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dination method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6초

남해군 금산 식생 구조 연구 (A Study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Geumsan in Namhae-gun of Korea)

  • 김현숙;박관수;이상명;이상진;이항구;박환우;박대연;이찬희;김정현;이중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4-227
    • /
    • 2016
  • 본 연구는 남해군 금산에 분포하고 있는 식생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2014년과 2015년에 실시되었다. 본 연구 조사지의 식생을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DCCA ordination으로 분석한 결과, 10개의 자연림(졸참나무군락, 개서어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곰솔군락, 소사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히어리군락)과 2개의 식재림(편백군락 및 삼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복곡저수지 아래 계곡부에는 환경부지정 보호야생식물인 히어리가 아교목상으로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복곡저수지 인근 천하저수지 위쪽 임도에서는 끈끈이주걱이 발견되었다. 식재림을 제외한 전체 군락에서 나타난 중요치는 졸참나무가 가장 높았으며(45.7), 중요치가 높은 주요 종에 대한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졸참나무, 신갈나무 및 개서어나무는 정규분포형을 나타내고 있어 현재의 우점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대상지내 군락의 토양을 분석한 결과, 평균 토양 pH는 4.28~4.76으로 나타났다. DCCA ordination 분석 결과, 졸참나무군락은 해발고와 상관없이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곰솔군락 및 소나무군락은 다른 군락들 보다 해발고가 낮고 남사면에 주로 분포하였다.

보문산 삼림(森林) 군집(群集)의 구조(構造)와 동태(動態) 분석(分析) (The Structural and Dynamic Analysis of the Forest in Mt. Bomun)

  • 김지문;송호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494-506
    • /
    • 1982
  • 보문산의 교목림(喬木林) 군집(群集)을 대상(對象)으로 수종(樹種)의 종군분유(種群分類)와 천이(遷移)계열(系列)을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20{\times}20m$의 quadrat를 22개소(個所) 선정하였다. 교목(喬木) 및 토양(土壤)의 분석(分析)에는 reciprocal ave raging(RA) ordination 방법(方法)을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보문산에 출현(出現)한 교목(喬木) 수종(樹種)은 20종(種)이었으며, 우세종(優勢種)은 Quercus variabilis, Pinus densiflora, Alnus hirsuta, Pinus rigida 등(等)이다. 2. RA ordination으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보문산의 교목(喬木) 군집(群集)은 Pinus rigida와 Quercus variabilis-Pinus densiflora 군(群)으로 구별(區別)된다. 3. 천이계열(移系列)에서 교목림(喬木林) 군집(群集)의 극상(極相)은 Quercus variabilis로 추정(推定)된다. 4. 토양(土壤) 요인(要因)으로는 T-N, $NO_3^-$, $NH_4^+$, $P_2O_5$, 유기물, C. E. C, pH, $K^+$, $Ca^{{+}{+}}$, $Mg^{{+}{+}}$가 분석(分析)되었으며, 토양(土壤) 환경(環境)을 지배하는 주성분(主成分)은 T-N, $NO_3$, $NH_4^+$, $P_2O_5$라고 사료(思料)된다.

  • PDF

우리나라 동해변 식방풍 군락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in East Seaside of South Korea)

  • 신동일;송홍선;윤성탁;김성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347-353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ordination of the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by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floristic composition table on east coast of South Korea. The vegetation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2 communities such as the Aster Spathulifolius community and the calystegia soldanella-Artemisia princeps community. Vegetation of the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with the Aster spathulifolius community was shown southward, whereas vegetation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with the calystegia soldanella-Artemisia princeps community was shown northward from the base line of Pohang at North latitude of 36" 05'. Accordingly, the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was grown commonly with the Aster spathulifolius community southward of the base line of Pohang, whereas it was grown commonly with the calystegia soldanella-Artemisia princeps community northward on the east coast. All environmental conditions of habitat taken together, the optimum habitat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was at Ulsan geographically and the middle region of sea cliff topography, and was suitable for alkali. sandyloam.

왕릉의 식생경관구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III) -륭.건릉식물군 집의 천이 (Studyies on the Vegetational Landscape Structure and Administration Planning of the Royal Tomb(III) -successional Trends of the Plant Community of Yunguan Royal Tomb-)

  • 이경재;유창희;우정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1-54
    • /
    • 1991
  • This study was executed to analyze the vegetational landscape structure and administration planning of Younguan Royal Tomb forest by the classification and DCA ordination were applied to the study are in order to classify them into several groups based on environmental variables. Also Younguan Royal Tomb forest comparison of a pair of photographs taken in 1920s and 1990. Sixteen sites were sampled with clumped sampling method in september 1990 and five quadrats were examined in each site. By classification and DCA, the plant communit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A. japonica community, P. densiflora,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by the humus. Pinus densiflora community of actual vegetion covered 15.9%, Alnus japonica 6.5% and Quercus community 65.6% of the total area. And the afforested vegetation of P. koraiensis. P. rigida and Juglans mandshurica covered 13.2%. DCA ordination showed that successional trends of tree species seem to be from P. densiflora, Q. aliena to Q. acutissima in P. densiflora community and from A. japonica community of the upper layer. By the comparison of couple photographs between 1920s and 1990 we can recognize the change of historical landscape composed of P. densiflora community, A. japonaca and those community shall be conserved by the disclimax method, i.e. the broadleaf vegetation in the underlayer in the P. densiflora community should be cleared out. Otherwise the vegetational landscape sructure in Younguan Royal Tomb is successed to progress succession to Q. acutissima landscape.

  • PDF

히어리(Corylopsis coreana) 개체군의 식생과 토양특성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Corylopsis coreana Population in Korea)

  • 장형태;김남춘;김무열;권혜진;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09-615
    • /
    • 2008
  • 본 연구는 경기도 백운산, 전남 지리산, 백운산, 조계산, 경남 금산 지역 등에 분포하고 있는 히어리개체군을 대상으로 2005년 8월부터 2006년 9월까지 20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분류한 결과 히어리개체군은 피나무우점개체군, 소나무우점개체군, 비목나무우점개체군으로 구분되었다. Ordination 분석 결과 피나무우점개체군은 해발고가 높으며, 전질소, 유효인산, CEC의 함량이 높은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우점개체군은 해발고가 낮고 전질소, CEC, 유효인산의 함량이 적은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목나무우점개체군은 해발고가 높고, 전질소, 유효인산, CEC의 함량이 중간인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uccessional Changes in Seed Banks in Abandoned Rice Fields in Gwangneung, Central Korea

  • Lee, Seon-Mi;Cho, Yong-Chan;Shin, Hyun-Chul;Oh, Woo-Seok;Seol, Eun-Sil;Park, Sung-Ae;Lee, Chang-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4호
    • /
    • pp.269-276
    • /
    • 2008
  •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 of seed banks for restoration, seed banks in abandoned rice fields in the Gwangneung National Arboretum, central Korea were investigated using the seedling emergence method. The study sites represented three stages: an initial stage dominated by forbs such as Persicaria thunbergii and Juncus effuses var. decipiens, a middle stage dominated by Salix, and a late stage dominated by Quercus aliena and Prunus padus (in nearby riparian forest chosen as a reference stand). DCA ordination arranged the stands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since abandonment. CCA ordination identified the dominant environmental variables correlated most closely with Axes 1 and 2 as $Mg^{2+}$ (intraset correlation was 0.827) and $K^+$ (intraset correlation was -0.677), respectively.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decreased from the initial stage (H'=2.61) to the middle (H'=1.79) and late (H'=0.75) stages. A total of 49 species $(/m^2)$ and 18,620 seedlings $(/m^2)$ emerged out of the seed bank samples. The DCA ordination and similarity analysis detected a large discrepancy between the composition of the actual vegetation and the seed bank. We conclude that the contribution of seed bank to restoration is low. However, seed bank may help the recovery of forbs after disturbance. Some of our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tolerance model of succession whereas others follow the trajectory of the facilitation model. More research on succession will be required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계룡산국립공원(鷄龍山國立公園) 계곡부(溪谷部) 식생(植生)의 구조(構造)와 DCCA에 의한 식생(植生)과 환경(環境)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 분석(分析) (An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with DCCA in the Valley Part of Kyeryongsan national Park)

  • 박영순;송호경;이선;이미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249-256
    • /
    • 2001
  • 본 연구는 계룡산의 동학사, 갑사, 신원사 지역의 계곡부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1999년 8월에 50개소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TWINSPAN과 DCCA ordination을 이용하여 군락분류, 임분구조 특성 및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1. TWINSPAN에 의한 분류 결과는 서어나무군락, 굴참나무-졸참나무군락, 느티나무-풍게나무군락, 까치박달군락으로 구분되었다. 2. 계룡산 계곡부 산림식생의 중요치를 각 군락별로 살펴보면 서어나무군락에서 중요치가 높은 종은 서어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소나무, 때죽나무 등의 순으로, 굴참나무-졸참나무군락은 굴참나무, 졸참나무, 때죽나무, 밤나무, 굴피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느티나무-풍게나무군락은 졸참나무, 밤나무, 비목나무, 느티나무, 때죽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까치박달군락에서 중요치가 높은 종은 까치박달, 서어나무, 사람주나무, 층층나무, 느티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 DCCA ordination에 의한 4개의 각 군락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서어나무군락은 다른 군락에 비하여 경사가 급하고 해발고가 비교적 낮은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으며, 굴참나무-졸참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경사가 완만한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다. 그리고 느티나무-풍게나무군락은 해발고가 가장 높고 경사가 비교적 완만한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으며, 까치박달군락은 다소 해발고가 높고 경사가 중간인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었다.

  • PDF

설악산 대청봉지역의 아고산대 산림식생 (Subalpine Forest Vegetation of Daecheongbong Area, Mt. Seoraksan)

  • 권혜진;권재환;한경숙;김무열;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4-201
    • /
    • 2010
  • 본 연구는 설악산 대청봉지역의 아고산식물대에 분포하고 있는 식물군락을 분류하고, 식생과 토양환경과의 관계를 밝혀 이들을 보존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청봉지역의 아고산대 식물군락은 털진달래-사스래나무군락군으로 구분되었으며, 입지 환경에 따라 종조성을 달리하는 눈잣나무군락, 분비나무군락, 눈측백군락, 털진달래-사스래나무전형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군락별 환경요인과 식생과의 ordination 분석 결과, 눈잣나무군락과 눈측백군락은 분비나무군락과 털진달래-사스래나무전형군락보다 전질소, 유효인산, 유기물함량 등의 양료가 다소 많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었다. 분비나무군락과 털진달래-사스래나무전형군락이 눈잣나무군락과 눈측백군락보다 해발고가 다소 높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었고, 눈잣나무군락과 눈측백군락은 북사면이나 북서사면에, 분비나무군락과 털진달래-사스래나무전형군락은 남서사면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산 피아골의 식생형과 그 구조 (Vegetation Types and Their Structures of the Piagol, Mt. Chiri)

  • 장윤석;임양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2호
    • /
    • pp.165-175
    • /
    • 1985
  • 지리산 피아골의 식생은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개서나무군낙, 서나무군낙, 신갈나무군낙, 졸참나무군낙, 들메나무군낙, 철쭉-진달래 관목림으로 분류되며, DBH-class 분포에 의하면 개서나무군낙, 서나무군낙, 신갈나무군낙은 모두 안정된 극상림인 것으로 보인다. 신갈나무군낙의 종다양도는 제일 낮고 우점도는 제일 높게 나타났으며, 토양조건은 서나무군낙이 신간나무군낙에 비해 습하고 비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나무군낙과 신갈나무군낙의 점이대는 DBH-class 분포로 보아 현재의 900∼1,000m 에서 1,000∼l,100까지 이동할 것으로 예측된다. Polar Ordination에 의한 식생형의 분류는 식물사회학적 방법의 결과와 일치했다. 고도구배를 따라 개서나무는 500∼700m, 서나무는 700∼900m, 신갈나무는 900m이상에서 최고의 중요치를 나타낸다. Raunkiaer의 life-form spectrum을 남한의 것과 비교하면, 반지중식물은 5.3%, 지중식물은 5.2% 높게 나타났으며, 착생식물과 수중식물은 극히 적게 나타났다.

  • PDF

지리산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림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s of Stewartia koreana Forest in Mt. Jirisan)

  • 권혜진;권재환;정혜란;이지혜;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25-735
    • /
    • 2011
  • 본 연구는 지리산지역의 노각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군락을 분류하고, 식생과 토양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구배분석을 실시하였다. 노각나무림은 노각나무-졸참나무군락, 노각나무-신갈나무군락, 노각나무전형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노각나무-졸참나무군락은 서어나무아군락과 전형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노각나무는 해발고 409m에서 최고 1,604m까지 자생하였다. 노각나무군락의 중요치 분석결과 노각나무가 75.47%로 가장 높았으며, 졸참나무 21.83%, 신갈나무 18.65%, 당단풍나무 18.19%, 철쭉 10.56%, 때죽나무 10.36% 순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의 토양분석 결과 평균적으로 유기물함량 3.15~39.1%, 전질소함량 0.37~11.7%, 유효인산함량 0.9~45.4mg/kg, 치환성 양이온 $K^+$ $0.09{\sim}1.48cmol^+/kg$, 토양 수분 19.28~55.47%, 토양 pH는 4.08~5.65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DCCA ordination을 이용한 노각나무군락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해발고에 의해 노각나무-신갈나무군락, 노각나무전형군락, 노각나무-졸참나무전형아군락, 서어나무아군락 순으로 분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