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and fatty acids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24초

천마 분말의 화학적 성분 (Chemical Components of Gastrodia elata Blume Powder)

  • 김현주;정신교;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78-284
    • /
    • 2000
  • 한국산 인공재배 천만의 동결건조 분말은 수분 2.12%, 조단백질 4.41%, 조지방 1.20%, 조회분 2.25%, 조섬유 4.60%, 무질소물 85.15%로 분석되었다. 환원당 함량은 2.66%였으며 유리당은 glucose 13.14mg/g, sucrose 10.81mg/g, fructose 8.69mg/g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은 11종이 검출되었으며 포화지방산이 18.69%, 불포화 지방산이 81.31%였으며 포화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가 11.55%,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가 63.13%로 가장 높았다. 그 외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cis-5,8,11,14,17-eicosapentaenoic acid가 6.42%, linolenic acid가 4.33%를 차지하였다. 유기산으로는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등이 분리되었고 succinic acid의 함량이 1,238mg%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fumaric acid의 순이었다. 분리된 18종의 총 아미노산중 aspartic acid가 522.8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했으며 taurin, hydroproline, alanine, threonine등이 존재했으며 taurin, hydroproline, alanine, threonine등이 존재하였다. 39종의 유리 아미노산 중 arginine이 15.01mg%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asparagine, proline, sarcosine 순이었다. 총 페놀의 함량은 821.4mg%이었고 조사포닌의 함량은 3,738mg%를 나타내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는 ascorbic acid가 6.40mg%, 비타민 B1이 1.23mg%, 비타민 B2가 1.74mg% 함유되어 있었으며 지용성 비타민으로는 비타민 A가 1.22mg%, 비타민 E는 0.32mg%로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 PDF

유기성 폐기물의 산발효 최적화를 위한 통계학적 분석 방안의 적용 (Application of Statistical Analysis for Optimization of Organic Wastes Acidogenesis)

  • 정엠마;김현우;남주연;오세은;홍승모;신항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781-788
    • /
    • 2008
  • 본 연구는 실험계획법과 통계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세가지 유기성 폐기물(축산폐수, 하수슬러지, 음식물쓰레기)의 혼합 산발효를 위한 최적 운전 조건을 구하였다. 먼저, 세가지 기질의 최적 혼합비 도출을 위해 15회의 회분식 실험을 진행하였고, 획득한 실험 값의 통계학적 분석 결과 도출된 최적 혼합비는 chemical oxygen demand(COD) 기준으로 축산폐수, 하수슬러지, 음식물쓰레기 순으로 0.4 : 1.0 : 1.1로 나타났다. 도출된 최적 혼합비율로 준비된 기질을 대상으로 산발효 연속 운전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중요 운전 인자로서 hydraulic retention time(HRT)과 기질 농도를 설정하고, 실험계획법의 일종인 반응표면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적용하였다. 3단계의 실험 계획에 의거한 연속 운전 결과, total volatile fatty acids(TVFA) 생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최적 운전 조건은 HRT 2일, 기질 농도 29,237 mg COD/L로 밝혀졌고, 제시된 2차 경험적 모델식을 통해 최적 운전 조건에서 73%의 TVFA 증가율을 예상할 수 있었다. 도출된 모델식의 정확도 검증을 위한 실험 결과, 약 4%의 상대오차를 나타내 반응표면법을 비롯한 실험계획법과 통계학적 분석 방안이 성상 변화가 큰 실 폐기물의 최적화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Dairy Beef Round Subjected to Various Cooking Methods

  • Yousung Jung;Hye-Jin Kim;Dongwook Kim;Bumjin Joo;Jin-Woo Jhoo;Aera J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67-791
    • /
    • 2023
  •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the physicochemical quality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of dairy beef round, twelve beef round piec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raw, boiling, microwave, and sous-vide. The sous-vide group had a higher pH than the boiling or microwave groups. The boiling group exhibited the highest shear force and CIE L*, followed by the microwave and sous-vide groups (p<0.05). The sous-vide group received higher taste and tenderness scores from panelists (p<0.05)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aspartic and glutamic acids than the other groups. The sous-vide and microwave groups had the highest oleic aci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levels, respectively. The sous-vid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hypoxanthine and inosine levels than the other groups. However, the microwave group had higher inosine monophosphate levels than the other groups. The sous-vide group had a higher alcohol content, including 1-octen-3-ol, than the other groups. Octanal and nonanal were the most abundant aldehydes in all groups. (R)-(-)-14-methyl-8-hexadecyn-1-ol, p-cresol, and 1-tridecyne were used to distinguish the VOC for each group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Sous-vide could be effective in increasing meat tenderness as well as taste-related free amino acid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and fatty acid (oleic acid) levels. Furthermore, specific VOC, including 1-octen-3-ol, 2-ethylhexanal ethylene glycol acetal, and 2-octen-1-ol, (E)-, could be potential markers for distinguishing sous-vide from other cooking method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predominant association of these VOC with the sous-vide cooking method.

음식물쓰레기 이용 혐기 산발효에 의한 수소 및 유기산 생산: 축산폐수 첨가 효과 (Effect of Livestock Wastewater Addition on Hydrogen and Organic Acids Production Using Food Waste)

  • 장수진;김동훈;이모권;나정걸;김미선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199-205
    • /
    • 2015
  • Organic wastes such as food waste (FW), livestock wastewater (LW), and sewage sludge (SWS) can produce hydrogen ($H_2$) by anaerobic acid fermentation. Expecially, FW which has high carbohydrate content produces $H_2$ and short chain fatty acids by indigenous $H_2$ producing microorganisms without adding inoculum, however $H_2$ production rate (HPR) and yield have to be improved to use a commercially available technology. In this study, LW was mixed to FW in different ratios (on chemical oxygen demand (COD) basis) as an auxiliary substrate. The mixture of FW and LW was pretreated at pH 2 using 6 N HCl for 12 h and then fermented at $37^{\circ}C$ for 28 h. HPR of FW, 254 mL $H_2/L/h$, wa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LW, however, mixing ratio of LW to FW was reversely related to HPR, exhibiting HPR of 737, 733, 599, and 389 mL $H_2/L/h$ at the ratio of FW:LW=10:1, 10:2, 10:3, and 10:4 on COD basis, respectively. Maximum HPR and $H_2$ production yield of 737 $H_2/L/h$ and 1.74 mol $H_2/mol$ hexoseadded were obtained respectively at the ratio of FW:LW=10:1. Butyrate was the main organic acid produced and propionate was not detected throughout the experiment.

Effects of Thermal Pretreatment Temperature on the Solubilization Characteristics of Dairy Manure for Dry Anaerobic Digestion

  • Ahn, Heekwon;Lee, Seunghun;Kim, Eunjong;Lee, Jaehee;Sung, Yongjo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7-132
    • /
    • 2014
  • The effect of thermal pretreatment conditions on hydrolysis characteristics of dairy manure and sawdust mixtures has been evaluated. Thermal pretreatment temperature varied between 35 and $120^{\circ}C$ and the period of the treatment changed between 30 and 1440min (24h). As thermal pretreatment temperature and duration increased, organic material solublization rates were improved. Maximum solubilizations of chemical oxygen demand (SCOD), carbohydrates, and volatile fatty acids(VFAs) were observed when dairy manure treated for one day at $120^{\circ}C$. Although one day treatment duration at $120^{\circ}C$ showed the highest SCOD, soluble carbohydrates, and VFAs concentration, its hydrolysis rate was only about 12%. The results reveal that the thermal pretreatment conditions tried in this study are not enough to solubilize the organic matter contained in dairy manure and sawdust mixtures. In order to maximize hydrolysis performance, the further research needs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es on organic material solubilization in addition to thermal pretreatment temperature and duration.

돈분의 퇴비화에 있어 악취 제거 기능성 물질의 첨가 효과 (Effects of Functional Ingredients Supplementation as a Bulking Agent in Composting of Swine Manure)

  • 이상환;김인호;홍종욱;권오석;김정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13-121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unctional ingredients with supplementation as a bulking agent in composting of swine manure. Treatments were T1 & T5 ; Swine mature+Vermiculite, T2 & T6 ; Swine manure+Perlite, T3 & T7 ; Swine manure+Vermiculite+Perlite, T4 & T8 ; Swine manure+Bark. T1, T2, T3 and T4 were supplemented with functional ingredients on d 0 of composting, T5, T6, T7 and T8 were supplemented with functional ingredients on d 3 of composting. Functional ingredients were Fermkito and Yucca. During the composting period, changes of temperature were showed traditionally composting trend. Volatile fatty acids were decreased regardless of treatments in functional ingredients supplementation. Organic matter, T-N and C/N ratio were showed higher bark treatments than other treatments. pH and EC were net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P$_2$O$_{5}$ and $K_2$O were showed level of 1-3%. In heavy metal, Cr were showed higher in vermiculite treatment than other treatments. In conclusion, vermiculite and perlite treatments were greater composting effects than bark.

  • PDF

산수유의 영양성분과 항균효과 (Chemical Components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Corni fructus)

  • 이순옥;한삭명;김혜미;정승경;최진영;강일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891-896
    • /
    • 2006
  • 산수유의 영양성분과 냉면육수 제조시 항균효과를 조사하여 식품소재로써 산수유의 이용성을 증대시키는 기초자료로 삼고자하였다. 산수유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탄화물 87.7%, 조단백질 3.2%, 조지방 4.5%, 회분 4.6%이었다. 산수유의 총아미노산 함량은 2,470 mg%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으로는 산성아미노산인 aspartic acid가 523 mg%, glutamic acid가 347mg%로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은 총 포화지방산 함량 30.8%, 총 불포화지방산 함량 69.2%로 다가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을 살펴보면 linoleic acid가 33.3%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palmitic acid (25.1%), linolenic acid(21.6%), oleic acid(13.2%) 순이었다. 무기질 중 칼륨함량이 건물기준으로 2,067.5mg%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Ca 372.9 mg%, Mg 98.4 mg% 순이었다. 산수유의 유기산 함량은 gallic acid가 19,478 mg%로 가장 그 함량이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succinic acid(18,167mg%) 순이었다. 산수유 3 g을 첨가하여 제조한 냉면육수는 살균효과를 향상시켜줄 뿐 아니라 저장기간에도 균의 생육을 충분히 억제시켰다. 관능검사 결과는 산수유 1.5 g을 첨가하여 만든 육수가 색깔, 냄새, 맛 및 전체 기호도에서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온농축열탈착 시스템을 연계한 유기지방산의 분석법 평가 및 검토 (A study of analytical method for volatile fatty acids (VFA) by cryogenic trapping-thermal desorption (CT-TD) technique)

  • 안지원;김기현;임문순;주도원
    • 분석과학
    • /
    • 제24권3호
    • /
    • pp.200-21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저온농축열탈착법을 이용하여, 4가지 유기지방산 및 9가지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13가지 성분의 분석기법을 비교연구하였다. 저온농축열탈착법을 이용한 유기지방산의 분석기법을 평가하기 위해, 5가지 흡착소재 각각에 대해 5점 검량에 기초한 비교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유기지방산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에서 Carbopack X를 충진한 고체흡착관의 response factor (RF)가 가장 높은수준을 유지하면서, 유기지방산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동시분석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enax TA 단일소재를 제외하면, 조사에 이용한 대부분의 흡착제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온농축열 탈착법의 검정을 위한 임의의 방안으로 기체상 표준시료를 저온농축열탈착법과 알칼리흡수법으로 동시에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기지방산에서 저온농축열탈착법 대비 알칼리흡수법의 비율 (T/S비)이 0.46 (valeric acid)~0.71 (isovaleric acid)으로 나타나 저온농축열탈착법의 결과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보다 안정적인 분석조건을 찾기 위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지속한다면, 유기지방산의 분석법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충주 금릉동 쇠저울유적 출토 고려시대 유병의 유기물 분석 (Organic Residues Analysis of Oil Bottle of Goryeo Dynasty Excavated from the Soejeoul Site, Geumneung-dong, Chungju)

  • 윤은영;김수연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638-647
    • /
    • 2021
  • 유기잔존물(organic residues)은 동물이나 식물에서 유래된 생체분자(biomolecule)의 일부분으로 최근 과학적 분석을 통해 옛사람들의 생활모습 복원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주 금릉동 쇠저울유적에서 출토된 고려시대 청자 유병의 내부 유기물을 규명하고자 과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적외선 분광기(FT-IR)와 기체 크로마토그래프-질량 분석기(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유병 내 유기물은 식물에서 유래된 기름(oil)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GC-MS 분석 결과에서 다가 불포화 지방산과 식물성 스테롤이 검출되었고 참깨 종자에서 확인되는 세사민(sesamin) 성분이 검출되었다. 세사민은 리그난(lignan) 계열의 항산화물질로 참깨의 특성 성분이다. 따라서 고려시대 유병 내부에 담겨 있던 유기물은 참깨와 관련된 물질로, 참깨유가 보관되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통식 녹차된장과 일부 시판된장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Doenjang and Traditional Green Tea Doenjang)

  • 정복미;노승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32-139
    • /
    • 2004
  • 본 연구는 일반 시판된장과 녹차된장의 일반성분, 유리아미노산, 지방산, 유기산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분함량은 일반된장에 비해 녹차된장이 높게 나타났으며, 조 단백 함량은 일반된장에 비해 녹차된장이 낮게 나타났다. 조 지방 함량의 경우 일반된장과 녹차된장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회분함량은 녹차된장이 일반된장의 평균값을 나타냈고, 당질 함량은 녹차된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섬유소함량은 일반 시판 된장 중 H제품을 제외하고는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열량 역시 녹차된장이 가장 낮았다. 녹차된장의 색도는 일반된장에 비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녹차된장중의 총 카테킨 함량은 2.3%로 나타났다. 유리 아미노산의 경우 시판된장 중 C사 제품은 sarcosine이 337.8 mg%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proline(268.4 mg%), glutamic acid(268.0 mg%)순으로 나타났으며, H사 제품은 glutamic acid가 831.6 mg%로 가장 높았고, leucine(491.0 mg%), phenylalanine(364.3 mg%)순이었고, S사 제품은 역시 glutamic acid(855.2 mg%)가 시료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alanine(567.9 mg%), phenylalanine(413.9 mg%), valine(400.3 mg%) 순이었다. 녹차된장 역시 glutamic acid(326.24 mg%)가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다음으로 proline(320.9 mg%), leucine(221.49 mg%)순으로 나타났다. 포화지방산은 녹차된장이 일반된장에 비해 약간 높았으며, 불포화지방산중 단일 불포화지방산은 일반된장에 비해 녹차된장이 약간 낮았고, 다 불포화지방산은 녹차된장이 일반된장의 가장 낮은 값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총 지방산중에 linoleic acid(51%)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oleic acid(21∼24%), palmitic acid(10∼11%), stearic acid(3∼4%) 순으로 나타났다 된장의 유기산은 주된 유기산이 oxalic acid였으며, lactic, succinic acid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일반 시판된장이 녹차된장에 비해 1.6∼2.7배 높게 나타났다. 녹차된장의 항산화 활성도는 타 일반된장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기능성을 가진 녹차된장이 일반시판된장에 비해 열량이 낮으며, 항산화 활성도가 높으므로 장기간 섭취시 비만예방 및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