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acids and amino acids

검색결과 601건 처리시간 0.038초

각종(各種) 식품(食品)의 정미성분(呈味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 1 보(第 1 報) 모과의 정미성분(呈味成分)- (Studies on Tasty Constituents in Various Foodstuffs -Part 1. Tasty Constituents of Chinese Quince-)

  • 김영숙;이성우;이갑랑;김광수;조수열;이중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63-167
    • /
    • 1971
  • 모과의 정미성분(呈味成分)으로 생각되는 polyphenol 성분(成分), amino acid, 당(糖), 유기산(有機酸)의 종류(種類)를 검색(檢索) 함량(含量)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모과의 polyphenol 성분(成分)의 주(主)가 되는 것은 catechin, leucoanthocyan, 회합형(會合型) tannin 등(等)이다. 2. 모과의 amino acid 로서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rginine, ${\beta}-alanine$ 등(等)이 많았다. 3. 모과의 유기산(有機酸)의 주(主)가 되는 것은 citric acid, malic acid 이었다. 4. 모과의 당(糖)으로서 glucose, fructose, sucrose, xylose 등의 존재(存在)하였다. 5. 모과의 정미성분(呈味成分)의 함량(含量)을 사과나 배와 비교(比較)할 때 amino acid는 거의 같고, 당(糖) $1/2{\sim}1/3$ 정도(程度)지만 polyphenol 성분(成分)이 $20{\sim}50$ 배(倍), 유기산(有機酸)이 $3{\sim}8$배(倍)로서 모과의 강(强)한 삽미(澁味)와 산미(酸味)의 원인(原因)을 이루고 있음을 알았다.

  • PDF

Nutrient Components in the Siphon of the Surf Clam Tresus keenae

  • Choi, Jong-Hwa;Shin, Tai-Sun;Ahn, Chang-Bum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8권2호
    • /
    • pp.43-50
    • /
    • 2005
  • We evaluated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the siphon of the surf clam Tresus keenae in regard to the presence of nitrogenous [amino acids,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total creatinine, betaine, trimethylamine oxide (TMAO), and trimethylamine (TMA)] and non­nitrogenous compounds (sugars and organic acids), lipid fatty-acid composition, and occurrence of minerals. The content of total free amino acids was 660.27 $\pm$ 7.94 mg/100 g, and the predominant amino acids were arginine, alanine, sarcosine, glycine, and glutamic acid. These amino acids accounted for $71\;\%$ of the total free amino acids. Among the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osine was the major component and comprised 40.38 $\pm$ 0.02 mg/100 g. Free amino acids were the largest contributor to total extracted nitrogen, comprising $49.94\%$, followed by total creatinine, betaine, nucleotides, and ammonia; the contribution of TMAO and TMA was small. For the non-nitrogenous compounds, malic acid, propionic acid, and succinic acid comprised the major portion of the ten kinds of organic acids detected, and the sugars found were glucose, maltose, and arabinose, which were estimated to be $147.0\pm7.15,\;34.45\pm1.09,\;and\;1.21\pm0.02\;mg/100\;g,$ respectively. The predominant minerals were Na and K, which comprised $11.43\pm1.06\;and\;9.46\pm1.02\;mg/100\;g,$ respectively. The major fatty acids were C22:6, C20:5, C23:0, C18:3, and C16:0 in the lipid fractions. The 23:0 level of glycolipid (GL) was the highest of any other lipid fraction. The amount of total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in the lipid fractions was higher, ranging from $58.22\%\;in\;GL\;to\;77.1\%$ in phospholipid (PL), compared to the saturated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Of the n-3 fatty acids, C20:5 and C22:6 contributed $35.30-64.44\%$ of PUFA in the lipid fractions. The ratios of n-3 to n-6 PUFA in total lipid (TL), neutral lipid (NL), PL, and GL were 4.35, 4.26, 6.69, and 2.04, respectively.

가정에서 제조된 전통된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me-made doenjang, a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 박석규;서권일;손미예;문주석;이영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1-127
    • /
    • 2000
  • 가정에서 제조된 전통된장의 품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유기산,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1. 된장의 수분, 조단백, 조지방, 적정산도(0.1N NaOH 소비 ml수)및 염도는 각각 평균 57.3%, 11.6%, 8.3%, 11.8 및 13.9%였으며, 특기 적정산도.조단백질과 염도는 시료간에 차이가 많이 나타났다. 아미노산성 질소의 함량은 평균 308.4 mg%로서 202.3∼416.3mg%의 범위로 시료간에 1.3∼2.1배 이상 차이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었다. Hunter색차계의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값은 각각 평균 37.7, +19.6, +7.5이었으며, 수용성 및 지용성 갈변물질은 각각 평균 흡광도 2.23, 0.39로서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총 아미노산 함량보다 5.7배이상 높았다. 2. 유리 및 구성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각각 평균 2908.9, 9,019.3 mg%이었으며, 시료간에 1.8∼6.2배와 1.2∼2.0배의 차이가 나타났다. 가장 많은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로서 각각 576, 1,126mg%였다. 3. 유기산은 lactic acid(평균 326.8 mg%)가 가장 많았는데 시료간에 59.4∼613.4mg%의 범위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총 지방산 중에 linoleic acid의 비율(평균49.24%)이 가장 높았으며, 불포화 지방산은 평균 81.97%였고, 다가불포지방산은 시료간에 51.79∼62.97%의 범위로 차이를 많이 나타내었다.

  • PDF

야채류(野菜類)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Vegetables)

  • 조수열;김석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1-64
    • /
    • 1976
  • P. edulis순(荀)의 free amino acid 및 organic acid의 종류(種類)와 함량(含量)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Free amino acid는 18종(種)이 검출(檢出)되었는데, lysine histidine arginine tryptophan aspartic acid glutamic acid threonine serine proline glyc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등 17종(種)이 정량(定量)되었으며 이들 중 serine이 가장 많았고, 1종(種)은 미확인(未確認)되었다. (2) Organic acid는 11종(種)이 검출(檢出)되었으며 이들 중 formic acid acetic acid oxalic acid male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sorbic acid 등 9종(種)이 확인(確認)되었고, 이들 중 oxalic acid가 가장 많아 291.14mg%이었으며, 2종(種)은 미확인(未確認)되었다.

  • PDF

콩 품종에 따른 발효물의 아미노산과 향기성분 특성 (Properties of Amino Acid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Fermented Soybean Products by Soybean Cultivar)

  • 신동선;최인덕;이석기;박지영;김남걸;박장환;최혜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34-441
    • /
    • 2019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nutritional composition properties of soybeans and the organic acids, amino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fermented soybean products. We used five soybean cultivars including Pyeongwon, Jinpung, Saedanbaek, Saeolkong and Cheonga for this experiment. Physicochemical analysis of soybeans, showed that the cured protein and fat contents were 35.12~45.12 and 14.26~20.14%, respectively. The rank order of major organic acids was lactic acid > acetic acid > fumaric acid, with Saedanbaek being the highest. Total amino acid content of the samples was 358.12~657.28 mg/100 g, and glutamic acid, alanine, cysteine, valine, leucine, histidine and arginine were the major amino acids. We identified a total of 34 volatile aroma-compounds, including 7 alcohols, 7 acids, 7 ketones, 5 phenols, 2 esters, 1 furan, 4 pyrazines, and 1 miscellaneous compounds. As a result of this, could be applied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cultivars and the quality for the process of the fermented soybean products.

Temperature, Medium and Structural Effects on the Acid Dissociation Constants of Certain Schiff Bases Derived from Isatin with Some Amino Acids and Aroylhydrazines

  • Hassaan, Aly M.A.;Quenawy, M.T.A.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180-185
    • /
    • 1993
  • The acid dissociation constants of certain Schiff bases derived from isatin with p-substituted benzoyl hydrazines and somee amino acids of glycine, $\beta$-and $\alpha$-alanine, valine, $\beta$-phenyl-$\alpha$-alanine and anthranilic acid have been detemined potentiometrically at different temperatures in different aquo-organic solvent mixtures (ethnol, dioxane, dimethyl formamide, methanol, acetone and tetrahydrofurance). The pKa values were demonstrated on the light of the different electornic and steric effects of the substituents and the sovlent characteristics. In all the mixed media used, ionization of the compounds decreased by increasing the mole fraction of the organic cosolvent. Theemodynamic parameters $(\Delta{H}^\circ,\;\Delta{G}^\circ,\;\Delta{S}^\circ)$ were evaluated. The structural effects of the investigated compounds on these parameters were reported and discussed.

  • PDF

신미종(辛味種)고추의 추숙(追熟)에 관(關)한 생리화학적(生理化學的) 연구(硏究) -제4보(第4報) Amino acids.유기산(有機酸).당(糖)의 변화- (Physio-chemical studies on the after-ripening of hot pepper fruits -(Part 4) Changes in amino acids, organic acids and sugars-)

  • 이성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1호
    • /
    • pp.43-50
    • /
    • 1971
  • 신미종(辛味種) 고추 과피(果皮)의 추숙(追熟)에 따른 free amino acid, 유기산(有機酸), 유리당(遊離糖)의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신미종(辛味種) 고추의 free amino acid로서 glutamine, asparagine, glutamic acid 등(等)이 많고, free amino acid의 총량(總量)은 추숙(追熟)에 따라 심하게 감소(減少)하였다. 2. 신미종(辛味種) 고추의 유기산(有機酸)으로서 주(主)가 되는 것은 malic acid와 citric acid로서 이들의 함량(合量)은 전추숙기간(全追熟期間)을 통하여 전산(全酸)의 80%에 이른다. 그러나 추숙(追熟)에 따라 malic acid는 심하게 감소(減少)하고 citric acid는 증가(增加) 하였다. 그리고 산(酸)의 총량(總量)은 추숙(追熟)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가운데서 post-cli. stage에서 격감(激減)하고 있다. 3. 신미종(辛味種) 고추의 유리당(遊離糖)은 glucose가 주(主)가 되고 fructose, galactose, sucrose가 동정(同定)되었고, raffinose의 존재(存在)가 추정(推定)되었다. 그리고 추숙(追熟)에 따라 유리당(遊離糖)의 총량(總量)은 post-cli. stage에서 25% 정도(程度) 감소(減少)하였고, 환원당(還元糖)과 비환원당(非還元糖)도 각각(各各) 추숙(追熟)에 따라 감소(減少)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Agaricus brasiliensis

  • Cho, Soo-Muk;Jang, Kab-Yeul;Park, Hong-Ju;Park, Jeong-Sik
    • Mycobiology
    • /
    • 제36권1호
    • /
    • pp.50-54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 blasiliensis and the chemical structural properties of an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 The amino acids, free sugars, and organic acids by HPLC and fatty acids by GC were analyzed. The immuno-stimulating substance from A. blasiliensis was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purified by ethanol precipitation. It underwent ion exchange chromatography on DEAE-cellulose and gel filtration on Toyopearl HW 65F. Through GP-HPLC, the substance was found to be homogeneous. Its chemical structure was determined by $^{13}C-NMR$. Fatty acids, organic acids, and sugar alcohol composition consisted exclusively of linoleic acid, fumaric acid and mannitol, respectively. The amino acids were mainly glutamic acid, glycine, and arginine. By $^{13}C-NMR$ analysis, the immuno-stimulating substance was identified as ${\beta}-(1{\rightarrow}3)\;(1{\rightarrow}6)$-glucan, composed of a backbone with $(1{\rightarrow}3)$-linked D-glucopyranosyl residues branching a $(1{\rightarrow}6)$-linked D-glucopyranosyl residue. The ${\beta}$-glucan from A. blasiliensis showed pronounced immuno-stimulating activity on the antibody-production ability of B-lymphocytes by the hemolytic suspension assay. In these results, A. blasiliensis was estimated to have potent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potential nutritional values.

고온고압수 반응을 이용한 생선내장의 아미노산 생성거동 (Production Behavior of Amino Acid from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ater Reaction of Fish Entrails)

  • 강길윤;전병수
    • KSBB Journal
    • /
    • 제18권6호
    • /
    • pp.495-499
    • /
    • 2003
  • 고온고압수 반응에 의해 생선 내장으로부터 아미노산의 생성거동을 검토하기 위하여 회분식 및 반회분식 반응조작을 행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25$0^{\circ}C$, 반응시간 60분에서 회분식 반응조작을 통해 얻었던 최적수율 (137nmg/g-dry fish)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인 30$0^{\circ}C$, 2분의 반회분식 조작결과 보다 높은 수율 (230mg/g-dry fish)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었다. 또한 회분식 반응조작에서는 Ala, Gly과 같은 비교적 저분자량의 아미노산 생성이 지배적이었으며 반회분식 조작에서는 Ser, Asp과 같은 고분자량의 아미노산 생성이 촉진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반응 생성물의 조성은 각 반응조작 (회분식 및 반회분식)에 의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생선 폐기물로부터 아미노산의 생성을 위한 고온고압수 처리공정은 회분식 반응조작에서 얻을 수 있었던 최적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 및 단시간 반응에서 조작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정 아미노산의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반응조작의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Agrobacterium tumefaciens 변이주에 의한 Coenzyme $Q_{10}$ 생합성시 유기, 무기질소원과 아미노산의 영향 (Influence of Organic, Inorganic Nitrogen Sources and Amino Acids on the Biosynthesis of Coenzyme $Q_{10}$ by Agrobacterium tumefaciens Mutant)

  • 김정근;원용배;이강문;구윤모
    • KSBB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75-79
    • /
    • 2009
  • Coenzyme $Q_{10}$ 고역가 변이주인 Agrobacterium tumefaciens KPU-11-03의 다양한 유기 질소원에 대한 coenzyme $Q_{10}$ 생산량과 coenzyme $Q_{10}$의 구성비율 등을 비교한 결과, CSP 첨가 시 coenzyme $Q_{10}$ 생산량은 212.7 mg/l, 구성비율은 94%로 다른 유기질소원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특히 Bacto tryptone, Bacto peptone, soybean meal, casamino acid 등의 유기 질소원 첨가 시에는 극히 낮은 coenzyme $Q_{10}$ 역가를 나타내어 균체내의 coenzyme $Q_{10}$의 축적은 유기 질소원의 종류 즉 아미노산의 종류 및 량과 상관성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무기질소원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NH_4)_2SO_4$ 첨가 시에 coenzyme $Q_{10}$역가가 약 2배 증가하였고 다른 무기질소원에 사용 시에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Coenzyme $Q_{10}$ 역가와 관련된 아미노산을 확인하기 위해 유기질소원으로 Bacto tryptone을 첨가한 배지에 9가지의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실혐한 결과, 방향족 아미노산인 tyrosine 첨가 시의 coenzyme $Q_{10}$ 생산량은 99.5 mg/l로 비첨가구보다 약 8.2배 증가하였으나 phenylalanine과 tryptophan등의 다른 방향족 아미노산의 첨가 시에는 coenzyme $Q_{10}$ 생산량이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tyrosine의 첨가가 coenzyme $Q_{10}$ 역가에 매우 중요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