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food movement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5초

사회적 농업, 농업과 농촌의 탈영토화 - 홍성군 장곡면 사례 - (Social Farming as a Praxis to Deterritorialize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ies: Case of Janggok-myeon, Hongseong-gun)

  • 김정섭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5권3호
    • /
    • pp.121-133
    • /
    • 2018
  • In South Korea, a few kinds of social farming practice are identified: care farming, labour integration, and training in farming sector. Although social farming is not a prevailing activity in rural communities, it attracts much attention from a range of actors in society. In Hongseong-gun, from a few years ago, two farms began to care and employ the mentally disabled and to train young new comers who want to grow crops in the way of organic farming. Both of them are cooperatives, which were established by the residents want to participate in. These movement has made some changes in the community. And now, it became the well-known cases of social farming as well as multi-functional agriculture. Social farming can be described as a praxis to deterritorialize the units of agricultural production and the rural community, where food empires imposed their ordering principle upon units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 order to appropriate the value added by farming.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 (TEMMINCK et SCHLEGEL)의 먹이 조사 (A STUDY ON THE FOOD OF THE GOBY, SYNECHOGOBIUS HASTA)

  • 백의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7-62
    • /
    • 1969
  •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TEMMINCK et SCHLEGEL)의 식성 조사와 먹이생물 상호간의 생물학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낙동강 유역의 선암, 가락, 성산, 하단의 4개 지점에서 총 1,295개체의 풀망둑을 월별로 채집하였다. 위 내용물은 3가지 방법에 의해 구분하였으며, 이 방법은 수정된 Nilsson의 방법(Dahl 1962)을 다시 약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Table 2). 1) 위 내용물의 각 먹이종목별 수를 계산하여 한 계절동안 전체 풀망둑이 먹은 먹이생물의 총 개체수에 대해 Percentage를 낸 것을 Table 2에 "N"(Numerical)로 표시하였다. 2) 한 계절동안 채집한 풀망둑 수에 대한 각 먹이종목(Food Item)이 발생하는 풀망둑 수의 출혈빈도수를 Table 2에 "O"(Frequncy of Occurrence)로 표시하였다. 3) Predominant한 먹이종목을 선택하여 그것의 총 개체수에 대한 각 Predominant한 먹이수의 Percentage를 "D" (Dominance)로 표시하였다. 먹이생물은 50개의 먹이종목으로 되고 이것을 13가지의 Main Group로 나누고 (Fig. 2-1), 이것을 다시 먹이 생물을 제공하는 Habitat내의 Animal Community의 조건에 따라 Obligatory Bottom Animal, Organic Drift 와 Actively Swimming Form로 나누었다. 풀망둑의 식성은 Table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먹이생물의 평균 $94.6\%$가 Obligatory Bottom Animal인 것으로 보아 풀망둑은 전형적인 Bottom Feeder였다. 그리고, 이들의 먹이생물은 일반적으로 이들이 살고 있는 Habitat 내의 Benthic Fauna의 Local Composition에 의해 Dominant Food Organism이 결정되고, 계절별로 먹이생물들 사이에 생물학적 상호 작용으로 인한 Seaeonal Rhythm을 나타내고 있었다. 선암 지역과 가락 지역은 동일한 먹이생물들 사이에 Habitat의 종적 구분에 의해 그 Population의 천이가 반대 현상으로 나타나는 Locality Variation을 보이며, 성산, 하단 지역은 먹이생물의 계절적 변화와 하구성 생물상이 동일한 점으로, 동일한 조건의 Habitat로 생각된다. 이상의 것을 간추려 보면, 1) 풀망둑은 주로 저생동물을 먹이로 하며, 그 먹이생물은 Habitat 내의 Food Composition에 의해 결정된다. 2) 먹이생물의 계절적 변화는 Population내의 생물학적인 변화의 상호 작용에 의해 Seasonal Rhythm을 나타낸다. 3) 풀망둑의 식성은 비편식성이고 먹이생물의 종류 변화가 많다. 4)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Polychaeta, Palaemon modestus, Isopoda, Gammaridea, Insecta (nymphs and larvae), Ilyoplax deschampsi, Paratye compressa로 나타난다. 5) 성산, 가락, 선암의 Community내에서 먹이생물은 종적천이 (Longitudinal Succession) 현상이 나타난다 6) 풀망둑은 수은이 상승($20^{\circ}C$이상)하는 4월경부터 하구로 이동하고, 9월부터 상류로 이동하는 Seasonal Movement를 하는 어류이다.

  • PDF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태국, 베트남 벼 포장에서 멸구류 3종의 발생 양상 (Occurrence Patterns of Three Planthopper Species in Rice Fields in Bangladesh, Cambodia, Thailand and Vietnam)

  • 박부용;이상구;박홍현;전성욱;정인홍;박세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89-500
    • /
    • 2018
  • AFACI 회원국 4개국의 수도작 포장의 멸구류 발생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서 황색 점착트랩을 이용하여 타락법으로 멸구류 발생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전반적으로 모든 조사 지점에서 벼멸구의 발생량이 많았으며 상대적으로 흰등멸구의 발생량은 적은 편이었다. 애멸구의 발생은 없었다. 분얼기부터 호숙기까지 벼 멸구류의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한국의 경우와 다르게 1~2회의 발생 최성기(Peak)가 나타나지 않았다 벼멸구의 경우 모든 조사 지점에서 발생하였으며 스리랑카의 Svay Reang에서 조사기간 동안 평균 1,673마리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방글라데시의 Dobila, Hamkuria, 남베트남의 Cho Gao가 각각 1,236마리, 818마리, 666마리 순이었다. 흰등멸구의 경우 조사지점 간 편차가 크게 나타났는데 방글라데시의 Dobila에서는 조사기간 동안 평균 1,163마리가 발생하였으나 남베트남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Demand Survey for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Therapy for Atopic Dermatitis

  • Son, Chang-Gue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4-40
    • /
    • 2014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emand for natural environment therapy among parents of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Methods: The questionnaire-based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arents of 310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158 male and 152 female, median age 8 years, ranging from 2 to 21 yea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0 questions including demographic information, preference of environmental therapy and related choices. Results: Regardless of illness severity or gender, parents agreed with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therapy in treatment for atopic dermatitis. 55.2% of parents had considered moving to the countryside for their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74.5% of parents answered positively to the possibility of movement to an atopy-free village, and this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rents of patients with severe symptoms (p < 0.05). Educational facilities and eco-environment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ir decision. In addition, parents opted for organic food cooperatives, which was also felt necessary for their children suffering from atopic dermatitis. Conclusions: This study is the first report suggesting the extent of demand for environmental therapies among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This information will be helpful in developing therapeutics using the natural environment in Korean medicine.

Nutritional Effec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Kefir (Grains)

  • Shen, Ying;Kim, Dong-Hyeon;Chon, Jung-Whan;Kim, Hyunsook;Song, Kwang-Young;Seo, Kun-Ho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1-13
    • /
    • 2018
  • Kefir exhibits antimicrobial activity in vitro against gram-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as well as some fungi. The ability of LAB to inhibit the growth of closely related bacteria is well known. This inhibition of pathogenic and spoilage microbes may be due to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s, hydrogen peroxide, acetaldehyde, diacetyl, carbon dioxide, or bacteriocins. Lactobacilli are the major contributors to acid production and, hence, a determining factor in the flavor development in kefir. Lactic acid, proteolytic activity, and acetaldehyde are the essential flavor compounds in kefir. Both acid and bacteriocins contribute to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kefir and kefir grains. Kefir is rich in proteins, calcium, vitamin $B_{12}$, niacin, and folic acid.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benefits of consuming kefir and have shown that it is a natural probiotic, which when consumed regularly, can help relieve intestinal disorders, promote bowel movement, reduce flatulence, and improve the overall health of the digestive system. Tibetan kefir, which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kefir, is produced in China. It has been reported to exhibit antimicrobial activity that is nearly identical to that of traditional kefir. Kefir production is considered a rapidly growing food industry in China.

음식물류폐기물 간접건조과정에서의 순환 및 낙하이동에 따른 건조효율 평가 (Analysis of Drying Efficiency for Circulating and Falling Movements on Indirected Drying Process of Food Waste)

  • 김병태
    • 유기물자원화
    • /
    • 제20권4호
    • /
    • pp.106-117
    • /
    • 2012
  • 건조과정에서 시료의 순환과 낙하이동에 따른 건조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음식물류폐기물 8,000kg을 간접건조방식의 건조기에 투입하고 회전스크류 가동시와 미가동시에 대하여 수분함량, 건조율, 평균입자크기 및 입도분포, 증발수분량 및 건조효율을 비교하였다. 음식물류폐기물의 초기 수분함량은 77.1%로서, 회전스크류 가동시에는 가동 후 5시간 만에 수분함량이 14.4%로 낮아진 반면에 미가동시에는 16시간을 가동시켜도 수분함량 35.6%에 머물고 있어 시료의 순환과 낙하이동이 건조효과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건조시작 후 점성구간 도달 이전에는 입자크기가 증가하면서 수분증발률은 최대치를 보인다. 점성구간에서는 입자크기가 최대치를 나타내나 수분증발률은 급감하기 시작하며, 점성구간 이후에는 입자크기와 수분증발률이 동시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유수 증발량과 각 구간에서의 점성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평균 입자크기는 가동 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점성구간인 수분함량 70%-60% 범위에서 최대치를 보인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평균 입자크기의 변화정도는 회전스크류 가동방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회전스크류 가동시 입도분포는 25.0mm에서 0.25mm까지 폭넓게 분포하는 반면에 미가동시에는 25.0mm에서 3.56mm까지 의 좁은 입도분포와 25.0mm이상의 입자크기에 집중되고 있다. 회전스크류 가동으로 건조효율에 미치는 효과를 회전스크류 미가동시와 비교하면 시간당 증발수분량은 364%, DS(Dry Solid)당 증발수분량은 356%나 증가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중학교 과학 소화순환호흡배설 단원 수업 후 학생들의 시스템적 사고와 교사의 반성적 사고 분석 (An Analysis of Students' Systemic Thinking and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fter the Lesson of Digestion, Circulation, Respiration and Excretion of Middle School Science)

  • 김동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401-420
    • /
    • 2014
  • This study aims to analyze middle school students' systemic thinking to express organic relations between different organ systems about the movement of food and air and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bout science teaching through their reflective journals after the lesson of digestion, circulation, respiration and excretion. Firstly, when investigating the moving route of hamburger eaten inside the body, students expressed the names, locations and forms of organs in the digestive system more than those in the circulatory system or the excretory system. When investigating the moving route of a painkiller taken inside the body, students seemed to have more difficulty in expressing the related organ systems than when investigating the moving route of other things, and they mostly drew pictures of organs in the digestive system as done for the moving route of hamburger. However, when investigating the moving route of water drunk inside the body, students mostly described organs in the digestive system but drew more pictures of organs in the excretory system, than when investigating the moving route of other things. When investigating the moving route of air inhaled inside the body, students mostly drew pictures of organs in the respiratory system, but the rate of their drawing pictures of circulatory organs was low.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one of the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named Mr. Park. According to his journal, students showed different levels of understanding of organ names, depending on their degrees of familiarity with each organ, and in regard to the locations of organs, science teachers mostly aim to achieve learning objectives so much that they often forget to instruct the locations of organs in fact. As for the forms of organs, science teachers mostly spend so much time explaining the functions of organs that they often forget to describe the exact form of each organ.

과학자의 탐구 과정을 재구성한 광합성 실험 모듈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hotosynthesis Experimental Module Based on Scientist's Inquiry Processes)

  • 김호기;김연주;김성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2호
    • /
    • pp.204-220
    • /
    • 2011
  • 이 연구는 초기 광합성 연구자의 탐구 과정을 재구성하여 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과 광합성 관련 개념의 향상을 위한 실험 모듈을 개발한 후, 이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고 광합성과 관련된 학생들의 선행 개념 유형과 개념 변화의 패턴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로는 Rapid-cycling Brassica rapa 라는 속성식물을 사용하였다. 개발된 모듈을 적용한 실험반의 수업은 교과서에 제시된 실험을 적용한 통제반의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과학탐구능력의 하위 요소 중에서 측정, 예상, 가설 설정 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실험반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관찰, 예상, 일반화 능력의 향상에 더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모듈은 광합성 관련 개념 성취 및 생태계내에서의 식물의 역할, 식물의 먹이, 식물체 내에서 물과 양분의 이동과 관련된 개념 발달에 효과가 있었다. 학생들은 선행 개념으로 이산화탄소나 산소와 같이 눈에 보이지 않는 물질의 존재나 역할 또는 에너지의 축적과 같은 추상적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연구에서 개발된 모듈을 적용한 결과 유기물과 산소 생산자인 식물의 역할에 대한 포괄적인 개념 발달에 효과가 있었으며, 과학탐구능력과 광합성 관련 개념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 PDF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를 이용한 붉은팥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 및 이화학성분 분석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fermented Vigna angularis using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

  • 정경옥;오근수;문광현;김대근;임소연;이은지;김나리;김욱;김해진;이정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75-982
    • /
    • 2017
  • 장 건강에 유익한 프리바이오틱스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배변을 촉진하는 효능을 지닌 붉은팥을 식품 발효에 이용되는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로 발효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붉은팥의 일반성분은 회분 $3.35{\pm}0.04%$, 조단백질 $21.1{\pm}0.19%$, 조지방 $0.35{\pm}0.02%$ 함유되었다. 붉은팥 원물 1%, 3%, 5%와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 3% (v/v)를 접종하여 0, 24, 48, 7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의 총균수를 측정한 결과 붉은팥 원물을 3% 첨가한 후 72시간 배양군에서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 발효가 가장 적합하였다. 발효 시간에 증가함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증가하였다. Protease 활성은 붉은팥 원물 5% 첨가한 후 72시간 배양한 군($2.69{\pm}0.0 3unit/mL$)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다. 발효시간과 붉은팥 원물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alpha}$-amylase 활성도 증가하였으며, 붉은팥 원물 5% 첨가한 후 72시간 배양한 군에서 0시간 배양군($1.0{\pm}0.1unit/mL$) 보다 $26.0{\pm}0.2unit/mL$로 증가하였다.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로 72시간 배양한 후 유리아미노산을 측정한 결과 leucine은 붉은팥 원물 5% 첨가한 0시간 배양군 5.22 mg/L에서 67.59 mg/L로 증가하였으며, 비필수아미노산인 tyrosine은 5% 첨가 0시간 배양군 10.08 mg/L에서 259.35 mg/L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로 붉은팥을 발효하면 항산화 활성, protease 효소 활성, 및 ${\alpha}$-amylase 효소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유리아미노산과 유기산이 증가하였다. 붉은팥을 발효하는데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붉은팥은 프로바이오틱스를 활성화시켜 장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리바이오틱스 소재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