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smotic stabilizer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41초

Optimization of Protoplast Preparation and Regeneration of a Medicinal Fungus Antrodia cinnamomea

  • Wu, Jyun-De;Chou, Jyh-Ching
    • Mycobiology
    • /
    • 제47권4호
    • /
    • pp.483-493
    • /
    • 2019
  • Antrodia cinnamomea is a unique medicinal fungus in Taiwan. It has been found rich in some pharmacologically active compounds for anti-cancer, hangover, and immune regulation etc. With the in-depth study of these components, it would be interesting and important to establish a molecular system for basic studies of A. cinnamomea. Thus, we would like to set up a foundation for this purpose by studying the A. cinnamomea protoplast preparation and regeneration. Firstly, we studied the optimization method of protoplast preparation of A. cinnamomea, and found various factors that may affect the yield during protoplast preparation, such as mycelial ages, pH values, and osmotic stabilizers. Secondly, in the regeneration of protoplasts, we explored the effects of various conditions on the regeneration of protoplasts, including different media and osmotic pressure. In addition, we found that citrate buffer with pH value around 3 dramatically increased the regeneration of protoplasts of A. cinnamomea, and provided a set of regeneration methodology for A. cinnamomea.

Ganoderma lucidum의 원형질체 형성과 재생 (Protoplast Formation and Regeneration of Ganoderma lucidum)

  • 박영도;박경숙;이재성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11-314
    • /
    • 1985
  • Novozym 234를 사용하여 Ganoderma lucidum의 원형질체 형성 및 재생 실험을 실시하였다. 원형질체 형성에는 Mannitol을 위시한 여러 가지 삼투압 조절제를 사용하여 $10^{6}$$m\ell$의 원형질체 형성이 가능하였다. 재생 실험에서는 Inositol과 Sucrose를 삼투압 조절제로 하여 0.26%까지의 재생율을 얻을 수 있었으나 MgSO$_4$ㆍ7$H_2O$는 재생용 배지의 삼투압 조절제로서는 부적합하였다. 재생 실험에서는 Bacteria등의 오염을 억제하기 위하여 Streptomycin sulfate를 첨가한 배지를 overlay 하였다.

  • PDF

Trichoderma koningii의 Protoplast 생성에 관하여 (Formation of Protoplast from Trichoderma koningii)

  • 조남진;이영하;홍순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86-191
    • /
    • 1981
  • Protoplast production from Trichoderma koningii ATCC 26113 was investigated for the purpose of doing basic and applied researches by protoplast fusion of the cellulolytic filamentous fungus. High yields of protoplast were obtained by using the 18hr. old mycelia treated with the lytic enzyme Driselase of Kyowa Fermentation Co., Japan, in 0.6M $MgSO_4\;or\;(NH_4)_2SO_4$ as osmotic stabilizers. The optimum temeprature of mycelial digestion was about $28^{\circ}C$ and the number of protoplast increased rapidly after 3hr. digestion. Protoplasts produced at different periods showed distinct morphological heterogeneities in the whole size and the size of vacuole.

  • PDF

벼 도열병균, pyricularia oryzae의 원형질체 형성 (Formation of protoplasts from pyricularia oryzae)

  • 이용환;정후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9-214
    • /
    • 1985
  • The optimum conditions of protoplasts formation from Pyricularia oryzae were investigated with lytic enzymes and osmotic stabilizers. The mycelia were begun to refease the protoplasts in response to the complex enzyme solution after 30-60 minutes and reached to maximum after 2-3hrs. Among the lytic enzymes tested, the mixture solution containing ${\beta}-Glucuronidase$(0.01 ml/ml), Cellulase ONOZUKA-RS(20mg/ml), Driselase (10mg/ml), and Macerozyme R-10 (10mg/ml) resulted in the highest rate of protoplasts releasing of Pyricularia oryzae. The best stabilizer was 0.6M KCl at pH 7.0. Shen the mycelia were digested with enzyme mixture, the stationary culture was better than shaking culture for higher protoplast formation.

  • PDF

Trichoderma 속의 제균종에 대한 protoplast formation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otoplast Formation of Trichoderma spp.)

  • 성연섭;안원근;주우홍;이재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8-64
    • /
    • 1992
  • Trichoderma 속의 제균종중에서 10균주를 선별하여 protoplast 형성에 관한 제반조건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보편적으로 protoplast 형성에 있어서 삼투안정제의 효과는 ${KCI}>(NH_4)_2{SO_4}>NaCl>mannitol>{MgSO}_4$ 순이었으며, 최적농도는 0.6-0.9M 사이에서 결정되었다. Protoplast형성을 위한 DRISELASE의 최적조건은 pH5.0, 효소농도 2%. 반응시간 4시간, 반응온도 $30^{\circ}C$ 이었다. NOVOZYM 234의 최적조건은 pH 5.5, 효소농도 1%,반응시간 3시간, 반응온도 $30^{\circ}C$ 이었다. Protoplast 생성은 대수증식기 초기와 증기사이의 균사체가 최적이었다. Protoplast 생성에 있어서는 DRISELASE가 효과적이었으나 T. longibruchiatum IAM 13107과 T. viride IAM 5141의 경우에는 NOVOZYM 234가 보다 효과적이었다.

  • PDF

Phytophthora capsici의 균사체(菌絲體)로부터 원형질체(原形質體) 형성(形成)과 재생(再生) (Protoplast Formation and Regeneration from Mycelia of Phytophthora capsici)

  • 이승연;김영진;황병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8
    • /
    • 1993
  • Phytophthora capsici에서 원형질체를 형성, 재생 시키는데 관여하는 요인에 대해 조사연구하였다. 삼투압조절제로서 0.35 M $CaCl_2$가 첨가된 Novozym 234를 6-9시간 처리하면 균사체에서 원형질체가 양호하게 나출되었다. 24시간 배양한 어린 균사체에서 가장 많이 원형질체를 나출시킬 수 있었으며, 또한 Novozym 234의 농도가 진할수록 효과적으로 원형질체가 나출되었다. 원형질체를 재생시키는데는 0.4 M mannitol과 0.1 M $CaCl_2$를 혼합한 것이 삼투압 조절제이었다. 원형질체의 재생률은 모든 영양소가 첨가된 Henninger 합성배지에서 가장 높았다. 아미노산이나 ${\beta}-sitosterol$은 원형질체의 재생에 영향을 미쳐 두 영양소가 빠지면 원형질체의 재생이 억제되었다. 특히 아미노산 중 L-aspartic acid와 L-glutamic acid는 원형질체의 재생을 촉진시켰다. 그러나, 미량원소는 원형질체의 재생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 PDF

효모의 원형질체 형성조건 (Factors Affecting Protoplast Formation of Yeast)

  • Kim, Young-Ho;Seu, Jung-Hw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77-382
    • /
    • 1985
  • 이속 효모간 원형질체 융합에 의해 새로운 알콜발효 균주를 개발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Arthro-bacter luteus에서 얻은 zymolyase 5,000을 세포벽 분해효소로 사용하여 전분분해 효모인 C. tropicalis, E. fibuligera 및 알콜발효 효모인 S. cerevisiae 등의 원형질체 형성조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원형질체 형성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pH 7.5와 35$^{\circ}C$였다. 또한 원형질체 형성에 대한 2-mercapto-ethanol의 효과는 50mM농도에서 가장 좋았으며 삼투압 안정제로는 0.6M KCl이 적당하였다.

  • PDF

한국산 해산 홍조류 긴잎돌김(Porphyra pseudolinearis Ueda)에서의 원형질체 분리 (Isolation of protoplast from the marine red alga Porphyra pseudolinearis in Korea)

  • 김영대;최재석;이주;손용수;홍용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16-521
    • /
    • 2003
  • 한국 동해안 특산종인 긴잎돌김의 원형질체 분리를 위한 적정한 조건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 졌다. 홍조류 긴잎돌김은 동해안에 있어 토착종이며 우점종중 하나이다. 원형질체는 2% agarase and 2% hemicellulase 의 효소를 이용하여 25mM Mes buffer, pH 6.0의 0.5M 솔비톨에서 분리되어 졌다. 분리되어진 원형질체는 PEG 8000에서 염색한 오카무라둥근돌김과 접합하였다.

Lyophyllum decastes의 원형질체 분리와 재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otoplast Formation and Regeneration of Lyophyllum decastes)

  • 복진우;김종필;진미림;최응칠;김병각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0-137
    • /
    • 1994
  • 담자균류인 잿빛 만가닥버섯 Lyophyllum decastes은 이미 항암작용이 있다고 보고된 바, 이 버섯의 유전연구와 균주개발을 위해 기초적 연구인 원형질체 분리와 재생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원형질체 분리의 최적 조건으로는 여러 효소의 혼용보다 Novozym 234(10 mg/ml)를 단용하였을 때 더 우수하였고, 삼투압 안정제로 0.6 M $MgSO_4$에서 효과적이었으며, $24^{\circ}C$ 에서 5일 배양한 균사와 효소액을 4시간 반응 시켰을 때 수득율이 높았다. 완충용액과 pH는 Na-phosphate buffer(pH 4)에서 원형질체 분리가 양호 하였으며, 고체배지보다 액체배지에서 자란 균사를 완충용액과 pH를 조절하지 않은 상태에서 효소와 반응시켰을 때 $12.5{\times}10^6\;cell/ml$로 높았다. 원형질체 재생시 균사가 배지 전면에 확산되어 성장하여 성장억제제로 Triton X-100(0.0025%)을 사용하였다. 원형질체 분리시와는 대조적으로 0.6M sucrose와 mannitol에서 재생이 효율적이었고, 각각 8.32%와 5.94%의 재생 빈도를 나타내었다.

  • PDF

영지(靈芝)버섯 균사(菌絲)의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裸出) 및 재생(再生) (Some Factors Affecting the Protoplast Formation and Regeneration from the Mycelium of Ganoderma lucidum(Fr.) Karsten)

  • 신관철;여운형;유영복;박용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85-192
    • /
    • 1986
  • 영지(靈芝)버섯의 유전(遺傳) 및 신품종(新品種) 육성(育成)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裸出)에 미치는 몇가지 요인(要因) 구명(究明)하고 원형질체(原形質體)의 재생(再生)에 관한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영지(靈芝)버섯균(菌)의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裸出)에 적합(適合)한 배지(培地)는 균사생장(菌絲生長)이 빠르고 기생균사(氣生菌絲)의 발달(發達)이 양호(良好)한 SCM이었다. 2. 영지(靈芝)버섯균사(菌絲)의 세포벽(細胞壁) 분해효소(分解酵素)는 Novozym 234였고 최적농도(最適濃渡)는 $10mg{\cdot}ml^{-1}$이었으며 이때 원형질체(原形質體)의 나출수(裸出數)는 $10.47{\times}10^6ml^{-1}$이었다. 3.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裸出)을 위한 최적(最適) 삼투압조절제는 0.6 M Suaose였고 Kcl에서 나출(裸出)된 원형질체(原形質體)는 크기가 매우컸다. 4. 영지(靈芝)버섯균(菌)은 3일간(日間) 배양(培養)한 균사체(菌絲體)에서 원형질체(原形質體)의 형성(形成)이 최대(最大)였고 분해효소액과의 반응시간(反應時間)은 3시간(時間)이 가장 좋았다. 5. 나출(裸出)된 원형질체(原形質體)는 MCM, MMM 및 SCM 배지(培地)에서 0.2~0.27%의 재생율(再生率)을 보였다. 6. 원형질체(原形質體)에서 재생(再生)된 균주(菌株)의 13~29%는 Monokaryon 균주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