities of $H_2O_2$ whenever the electric current density falls below 10mgfl reduces the wases of OH radical due to an excess of $H_2O_2$ and in tum heightens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친환경 비알칼리성 실리카졸 차수공법의 적용 (Application of Non-Alkaline Silica Sol Grouting Method Considering the Eco-Friendliness)

  • 장용구;김수겸;강인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9호
    • /
    • pp.37-45
    • /
    • 2016
  • 본 연구는 기존 차수 그라우팅공법에서 사용되는 규산질 물유리계(규산소다) 재료에 대해 환경성과 주입재 내구성 문제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이를 대체한 실리카졸(Silica-Sol)의 성능효과와 실리카졸을 사용한 공법의 현장 적용성을 분석함으로써 타공법 대비 효과를 비교 제시하였다. 환경성 내구성 평가와 관련 실내에서 주입재에 대한 어독성, 수중불분리 및 pH 농도 변화, 용출, 압축강도, 길이변화(수축량), 해수영향에 의한 약액 효능 분석 시험을 한 결과 실리카졸 공법은 물유리계인 LW 공법에 비해 압축강도는 약 1.3배 강하고 수축률은 3~8배 정도 적었으며, 토양오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해성분(Cd, Cu, Hg, $Cr^{+6}$, 유기인)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독성의 경우 수조 내 물의 pH 농도 변화가 거의 없이 공시어 또한 모두 장시간 생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해수 염분에 의한 약액의 강도, 내구성 저하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장시험에서는 주입실시공 후 표준관입시험, 공내재하(LLT), 전단시험(BST)을 통해 지반개량에 대한 강도 물성치 증가 및 현장투수시험을 통해 풍화토(토사)층의 투수계수가 $1{\times}10^{-5{\sim}-6}cm/sec$로 저하됨으로써 현장적용에 대한 공법 시공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