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namental plants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9초

Breeding of four-leaf white clover (Trifolium repens L.) through 60Co gamma-ray irradiation

  • Song, In-Ja;Kang, Hong-Gyu;Kang, Ji-Yeon;Kim, Hae-Deun;Bae, Tae-Woong;Kang, Si-Young;Lim, Pyung-Ok;Adachi, Taiji;Lee, Hyo-Yeon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3권3호
    • /
    • pp.191-197
    • /
    • 2009
  • Four-leaf white clover is not found easily in nature due to its low appearance rate (1 in 10,000). Because people believe that it brings good luck and like to either keep it or present it to a loved one, it has commercial and ornamental value. To breed four-leaf clover, we exposed its flowers to ${\gamma}-rays$ at the pollination stage. The $M_1$ seeds produced following doses at 25-100 Gy showed an approximately 74% germination rate, with seedling survival at 46%. In the $M_1$ generation of plants irradiated within that dose range, we found an increased frequency of four leaflets. One of them, Jeju Lucky-1 (JL-1), had a frequency of about 60%. To see whether that mutation was somaclonal or genetic, we observed its $M_2$ generation and found that such a phenotype reappeared. Although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irradiation of fully mature flowers led to a higher frequency of 4-leaflets, we could not clearly explain the genetic mechanism involved. We suggest that JL-1 is valuable as a new variety, without further genetic fixation, because white clover can be propagated vegetatively by stolons.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Iranian Allium species using the matK (cpDNA gene) region

  • Zarei, Hemadollah;Fakheri, Barat Ali;Naghavi, Mohammad Reza;Mahdinezhad, Nafiseh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15-25
    • /
    • 2020
  • Allium L. is one of the largest genera of the Amaryllidaceae family, with more than 920 species including many economically important species used as vegetables, spices, medicines, or ornamental plants. Currently, DNA barcoding tools are being successfully used for the molecular taxonomy of Allium. A total of 46 Allium species were collected from their native areas, and DNA was extracted using the IBRC DNA extraction kit. We used specific primers to PCR amplify matK. DNA sequences were edited and aligned for homology, and a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using the neighbor-joining method. The results show thymine (38.5%) was the most frequent and guanine (13.9%) the least frequent nucleotide. The matK regions of the populations were quite highly conserved, and the amount of C and CT was calculated at 0.162 and 0.26, respectively. Analysis of the nucleotide substitution showed C-T (26.22%) and A-G (8.08%) to have the highest and lowest percent, respectively. The natural selection process dN/dS was 1.16, and the naturality test results were -1.5 for Tajima's D and -1.19 for Fu's Fs. The NJ dendrogram generated three distinct clades: the first contained Allium austroiranicum and A. ampeloprasum; the second contained A. iranshahrii, A. bisotunense, and A. cf assadi; and the third contained A. rubellum and other species. In this study, we tested the utility of the matK region as a DNA barcode for discriminating Allium. species.

조선시대 식물문양의 현대화를 위한 패턴디자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ttern design for the modernization of the plant pattern in the Joseon dynasty)

  • 이명숙;조우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63-180
    • /
    • 2019
  • A pattern is a symbolic mark of the psychological expression and ornamental desire of the human interior. In particular, plant patterns,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express beauty across both the east and the west. The Joseon dynasty had a strong national will, and it was a time when the symbolism of Korea was established. Plant patterns were decorative and symbolic, filled with meaning in both the textile and craft sectors. This study looked at the frequency and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plant patterns in textiles, ceramics, woodworking, and metal craftsmanship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pattern designs were developed by extracting unit patterns to maintain the original shape, and by adding, magnifying, reducing, and superimposing flat steps and employing the four-fold sequence. The data collected was 826 examples in textiles and crafts, and 34 species of plants were analyzed as follows. In general, the flower patterns preferred soft flowers, flowers, apricot, and peony patterns, and fruit patterns emerged as decorative designs for pottery and woodwork from the 17th century, featuring pomegranates, grapes, fluorines, peaches, and walnut floss. Textiles and woodwork were arranged with many circular designs, while pottery and metal crafts were filled in many ways. Expressive types appeared to be the same as stylistic types for textiles and ceramics, and the construction types were the same in pottery and metal crafts. As such, it was found that even in the different areas of the sculpture, the same aesthetic values were reflected in the common figurative features today.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unique and competitive pattern design that accommodates the modern times and the Joseon dynasty. This development is expected to contribute not only to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tourism products in the future, but also to the tourism industry induced by the Korean wave.

플러그 트레이를 이용한 황금줄사철(Euonymus fortunei 'Emerald and Gold') 삽목 시 셀 크기 및 육묘기가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ell Size and Seedling Raising Stage on Growth of Cuttings form Euonymus fortunei 'Emerald and Gold' Seedlings in a Plug Tray)

  • 박재현;윤용한;주진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685-691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find a suitable size and a seedling raising stage for growing cuttings of Euonymus fortunei 'Emerald and Gold' using plug trays. The experimental method, involved cutting two nodes from a solitary branch of E. fortunei 'Emerald and Gold', and the use of 32 (143 mL/cell), 50 (70 mL/cell), 105 (18 mL/cell), 200 (13 mL/cell) plug trays. The cuttings were transplanted to trays after they were filled with a universal horticultural medium. To compare the growths, plant heights, the numbers of leaves, longest root lengths, thickness/radius ratios, dry weights, and fresh weights were measured from July to October, an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both the two-way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ukey's post-test.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size of the plug tray and the seedling raising st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growth of E. fortunei 'Emerald and Gold.' In addition, the overall growth was high and the change in growth was relatively rapid in districts 50 and 105.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appropriate to use 50 and 105 trays when growing cuttings of E. fortunei 'Emerald and Gold' on plug trays.

한국에 서식하는 애긴노린재(노린재목: 긴노린재과)의 미토콘드리아 전장 유전체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Nysius plebeius Distant, 1883 (Heteroptera: Lygaeidae) from Korea)

  • 신지영;라메스워 마하르잔;이휘종;정민규;김주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83-87
    • /
    • 2023
  • 애긴노린재는 긴노린재과에 속하며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의 다양한 곡물 및 관상용 식물의 주요 해충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애긴노린재의 17,367 bp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에서 13개의 protein-coding genes, 22개의 transfer RNA genes, 2개의 ribosomal RNA genes과 non-coding A+T rich region를 확인하였다. G+C content는 23%로 나타났고 다른 긴노린재과와의 염기서열 유사성이 N. cymoides (94.5%), N. fuscovittatus (91.7%)으로 높은 것을 발견하였다. 애긴노린재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정보는 향후 긴노린재과의 진화 연구와 해충 방제를 위한 정보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큰용담의 기내증식에서 multiple shoot의 유기 (Multiple Shoot Formation of Gentiana axillariflora Leveille by in Vitro Culture)

  • 임정대;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1-48
    • /
    • 2000
  • 큰용담을 대상으로 실시한 체세포배의 형성, 재분화 체계의 확립 및 multiple shoot의 형성 등의 대량증식에 관한 일련의 실험의 결과는 다음 몇 가지로 요약된다. 큰용담의 잎절편을 2, 4-D 2 mg/ l 에 배양한 경우 callus 형성율이 90%, embrogenic callus 형성율이 70% 로 높은 형성율을 나타내었으나 실제 형성되는 체세포배의 발생 숫자를 조사하였을 때 2,4-D 단독처리시 보다 2, 4-D 0.5 mg/ l 와 BAP 0.5 mg/ l이 조합처리 시 잎절편체 당 18.8 개의 높은 체세포배가 형성되었다. 큰용담의 줄기와 마디를 배양한 결과 캘러스의 형성은 단독처리시 $20{\sim}30%$의 캘러스 형성율을 보인 반면 고농도의 2,4-D에 TDZ를 조합처리 하여 줄기마디를 배양한 경우 50% 이상의 우수한 캘러스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분화식물체는 단독처리에서 MS medium 에 BAP 2 mg/ l 처리한 줄기마디 배양에서 7개의 재분화 식물체를 얻음으로 해서 가장 높은 shoot 분화율을 나타내었다. 큰용담에서는 TDZ, BAP를 조합처리한 결과 TDZ 1 mg/ l 와 BAP 1 mg/ l 조합처리하였을 경우 multiple shoot를 형성하였으며 explant 당 $70{\sim}80$개의 식물체가 분화되었다. 식물체의 각 치상조직을 배양한 결과 정아 마디 줄기 순으로 식물체 많이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잎조직에서는 새로운 신초는 유도되지 않았다. 배양기간에서 대한 차이는 배양한지 30일 경과한것 보다 60 일이 경과한것에서 거의 모든 조직에서 2배 이상의 신초형성을 보였다.

  • PDF

광조건이 마삭줄과 후추등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Nakai and Piper kadzura Ohwi)

  • 송은영;김성철;김천환;임찬규;문경환;손인창;문영일;전승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1-137
    • /
    • 2013
  • 본 연구는 자생 덩굴식물인 마삭줄과 후추등의 실내 광도차에 따른 생육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광도 처리 조합을 3처리구를 만들어 환경 조절 생육상에서 조사하였다. 사용된 광원은 형광등이고, 광 처리를 각각 100lux, 1,000lux, 2,500lux로 달리하여 5개월간 생육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자생 마삭줄은 저광도인 100lux에서 처리 2개월 이후 생존율이 약 16.7%로 식물체 대부분이 고사하였고, 1,000lux와 2,500lux에서는 처리 5개월까지도 생존율이 83.3%로 높게 유지되었다. 실내광도가 높아짐에 따라 초장, 엽수, 분지수, 엽장 및 엽폭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고광도인 2,500lux에서 가장 우세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자생 후추등은 저광도인 100lux에서는 처리 4개월 후 생존율이 50%로 생육이 불량하였으나 1,000lux와 2,500lux에서는 처리 5개월까지도 100%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1,000lux 조건에서 엽록소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고, 엽장과 엽폭이 약간 넓어지는 경향은 보였다. 상록성 덩굴식물인 자생 마삭줄과 후추등을 실내 광조건을 달리하여 처리한 결과 두 식물 모두 1,000lux 이상의 광조건에서 생육이 양호하였고 특히 후추등의 경우 마삭줄에 비해 1,000lux의 낮은 광도에서도 생육이 양호하고 잎이 넓어지고 엽색도 짙은 녹색으로 유지되어 실내식물로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광도가 지나치게 낮아질 경우 생육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내 음성이 높다고 할지라도 정상적인 생육을 위해서는 적당한 광조건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황색(黃色) 단풍(丹楓) 느티나무(Zelkova serrata Makino) 신품종(新品種) 육성(育成) (Development of New fall Cultivars with Yellow Fall Leaf Color in Zelkova serrata Makino)

  • 심경구;박형순;변광옥;하유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2호
    • /
    • pp.148-152
    • /
    • 1999
  • 본 연구는 단풍색이 황색인 느티나무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선발된 개체들의 생육특성 및 단풍시기, 엽내 안토시아닌 및 엽록소 함량 등의 생리적 특성을 구명하고 접목에 의한 단풍색의 접목후대 특성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황색 단풍이 드는 계통으로 선발된 'S-4'는 수령 28년생으로 수고 7m, 수관폭은 6m였으며, 엽내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다른 개체들에 비해 높고 단풍이 아름답고 단풍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14'와 'S-32' 역시 엽내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다른 개체들에 비해 높고 단풍이 황색으로 아름답고 단풍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선발된 개체들의 접목묘들 공히 모두 엽내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높고 단풍색이 황색으로 나타나 모본의 형질이 접목 후대에 유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선발된 개체들은 접목을 통해 번식시킨 후 조경용 소재로 보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효율적 조직배양체계 확립을 위한 카네이션 품종 선발 및 배양조건 설정 (Selection of Suitable Varieties of Carnation (Dianthus caryophyllus L.) and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Efficient Tissue Culture)

  • 강찬호;한범수;한수곤;권성환;송영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1-129
    • /
    • 2011
  • 분자육종의 발전에 따라 좀 더 유용한 형질전환 식물체를 더 많이 얻어내기 위한 많은 형질전환 기술들이 개발되어오고 있으나 새로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새로운 품종들이 실시간으로 새롭게 개발되고 있으며 개발된 품종에 적합한 새로운 형질전환 기술에 대한 개발 필요성 또한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카네이션(Dianthus caryophyllus L.)은 전 세계적인 주요 화훼작물 중 하나로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큰 작물이다. 따라서 기술개발의 파급효과가 큰 카네이션을 대상으로 조직배양 및 형질전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장에서 주요하게 거래되고 있는 주요 품종 18종을 수집하고 이 중 조직배양을 통한 신초 분화 능력이 우수한 4개 품종 Yellow dotcom, Jakarta, Belmonte, Polar tessino 등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4개 품종에 공통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생장조절제는 MS+Sucrose 3%+NAA 1.0 mg/L+TDZ 1.0 mg/L.이었으며 MS+Sucrose 3%+NAA 3.0 mg/L+BA 1.0 mg/L 처리는 Belmonte.에 적용 가능한 생장조절제 조합이었다. 캘러스 형성과 신초 분화에 가장 효율적인 기본 배지는 MS이었으며 탄소원으로는 Sucrose를 3%로, Phytagel 0.3%를 배지 경화제로 처리하는 것이 조직배양을 통한 재분화 식물체 획득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가장 효율적 조직배양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조직배양 부위는 줄기 부위 이었으며 이 부위를 배양재료로 사용할 경우 신초 생성율을 80.2%까지 올릴 수 있었고 배양소요 기간도 6일 정도 단축할 수 있었다.

생물적 방제 인자로서의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 하우스에서 계절에 따른 진딧물 방제효과 (Asian Ladybird, Harmonia axyridis,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Control Effects of Aphid Populations in the Greenhouses at Different Seasons)

  • 서미자;윤영남
    • 농업과학연구
    • /
    • 제28권1호
    • /
    • pp.18-26
    • /
    • 2001
  •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를 시설재배지내에 발생하는 진딧물류 방제에 적용하기 위해서 농가포장에서 무당벌레를 이용하여 진딧물 수종에 대한 방제효과를 관찰하였다. 겨울과 봄, 여름철에 무우테두리진딧물과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이 발생한 겨자, 신선초, 케일, 가지를 재배하고 있는 시설재배지에 무당벌레 성충과 유충을 방사하여 진딧물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무당벌레는 월동개체군을 채집하여 실내에서 유지 보관한 것과 이들 월동개체군으로부터 진딧물을 공급하여 증식시킨 성충과 유충을 사용하였다. 겨울철에 수막시설을 갖추고 있는 시설재배지에 발생하는 진딧물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다른 계절에 비해서 많은 양의 무당벌레의 성충과 유충을 투입하여 진딧물 개체군 밀도를 낮출 수 있었다. 봄철과 여름철에는 진딧물의 종류와 밀도에 따라서 무당벌레의 방사밀도를 달리하여 원하는 시기에 효과적으로 진딧물 개체군 수준을 낮출 수가 있었다. 무당벌레를 투입하는데는 시설재배지내의 온도와 습도 조건이 중요한 환경요인으로 작용하며, 진딧물 개체군의 증가율과 진딧물 초기밀도, 투입하는 무당벌레의 발육단계 등의 요인들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