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igin of the human mind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초

인간의 마음은 어디에서 어디로 변해가는가: 두뇌 인지 메커니즘을 통해 본 인간 마음의 처음과 끝 (How Does the Human Mind Change from Its First State? An Investigation of the First and the Last Human Mind through Cognitive Mechanism in the Brain)

  • 송광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753-766
    • /
    • 2013
  • 오늘날 인류의 문명은 빠른 속도로 발전해 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과 삶의 환경의 모습은 더 행복해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문명이 인간의 정신, 즉 마음의 산물이고 마음은 육체뿐만 아니라 사회 및 자연환경과 연결되어 서로 상호작용하며 변화되어 간다는 점에서 오늘날 인간의 마음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 논문은 불행한 현상들의 근원으로서의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기 위해 인간의 모든 다양한 마음이 생성되어 나오는 두뇌 인지 메커니즘을 통해 본연의 마음이 무엇이고 또 그것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 마음의 전체적 변화 패러다임과 그 원인을 밝혔다. 논문의 결과에 따르면 자유롭고 평온한 인간 본연의 처음 마음은 인지 근원지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내부 인지 공간의 진화에 따라 중간 마음을 거쳐, 극단적으로 내부 인지 공간 안에 갇힌 자폐상태가 되어 감각 기억에 극단적으로 강하게 구속되고(극단적 집착) 내적으로만 사고(극단적 번뇌)하는 끝 마음으로 변화할 수 있다. 오늘날 지나친 문명 발달을 포함한 인간, 사회, 자연환경의 부정적인 변화의 모습들은 모두 이런 마음의 변화과정의 산물로 해석된다. 이 논문은 본연의 처음 마음, 변화되고 있는 중간 마음, 극단적인 모습의 끝마음의 특징들을 기술하고 현재 개인들의 마음이 어디에 있으며 어디로 변화해가고 있는지를 논의하며, 마지막으로 두뇌 인지 메카니즘을 통해 인간의 본연의 첫 마음을 회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는 왜 생각하는 존재가 되었는가? (The Origin of Thinking Mind)

  • 박만준
    • 철학연구
    • /
    • 제131권
    • /
    • pp.131-163
    • /
    • 2014
  • '우리는 누구이며, 어디서 왔는가?' 우리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우리 자신을 이해하는 것, 이것이야말로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혁명일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아직 우리의 정체성을 묻는 이 물음에 명확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다. 물론 '사회적 동물' 혹은 '이성적 동물' 같은 전형적인 정의들이 있지만 이들 역시 매우 허약한 규정들이다. 우리가 왜 사회적 동물이 되고 이성적 동물이 되었는지에 대한 해명조차 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글의 목적은 이 물음의 해답을 찾아가는 단서를 발견하여 우리의 정체성을 좀 더 명확히 하는데 있다. 실마리는 진화론적으로 우리와 가장 가까운 혈족으로 불리는 침팬지에게서 출발한다. 우리와 침팬지는 무엇이 다른가? 침팬지에게도 '자아'가 있을까? 이런 물음들을 통해 우리가 찾아낸 답은 이렇다. 즉 인간이 침팬지와 다른 존재가 된 것은 뇌의 발달과 함께 정밀하게 움직이는 운동 시스템을 갖게 되었고, 나아가 이러한 운동 시스템이 내면화되어 마음을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음의 생각하는 능력도 바로 이러한 내면화 메커니즘이 진화 발전한 것이다.

대순사상의 인심도심론(人心道心論) 연구 (A Study on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Theory in Daesoon Thought)

  • 박병만
    • 대순사상논총
    • /
    • 제47집
    • /
    • pp.139-172
    • /
    • 2023
  • 이 논문은 대순사상에서 인심·도심 개념과 그 가치론적 해석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인심·도심 개념은 송대에 들어서 정이천·소식·주자 등에 의해 인간 보편의 마음으로 이해되며 수양의 문제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인심·도심에 대한 논의는 주자에 이르러 이론적으로 체계화되며 이후 다양한 논설이 전개되었다. 인심도심론은 가치론적 해석의 문제가 중요한 논제 가운데 하나였는데,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양상을 보였다. 인심·도심을 각각 악과 선(정이천과 주자초설), 가치중립과 선(주자와 퇴계·율곡), 예비 악과 예비 선(다산)이 그것이다. 인심·도심은 인간 보편의 문제로 볼 수 있으므로 유학 전통의 이러한 유형들에 대한 검토는 대순사상의 인심·도심에 대한 이해에도 이론적 기반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순사상에서는 인심·도심을 각각 사와 공이라고 규정할 뿐 개념에 대한 설명은 없다. 대순진리회가 지향하는 이념과 가치를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추론해 보면, 인심은 의식색(衣食色) 등 인간의 생명 활동과 종족 보존을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라고 할 수 있다. 도심은 도덕 실천과 더불어 보국안민·광제창생·인류화평 등과 같은 이념을 실현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볼 수 있었다. 한편, 인심·도심과 가치론적으로 연관된 양심·사심에 대해서는 이를 각각 선과 악으로 규정하고 그 개념과 발생 근원 등을 논술하며 비교적 체계적인 면모를 보였다. 양심·사심에 대한 논설이 인심·도심보다 체계화된 것은 양심·사심의 문제가 교리적으로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동무(東武) 이제마(李濟馬)의 태극심(太極心)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about Great Absolute-Mind from Lee Je-Ma's Thoughts)

  • 강태곤;박성식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0
    • /
    • 2006
  • 1. Objectives The purpose of study is to find Lee Je-Ma's thoughts about Great Absolute-Mind in his writings. 2. Methods the concept of Lee Je-Ma's Great Absolute-Mind versus preexisted Great Absolute-Mind is compared and analysed in this study. 3. Results and Conclusions (1) Lee Je-Ma composed his Great Absolute-Mind based on its concept of the science of divination, Confucianism and medicine. However his Great Absolute-Mind is rooted in preexisted meaning, it was disputed desides the controversy between the science of divination, Confucianism and medicine. For this reason, Lee Je-Ma's Great Absolute-Mind is such an originative concept unable to be explained with a simple substitution this concept for the preexisted one of the science of divination, Confucianism and medicine. (2) Lee Je-Ma's Great Absolute-Mind is the human being itself and it can include the humanity from human being itself. (3) There are not only physical meaning of heart but also abstract metaphysical concept of heart included in Lee Je-Ma's Great Absolute-Mind. (4) The talent for comprehending principles is organically connected with the ability to attain their will. And the talent and ability is devided into Two Modes(兩儀) like Mind & Body(心身), Perception & Action(知行) and Nature & Emotion(性情). (5) The supervision of Lee Je-Ma’s Great Absolute-Mind affects physical part of body as well as spiritual part and is not devided into two but one. (6) The source of the supervision is rooted on Lungs Spleen liver Kidney(肺脾肝腎), Sasang(四象), even though it exists in the Great Absolute-Mind. So Sasang(四象), which is Lungs Spleen Liver Kidney(肺脾肝腎), is organically related to the Great Absolute-Mind in its effect and origin.

  • PDF

유학에서 나타나는 심성구조 및 특성 (A specific character and structure of human nature in Confucian)

  • 박영목
    • 감성과학
    • /
    • 제8권3호
    • /
    • pp.241-251
    • /
    • 2005
  • 유학은 인간의 심성(心性)에 대한 탐구를 2,000여 년에 거쳐 해온 학문분야이다. 따라서 유학에서의 인간의 심성에 대한 관점과 연구방법은 현대의 감성과학에 적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유학에서의 인간심성을 유학의 전반적 개념과 퇴계 이황의 개념으로 고찰하여본 결과 현대의 감성과 유사한 정(情)이라는 개념이 있었으며, 본 마음(性)의 발로의 결과인 정의 좋음과 나쁨의 관점은 정이 발현되는 과정에서 좋은 정과 나쁜 정으로 구분된다고 하여 정의 형식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본성이 왜곡됨 없이 발현된 정이 좋은 정, 즉 감성이라 하고 있어 현대의 감성의 호악과는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심성을 파악하는 구조는 심성작용이 일어나는 형식구조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심성의 내용과 작용주체를 파악하기 위한 관점으로 파악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재의 인지, 감성, 생리, 철학 등의 관점이 총체적 ·종합적인 관점으로 인간의 심성을 바라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종합결론으로서는 유학에서도 인간의 심성을 탐구하기 위한 연구가 매우 오랜 기간 수준 높게 진행되었으며, 현재 감성과학에 부분적인 참고와 도움뿐만이 아니라 감성과학의 지향점을 찾는 데 중요한 관점과 지식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알 수 있었다.

  • PDF

주자학으로 본 대순사상의 마음에 관한 연구 - 허령, 지각, 신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eart-Mind of Daesoon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Neo-Confucianism: Focused on Numinous Emptiness, Wise-awakening, and Divine Beings)

  • 최치봉
    • 대순사상논총
    • /
    • 제31집
    • /
    • pp.237-269
    • /
    • 2018
  • 본 논문은 주자학의 관점으로 대순사상의 마음을 살펴본 것이다. 『현무경』의 허령·지각·신명은 주자학에서 마음의 특질로 언급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체로서의 허령, 작용으로서의 지각, 주체로서의 신명으로 나누어 마음의 체용과 주재에 대해 논하였다. 허령은 태극의리(太極之理)가 개인에게 품부된 것으로, 이는 하늘에 있어서는 명령이고, 사람에 있어 본성이며, 마음에 있어 본체로서 허령불매하다. 이 마음의 허령은 곧 심령이라고도 한다. 지각은 마음의 작용으로, 지각되는 것은 허령(理)과 사물(氣)이다. 허령인 태극지리를 지각하는 마음은 양심으로 천성인 도심을 말하며, 사물과 접하여 생기는 마음은 사심인 인심을 말한다. 이렇게 지각하는 방향성에 의해 마음의 상태가 결정되는데, 경(敬)을 통해 천리를 지각하고 마음을 안심의 상태에 이를 것을 언급하고 있다. 신명은 형이상의 본체와 형이하의 사물에 각각 대응하여 그것을 총합하고 인지하고 반응하는 사람의 주체로 지각을 주재한다. 마음은 신이 드나드는 길이라고 할 때, 사람의 마음은 정신혼백이 외부사물과 접촉하여 반응하는 신체적인 감각과 내부의 정신적 사려와 지각활동이 총합되는 내재신의 용사기관을 말한다. 또한 마음에는 외재신이 감응하여 출입하기도 하며, 이로 인한 체질이나 성격의 변화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 글에서 대순사상의 마음에 관하여 강조하고자 한 것은 첫째, 기존의 유심론적 관점을 탈피하여 주자학의 허령·지각·신명으로 조망할 것을 언급하였다. 둘째, 천지에서 품부 받은 허령을 체로하고 지각을 용으로 보아 마음의 체용을 밝히고자 하였다. 셋째, 정기신과 혼백에 대한 내재신의 개념을 언급하고, 주체로서 신명의 주재함을 언급하였다.

<명선록(明善錄)>의 반주자학적 논거의 이제마(李濟馬)의 사상인장이론(四象人臟理論)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sang Constitutional Theory and Anti-Neo-Confucianism in Myung-Suen Lock)

  • 이항재;최승훈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289-306
    • /
    • 1996
  • This study are performed to reveal the origin of the Sasang constitutional theory made by Lee-jae-ma(李濟馬), confucianist as well as famous oriental doctor, who succeeded to Han- suck-jie(韓錫地)'s Anti-Neo-Confucianism. Han wrote a book na mod Myung-Suen-Lock(明善錄) which criticized Neo-Confucianism formed at times of Song dynasty in China and proposed a new doctrine i.e Anti-Neo-Confucianism. He asserted that The Sacred and Ordinary Men are all the same in nature, and that The Acatul Mind of Universe and The Actual Mind of Human also are all the same ultimately These two assertions cleary contrasted with pre-existing Neo-confucianism led Lee-jae-ma to successively organize Sasang constitutional theoy. This study is aimed to illuminate this point : How under the effects of Han's new doctrine Lee-jae-ma could find four general constitutions due to the functional variation of the four organs. At first, Lee indicated four organs as the very general basement providing human nature for all men including The Sacred. In consequence, he justified one of the Han's assertions that The Sacred and Ordinary Men are all the same in nature. Secondly, Lee indicated the Mind as the actual center which bring forth the individual spontaneity. As far as this individual spontaneity is rightly aimed, which means harmonize his own's with the actual process of the Universe, all men could be The Sacred. So he come to justify the other of Han's assertions that The Actual Mind of Universe and The Actual Mind of Human also are all the same ultimately. Therefore, it is clearly verified that the Lee-jae-ma's Sasang doctrine is the successive achievement origined from Han-suck-jie(韓錫地)'s Anti-Neo-Confucianism abundantly represented in his own book, Myung-Suen-Lock.

  • PDF

기신론(起信論)의 마음에 대한 정신과학적(精神科學的) 고찰(考察) (The Psychiatric Consideration on the Mind in the Treatise of Awakening Mahay$\bar{a}$n$\bar{a}$ Faith)

  • 김진성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255-269
    • /
    • 1999
  • 본(本) 연구(硏究)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대승기신론설(大乘起信論越) 대승기신론별기(大乘起信論別記) 등의 문헌고찰(文獻敵察)을 한 후, 그 결과를 통하여 궁극적(窮極的) 인간심성(人間心性)의 존재여부(存在與否), 정신병리현상(精神病理現象)의 발생(發生)과 소멸(消滅), 정신구조이론(精神構造理論) 등의 측면(側面)에 대해 정신과학적(精神科學的) 해석(解釋)을 시도하였다. 그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인간의 마음 속에는 긍정적(肯定的)인 의미(意味)의 근원적(根源的)인 심성(心性)이 진여(眞如) 또는 아여야식(阿黎耶識)이라는 이름의 상태로 존재한다. 2. 생멸(生滅)하는 인간의 현상적(現象的)인 마음은 아여야식(阿黎耶識)으로 설명할 수 있다. 아여야식(阿黎耶識)의 마음에는 불생불멸(不生不滅)의 진여목체(眞如木體)와 생멸(生滅)의 현상(現相)이 비일비이(非一非異)의 관계로 존재하고 있다. 3. 아여야식(阿黎耶識)에는 각(覺)과 불각(不覺)이 있고 각(覺)에는 본각(本覺)과 시각(始覺)의 뜻이 있다. 인격발달과정(人格發達過程)에 따라 시각(始覺)은 다시 불각(不覺), 상사각(相似覺), 수분각(隨分覺), 구경각(究竟覺)의 사단계(四段階)가 있다. 이는 정신병리현상(精神病理現象)의 소멸과정(消滅過程)이라 볼 수 있다. 불각(不覺)은 무명(無明)인 근본불각(根本不覺)과 기말불성(技末不聲)으로 되어있다. 교말불각(校末不覺)에는 삼세육추가 있고 삼세(三細)에는 무명업상(無明業相), 능견상(能見相), 경계상(境界相)이 있으며 육추에는 지상(智相), 상속상(相續相), 집취상(執取想), 계명자상(計名字相), 기업상(起業相), 업계고상(業繫苦相)이 있다. 삼세(三細)와 육추를 정신병리현상(精神病理現象)의 발생과정(發生過程)이라고 볼 수 있다. 4. 마음의 구조이론(構造理論)에서 의(意)는 업식(業識), 전식(轉識), 현식(現識), 지식(智識), 상속식(相續識)으로 나눌 수 있다. 업식(業識), 전식(轉識), 현식(現識)은 아여야식(阿黎耶識)에, 지식(智識)은 제칠식(第七識)에, 상속식(相續識)은 의식(意識)에 해당한다. 5. 양심(梁心)은 집(執) 상응염(相應染), 불단(不斷) 상응염(相應染), 분별지(分別智) 상응염(相應染), 현색(現色) 상응염(相應染), 능견심(能見心) 상응염(相應染), 근본업(根本業) 상응염(相應染)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서양(西洋)의 정신치료(情神治療)에서 주로 다루는 단계(段階)는 첫 단계인 집 상응염(相應染)에 해당한다. 6. 훈습(熏習)에는 양법훈습(梁法熏習), 정법훈습(淨法熏習)이 있다. 양법훈습(梁法熏習)에는 무명훈습(無明熏習), 망염훈습(妄念熏習), 망경계훈습(妄境界熏習) 등이 있고, 정법훈습(淨法熏習)에는 망심훈습(妄心熏習), 진여훈습(眞如熏習)이 있다. 양법훈습(梁法黑習)은 정신병리현상(情神病理現象)의 발생과정(發生過程)을 설명해 주며, 정법훈습(淨法熏習)은 정신병리현상(情神病理現象)의 소멸과정(消滅過程)을 설명한다.

  • PDF

동무(東武) 이제마(李濟馬)의 의학사상(醫學思想)에 대한 연구(硏究) (Research on Tongmu I Je-ma's medical idea)

  • 백상용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7-145
    • /
    • 2000
  • Tongmu I Je-ma(1837-1900) set up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四象體質醫學), a medical theory that would be original in the Korean medical history through his book ${\ll}$Ta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gg}$. In this book, he writes that he found the clue to his sasang Constitution(四象體質) theory from ${\ll}$Hwangjenaegyong(黃帝內經)${\gg}$. But the main logic that gives shape to the Constitution(體質) theory is $s{\check{o}}ng-ch{\check{o}}ng$ theory(性情論) of Confucian. Therefore, Tongmu(東武)'s Constitution $s{\check{o}}ng-ch{\check{o}}ng$ theory(體質性情論) is fundamentally based on confucian thoughts. Kongmaeng(孔孟) saw $s{\check{o}}ng$(性) as a base for connecting the entire mankind to be united, and $ch{\check{o}}ng$(情) as a individual thing that can exalted differently according to one's state of mind. Chuja(朱子) weakene the human's active volition by dividing $s{\check{o}}ng$ and $ch{\check{o}}ng$ as ibal(理發) and kibal(氣發) and therefore describing mankind to be submitted to Heaven's will. On the other hand Yolgok(栗谷) generalized $s{\check{o}}ng-ch{\check{o}}ng$ in the active mind of man himself by saying that $s{\check{o}}ng$ is when i-ki(理氣) does not act as a bodily function of the mind and $ch{\check{o}}ng$ is when it does. Furthennore he emphasized man's activeness on pursuing good by saying that the division of good and bad does not start from the origin of motion but is divided by the condition of ki(氣) which leads motion. Tongmu, who was influenced by Yulgok linked both $s{\check{o}}ng$and $ch{\check{o}}ng$ through, happiness, anger, sadness, pleasure(喜怒哀樂), and saw $s{\check{o}}ng$ as the ability to recognize good which is in the kijil(氣質) formed from the integration of i-ki, and saw $ch{\check{o}}ng$ as $s{\check{o}}ng$ blurred by man's greed. In addition to this, he says that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each person's divergence in $s{\check{o}}ng-ch{\check{o}}ng$ and the condition of Four-organ(四臟) which is ki, not the mind which is i(理) forms sasangch'ejirin(四象體質人). His theory that illness comes from the partiality of $s{\check{o}}ng-ch{\check{o}}ng$ and therefore can prevent this by clarifying the mind and adjusting $s{\check{o}}ng-ch{\check{o}}ng$ through volition, has led Korean oriental medicine to be human based.

  • PDF

사칠논쟁(四七論爭)의 연원과 문제의식 - 『입학도설(入學圖說)』과 「천명도설(天命圖說)」을 중심으로 - (On the Problems of Iphakdosoel and Chunmyongdosoel, a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e Four-Seven Debate)

  • 장숙필
    • 동양고전연구
    • /
    • 제32호
    • /
    • pp.129-158
    • /
    • 2008
  • 본고는 "입학도설"과 "천명도설"의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사칠논쟁의 연원을 밝힘으로써 조선유학이 오늘의 우리에게 갖는 의미를 재확인하려는 것이다. 사칠논쟁은 조선 성리학의 대표적인 이론논쟁으로, 이로부터 파생되는 인심도심논쟁, 인물성동이논쟁, 미발심체논쟁 등 심성설 중심의 이론탐구는 조선유학의 중요한 특징을 이루는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접근은 대체로 이러한 이론논쟁을 현실을 도외시한 조선성리학의 공리공론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치부하거나, 아니면 현실을 도외시한 이론논쟁이긴 하지만 한국인이 지닌 철학적인 사고능력을 보여주는 철학논쟁으로 평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양촌의 "입학도설"에서부터 나타나는 성리학에 대한 기본이해는 성리학이란 수기치인지학으로서 결코 현실과 유리될 수 없는 것이며, 이상사회는 통치계층의 도덕성실현위에 모든 사람들의 도덕성이 실현됨으로써 완성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인간의 도덕성의 근거를 밝히고, 수양의 목표를 제시하며, 선악의 유래를 명확히 함으로써 현실적인 악을 극복하고 선을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 핵심이 된다. 이런 문제의식은 추만의 "천명도설"에서도 그대로 계승된다. 추만의 "천명도설"은 우리의 도덕성은 천명으로서 주어져 있으며 이를 근거로 천인합일이라는 이상에 도달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히려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본격적인 심성논쟁이 의리실천을 학문의 핵심으로 생각하는 도학의 전통이 세워진 이후 도학자임을 자부하던 학자들 사이에서 계속되었다는 것은 이것이 결코 현실과 유리된 공리공론이 아니었음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즉, 조선유학이 가진 인간의 도덕성에 대한 신뢰와 도덕성의 실현을 통해 인간사회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는 인간에 대한 가치론적 이해는 오늘의 우리에게도 큰 철학적인 의미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