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3초

충청북도 내 지역별 병원 전 심장정지 환자의 특성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by region in Chungcheong buk-do)

  • 임성빈;양현모;김영재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5호
    • /
    • pp.33-44
    • /
    • 2024
  • 충북은 지역별 인구구성과 산업시설, 응급의료기관의 분포 등에 있어 다양한 지역적 특색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심장정지 환자의 발생 특성과 관련한 지역별 특성 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충북지역의 병원 전 발생하는 심장정지 환자의 특성과 119구급대 이송 현황을 분석하여 충청북도 지역 특성에 적합한 병원 전 심장정지 환자 대응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충북지역 급성 심장정지 조사 원시자료(2020년)를 기초로 구급차로 이송된 심장정지 환자 1,188명을 분석한 후향적 연구이다. 충북 도내 응급의료기관은 총 11개소로 시 단위 지역에 편중되어 있어 군 단위 지역에서의 병원까지 환자 이송 시간이 지연되고 있었다. 군 단위 지역은 특별구급대의 출동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심장정지 환자 소생에 도움이 되는 심장정지 약물 투여 빈도도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응급의료서비스의 접근성 향상(소외지역의 구급차랑 배치, 응급의료기관 적정 배치 등), 외상성 심장정지 환자에 대한 예방 홍보 및 구급대원의 응급처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업무 범위 확대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Comparison of Extracorpore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ith Convention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Extracorpore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eneficial?

  • Lee, Seung-Hun;Jung, Jae-Seung;Lee, Kwang-Hyung;Kim, Hee-Jung;Son, Ho-Sung;Sun, Kyu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5호
    • /
    • pp.318-327
    • /
    • 2015
  • Background: With improvements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techniques, the qua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CPR have been established; nevertheless, the survival rate after cardiac arrest still remains poor. Recently, many reports have shown good outcomes in cases where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was used during prolonged CPR. Accordingly, we attempted to evaluate the impact of extracorpore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CPR) on the survival of patients who experienced a prolonged cardiac arrest and compared it with that of conventional CPR (CCPR). Methods: Between March 2009 and April 2014, CPR, including both in-hospital and out-of-hospital CPR, was carried out in 955 patients. The ECPR group, counted from the start of the ECPR program in March 2010, included 81 patients in total, and the CCPR group consisted of 874 patients. All data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from the patients' medical records. Results: The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ROSC) rate was 2.24 times better in CPR of in-hospital cardiac arrest (IHCA) patients than in CPR of out-of-hospital CA (OHCA) patients (p=0.0012). For every 1-minute increase in the CPR duration, the ROSC rate decreased by 1% (p=0.0228). Further, for every 10-year decrease in the age, the rate of survival discharge increased by 31%. The CPR of IHCA patients showed a 2.49 times higher survival discharge rate than the CPR of OHCA patients (p=0.03). For every 1-minute increase in the CPR duration, the rate of survival discharge was decreased by 4%. ECPR showed superiority in terms of the survival discharge in the univariate analysis, although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The survival discharge rate of the ECPR group was comparable to that of the CCPR group. As the CPR duration increased, the survival discharge and the ROSC rate decreased. Therefore, a continuous effort to reduce the time for the decision of ECMO initiation and ECMO team activation is necessary, particularly during the CPR of relatively young patients and IHCA patients.

Factors influencing success and safety of AED retrieval in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s in Singapore

  • NG, Jonathan Shen You;HO, Reuben Jia Shun;YU, Jae Yong;NG, Yih Yng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7-111
    • /
    • 2022
  • 연구 목적: 병원 밖 심정지(OHCA)에서 자동제세동기(AED)의 사용은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킨다. 싱가포르는 절도를 막고자 공공 AED를 '브레이크 글래스' 기전의 잠금 박스로 보호하고 있는데 지역사회 대응자들은 AED를 회수하기 위해 유리를 깨면서 부상을 당하곤 했다. 최초로 시도한 본 연구는 성공적인 AED 회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 만연한 부상을 문서화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설문지를 작성, 배포하였다. 참가자는 지난 12개월 동안 OHCA에 대처한 자들이다. 비교 검정은 피셔-프리만-할턴 정확 검정 또는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여 5% 유의 수준에서 시행되었고, 로짓링크함수를 사용하여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88명의 참가자가 적격했다. 성공적인 AED의 회수는 직업, 연령, 성별 및 시간 영향을 받지 않았다. myResponder 앱의 활성화로 OHCA에 대응했던 참가자들은 성공적으로 AED를 회수할 가능성이 높았다. (AOR 11.111, 95% CI: 2.141-58.824) 결 론: 모바일 myResponder 앱을 활용할 경우 AED회수 성공률이 훨씬 높았다. AED의 성공적 회수는 시간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성별, 연령, 직업과 무관했다. 싱가포르에서 지역사회 대응자들은 부상 위험에도 불구하고 심정지에 대응할 적극적 자세가 되어 있다.

병원 전 심폐소생술에 의한 자발순환 회복 8례: 일 지역 하트세이버 수여자를 기준으로 (A Case Report of ROSC for Out-of Hospit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ased on one Area Heart Saver)

  • 방성환;김지희;김경용;노상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61-67
    • /
    • 2013
  • 이 연구는 병원 전 심정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과 후 72시간 이상 자발순환이 회복된 환자 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심정지 원인으로는 심장질환이 3례, 응급상황으로 인해 병력을 구하지 못한 경우가 5례를 보였다. 심정지 환자의 6례가 가정에서 발생하였고, 가족이나 동료에 의해 심정지가 목격된 경우가 8례였으며, 가족이나 동료 등 목격자의 의해 시행된 심폐소생술은 5례였다. 구급대원 도착 후 임종 호흡을 보인 환자가 3례로 확인되었다. 심정지 환자의 최초 초기리듬은 심실세동 7례, 무맥성전기활동 1례를 보였다. 출동에서 현장 도착까지 소요시간은 6.1분(${\pm}2.7$), 출동에서 병원 도착까지 소요시간은 23.0분(${\pm}8.8$), 자발순환이 회복되기까지 심폐소생술 지속 시간은 8.7분(${\pm}3.4$)이 소요되었다. 출동한 구급대원의 자격은 1급응급구조사 6례, 2급응급구조사 2례였으며, 3명 출동이 7례를 보였다. 병원 전 심정지 환자의 소생률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일반인 심폐소생술 교육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여야 한다.

Clinical Significance of Smudge Cells in Peripheral Blood Smears in Hematological Malignancies and Other Diseases

  • Chang, Chih-Chun;Sun, Jen-Tang;Liou, Tse-Hsuan;Kuo, Chin-Fu;Bei, Chia-Hao;Lin, Sheng-Jun;Tsai, Wei-Ting;Tan, N-Chi;Liou, Ching-Biau;Su, Ming-Jang;Yen, Tzung-Hai;Chu, Fang-Ye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4호
    • /
    • pp.1847-1850
    • /
    • 2016
  • Background: It is reported that the percentage of smudge cells in the blood smear could be a prognostic indicator in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However,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mudge cells in other hematological malignancies, solid tumors or non-malignant diseases is less clear. H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mudge cells in hematological cancers and other disorde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to November, 2015, the clinical data of patients who received blood examination with differential counts for clinical purpose and were found to have smudge cells in the peripheral blood film in Far Eastern Memorial Hospital were selected. The percentage of smudge cells and patient outcomes were evaluated for further univariate and survival analyses. Results: A total of 102 patients with smudge cells in their blood smears were included. Smudge cells were frequently presented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 n=30), infections (n=23), hematological cancers (n=23) and solid cancers (n=10).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ntage of smudge cells and the patient mortality in all diseases (OR: 1.08, 95% CI: 0.47-2.48, P=1.000) as well as the OHCA group (OR: 1.91, 95% CI: 0.38-9.60, P=0.694). It was observed that in patients with all cancers with the percentage of smudge cells less than 50% had a lower mortality rate in comparison with those who had the percentage of smudge cells of 50% or more (OR: 22.29, 95% CI: 2.38-208.80, P<0.001). Additionally, it was seemingly that patients with smudge cells of 50% or more had a lower survival rate than those with smudge cells less than 50% in all cancers with follow-up at 2-month intervals, but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P=0.064). Conclusions: Our survey indicated that in all cancers, those who had higher percentage of smudge cells were prone to have poor outcomes when compared with the subjects with lower percentage of smudge cells. This finding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which the race-ethnicity of most study populations was non-Asian; hence, further investigations are required. Besides, there was no apparent association of the percentage of smudge cells with patient outcomes in all diseases, including OHCA.

병원 밖에서 발생한 심인성 심장정지환자의 생존 관련 요인 7년간 국가심장정지조사사업 자료 활용 (The Factors Influencing Survival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with Cardiac Etiology)

  • 정수연;김철웅;홍성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60-569
    • /
    • 2016
  • 목적 병원 밖에서 발생한 심인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 관련 요인들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응급의료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2006년부터 2012년까지 7년간 우리나라 119 구급대가 이송한 심장정지 환자 전수 자료 중 심인성 심장정지 환자 90,734명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심장정지 조사 자료는 같은 지역 내 환자의 생존 여부가 상호 관련성이 있는 다층적 구조의 자료이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환자-지역 2단계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일반인에 의해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이 시행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생존 퇴원 가능성이 1.40배, 병원 도착전에 제세동을 신속히 시행한 경우 생존퇴원 가능성이 2.98배 높았다. 병원별 응급의학 전문의 수를 5분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전문의수가 가장 적은 경우인 1분위를 기준으로 2분위인 경우 1.29배, 3분위인 경우 2.89배, 4분위인 경우 3.39배, 5분위인 경우 4.07배 생존퇴원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냈다. 병원별 연평균 심장정지 환자수를 5분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심장정지 환자를 가장 적게 보는 병원인 1분위를 기준으로 각각 2분위인 경우 2.06배, 3분위인 경우 3.06배, 4분위인 경우 3.46배, 5분위인 경우 4.36배 생존퇴원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냈다. 또 지역박탈지수를 5분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지역박탈지수가 가장 낮은 지역인 1분위를 기준으로 2분위인 경우 교차비가 0.96, 3분위인 경우 1.00, 4분위인 경우 0.72, 5분위인 경우 0.64를 보여 지역박탈지수가 높을수록 생존퇴원 가능성이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결론 일반인에 의해 CPR이 시행된 경우, 병원 도착 전에 제세동을 신속히 시행한 경우 생존 퇴원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응급의학과 전문의 수가 많은 병원과 심장정지 환자를 많이 보는 병원에서 처치되었을 때, 지역 박탈지수가 낮을수록 생존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냈다.

LMS 적응필터를 이용한 직교 함수 기반의CPR 잡음 제거 알고리즘 설계 (Design of CPR Artifact Removal Algorithm Based on Orthogonal Function using LMS Adaptive Filter)

  • 임은호;남동훈;명현석;강동원;전대근;윤영로;이경중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53-160
    • /
    • 2016
  • This study proposes an algorithm for removal of CPR artifact in order that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can effectively diagnose ECG rhythm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Current AED required to interrupt chest compression for reliable rhythm analysis to avoid the effect of artifacts produced by CPR. However even temporarily interruption of chest compression during CPR adversely affects the probability of restoration of spontaneous circulation (ROSC) and survival after the delivery of the shock. Therefore, we proposed a method for removal of CPR artifacts using least mean square (LMS) filter. The removal of the CPR artifacts would enable compressions to continue during AED rhythm analysis, thereby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resuscitation success. It was tested on 31 segments of shockable and 300 segments of non-shockable ECG signals recorded from three pigs during CPR. In the result, sensitivity (Se) and specificity (Sp) analysis on the test segments showed values of Se = 3.2%, Sp = 66.0% and Se = 96.8%, Sp = 98.7% in the case of unfiltered and filtered signals during CPR.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a useful tool to exactly diagnose the ECG rhythm during the C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