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graphical effect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한국어 규칙 동사와 불규칙 동사의 심성 어휘집 접근 과정 (The Lexical Access of Regular and Irregular Korean Verbs in the Mental Lexicon)

  • 박희진;구민모;남기춘
    • 인지과학
    • /
    • 제23권1호
    • /
    • pp.1-23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어 동사의 활용된 형태인 굴절 동사의 심성어휘집 접근 과정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차폐 점화 어휘 판단과제 실험을 실시하여 점화크기를 비교하였다. 한국어 규칙 동사와 불규칙 동사를 다섯 가지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활용의 종류는 1) 완전규칙 2) 발음변화규칙 3) 철자변화규칙 4) 어간변화 불규칙 5) 어미변화 불규칙으로 1), 2), 3)은 규칙 활용의 범주로 4), 5)는 불규칙활용의 범주이다. 기본형의 동사를 표적자극으로 사용하였고, 점화자극으로 총 세 가지 유형이 사용하였다. 점화자극으로 사용한 자극은 기본형의 어간의 변화가 없는 규칙활용, 기본형의 어간이 철자적, 음운적으로 변화하는 불규칙활용과, 의미 및 형태적으로 관련 없는 통제된 단어이다. 또한 단어재인의 처리에서 형태소 분해 정보처리의 시간대를 살펴보기 위하여 SOA의 간격을 43ms, 72ms, 230ms의 3가지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모든 동사가 모든 SOA에서 규칙활용과 불규칙활용이 통제단어에 비해 빠른 반응시간을 보임으로써 점화효과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규칙활용과 불규칙활용에서 뚜렷이 점화효과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는다. 이러한 규칙활용과 불규칙활용의 범주의 구분 없이 비슷한 패턴을 보여주는 결과는 한국어가 단순히 규칙과 불규칙의 기준으로 나뉘어서 처리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모든 SOA에서 촉진효과를 보임으로써 형태소 정보처리가 초기과정부터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 PDF

우리글 읽기에서 형태소정보의 미리보기 효과 (Morphological Parafoveal Preview Benefit Effects in Reading Korean)

  • 이상은;주혜리;고성룡
    • 인지과학
    • /
    • 제31권2호
    • /
    • pp.25-54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안구운동 추적 기법을 통해 우리글을 읽을 때 중심와(fovea)의 주변에서 형태소 정보가 추출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다수 영어권 연구에서는 경계선 기법(Rayner, 1975)을 사용하여 중심와주변(parafovea)에서 형태소 정보가 추출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Pollatsek, & Rayner, 2001; Rayner, Balota, & Pollatsek, 1986 등). 그러나 우리글인 한글은 영어와 같이 음소문자체계이면서 또한 모아쓰기를 하기를 때문에 한 자가 형태소가 될 수 있다. 또한 불규칙용언은 형태가 변하기 때문에 영어권의 결과와 다르게 글을 읽을 때 중심와주변에서 형태소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실험은 경계선 기법으로 불규칙용언을 써서 미리 보기 네 조건-동일조건(예: 구워), 형태소 조건(예: 굽다), 시각유사조건(예: 굼다), 무관조건(예: 죨어)-으로 제시했다. 실험 결과는 단일고정시간에서 형태소조건은 동일조건보다는 반응시간이 길었지만 시각유사조건과 무관조건에서는 이득효과가 있었다. 첫고정시간과 주시시간에서 형태소조건이 시간유사조건과 무관조건과 차이가 없었지만 무관조건보다 더 이득효과가 있었다. 이는 우리글 읽기에서는 중심와주변에서 형태소 정보가 추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honetic investigation of epenthetic vowels produced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 Shin, Dong-Jin;Iverson, Paul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6권4호
    • /
    • pp.17-26
    • /
    • 2014
  • The present study examined epenthetic vowels produced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in read sentences, in terms of acoustic measures and extra-phonological factors. The results demonstrated three main findings. First, epenthetic vowels had relatively high F1 values and a wide range of F2 values. Most of the epenthetic vowels were inserted near Korean high central vowels, but some vowels were inserted near front vowels due to co-articulation with surrounding vowels. Second, vowel epenthesis was affected by the contex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penthesis was frequently seen with word junctions between obstruents (e.g., stops-fricatives). Third, Korean learners were not affected by English background and were very weakly affected by orthography. English experience, which is one of the extra-phonological factors, was not related to epenthesis production. However, orthography, the other extra-phonological factor, very weakly affected the amount of epenthesis production. Nine percent of all epenthesis production was affected by the English past-tense suffix '-ed'; approximately 70% of the participants were affected by this suffix.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vowel epenthesis. First, the study revealed that the epenthetic vowels produced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were close to the high central vowel, supporting previous studies that the epenthetic vowel is quite close to the shortest vowel. Second, the study examined the various phonetic environments of epenthetic vowels, revealing that vowel epenthesi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a certain phonetic circum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