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laid MDF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도장처리에 의한 무늬단판 오버레이 MDF의 표면물성 (Surface Properties of Fancy Veneer Overlaid Medium Density Fiberboard by Coating)

  • 김종인;박종영;도금현;정두진;박상범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19
    • /
    • 2007
  • The influences of coating on oak veneer overlaid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were evaluated. The hardness of 9mm-MDF by hardness test were increased about 28% with coating on MDF and the more increased hardness of 31% with oak veneer overlaid MDF. The hardness of veneer overlaid MDF increased with increment of the veneer thickness and that of overlaid MDF showed the higher hardness compared to non-overlaid MDF.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in terms of the hardness of panels MDF was in the range of 7% to 10% and the hardness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the moisture content. Any cracks were not overlaid coated on the MDF but the cracks were observed on the overlaid MDF after Soak under Vacuum Dry 10-cycle. The thicker veneer-overlaid MDF showed more cracks.

  • PDF

폐목재파티클을 이용한 재생보드의 제조특성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Boards Recycling Waste Wood Particle)

  • 김외정;서진석;한태형;박종영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20-127
    • /
    • 2006
  • 폐목질원료로서, 제재, 합판, PB, MDF와 폐침목 등의 해머밀에 의한 파쇄특성과 재생파티클 종류와 혼합비율에 따른 재생보드의 물성을 구명함으로써, 보드원료로서 재자원화 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재생보드의 휨성질은 목질원료의 입자형태 및 입도분포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파티클, 섬유와 같은 element가 압축고화된 상태의 판넬(PB, MDF)로부터 재생한 파티클은 물성저하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재생파티클에 이미 도포 경화된 수지에 의해 재생보드의 치수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보드원료로서의 적합한 요건은 건전폐목재(제재, 합판)와 저급폐목재(PB, MDF)의 적정한 혼용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전폐목재 재생파티클과 재생 PB파티클의 혼용시험에서 제재파티클이 휨성질(MOR, MOE)과 박리강도에 기여하고, 합판파티클은 치수안정성에 더욱 기여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보드의 중층용 원료로 재생PB파티클의 혼합비율을 증가함에 따라서 보드의 휨성능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혼합률 40%까지는 유의차가 없이 보드 15형(MOR : $153kgf/cm^2$, MOE : $27.5tonf/cm^2$) 수준의 성능이 구비되었다. 향후 생활폐목재(폐가구 등)와 같은 저급폐목재의 활용방안이 강구된다면 보드원료의 수급에 한층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목재 및 목질재료용 난연성 폴리우레탄수지 도막의 난연성능 (Performance on Flame-Retardant Polyurethane Coatings for Wood and Wood-based Materials)

  • 김종인;박종영;공영토;이병후;김현중;노정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172-17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MDF와 잣나무 판재에 대한 난연처리 및 난연도장 처리 시험편에 대한 난연 효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무처리 MDF와 잣나무판재에 대한 td𝜃은 각각 279.5, 182.5로 나타났으나 난연침지 처리된 무늬단판을 오버레이한 MDF를 난연도장 처리 한 경우 높은 난연성능을 나타냈다. 난연처리한 잣나무판재에 난연도장 처리를 할 경우 th𝜃가 90으로 나타났고, 난연침지 처리 된 무늬단판이 오버레이 된 MDF에 난연도장처리한 경우에는 th𝜃가 0으로 나타난 가장 뛰어난 난연성능을 나타냈다. 전체적으로 난연처리 및 난연도장처리를 한 경우 th𝜃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난연성능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소도 시험결과 시험편의 중량감소율은 난연처리와 난연도장처리에 의해 감소함으로써 난연성능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착화시간과 잔염시간의 측정결과도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난연침지 처리 된 무늬단판이 오버레이 된 MDF 및 난연처리된 잣나무판재에 난연도장 처리한 경우 무처리된 경우에 비해 착화시간은 증가되고, 잔염시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