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toxicity

검색결과 852건 처리시간 0.025초

행인(杏仁)의 랫트 단회 경구 투여 독성시험 (Rat Single Oral Dose Toxicity Test of Armeniacae Semen (Including Endocarp))

  • 김세란;이진원;임소연;정유선;최해윤;김종대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5-159
    • /
    • 2012
  • Objectives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cute toxicity information (single oral dose toxicity) of Armeniacae Semen (AS), a medicinal herb used for treating constipation and various respiratory diseases, in rats. Methods : In order to observe the $LD_{50}$ (50% lethal dose), approximate lethal dosage (ALD) and target organs, AS aqueous extracts were orally administered once to female and male Sprague Dawley rats at dose levels of 2,000, 1,000, 500 and 0 (control) mg/kg (body weight). The mortality, changes in the body weight, clinical signs and gross observation were monitored for 14 days after single oral treatment of AS extracts, and the organ weights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of principle organs were observed after sacrifice. Results : After single oral treatment of AS 2,000 and 1,000 mg/kg, all (5/5; 100%) female and male rats died within 30 minutes after treatment, while no mortalities were observed in the female and male rats treated with 500 mg/kg of AS extract. Therefore, $LD_{50}$ in female and male rats was calculated as 741.95 mg/kg. Seizure, loss of locomotion, salivation, increases of respiration and heart-beat were observed after AS extract treatment, which were observed in all rats including the lowest dosage group, 500 mg/kg in the present study. In addition, lung congestion was visible in all mortal rats with AS 2,000 and 1,000 mg/kg, respectively. Conclusions :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AS extract ranges in Class III, because the $LD_{50}$ and ALD in both female and male rats were calculated as 741.95 mg/kg and 500~1,000 mg/kg, respectively. However, AS extract should be carefully treated at clinical applications, because salivation, increase of respiration and heart-beat were also observed in the lowest dosage group, 500 mg/kg in the present study.

LMK02의 Sprague-Dawley 랫드를 이용한 13 주간 반복 경구투여 독성시험 (13 weeks repeated oral dose toxicity studies with LMK02-Jangwonhwan in SD rats)

  • 강형원;장현호;박장호;김태헌;류영수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9-120
    • /
    • 2012
  • Objectives : The oriental medicine Jangwonhwan, a boiled extract of 12 medicinal herbs/mushrooms, has been prescribed to patients with cognitive dysfunction, as originally described in the Korean medical text, DonguiBogam(amnesia chapter). Recently, a modified formula of Jangwonhwan (LMK02-Jangwonhwan) consisting of seven medicinal plants/mushrooms, was shown to reduce the ${\beta}$-amyloid deposition in the brain of Tg-APPswe/PS1dE9 mouse model for Alzheimer's disease. The toxicity of LMK02-Jangwonhwan was investigated in SD rats, by a daily oral administration for 13 weeks and NOAEL(No observed adverse effect dose), a definite toxic dose and target organ, as well. Methods : Quality control of the tablet form of LMK02-Jangwonhwan was established by estimating the indicative components, Ginsenoside Rg3 of Red Ginseng and Decursin of Angelicagigas Nakai. The toxicity of LMK02-Jangwonhwan was investigated in 6 week old, specific pathogen free (SPF), Sprageu-Dawley rats by oral administration. Each test group consisted of 10 male and 10 female rats. The groups received doses of 500, 1,000 or 2,000 mg/kg/day of test substance for 13 weeks. The clinical signs, death rate, body weight, food consumption, ophthalmic examination, urinalysis, hematological and serum biochemistry, organ weight and pathological changes were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Results : The 13-week repeated oral treatment doses didn't result in any specific symptoms or death.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rat's weight and food consumption. Further, ophthalmic examination, urinalysis, hematological, serum biochemistry test and organ weight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s : The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NOAEL) of LMK02 for male and female Sprague-Dawley rats was determined as 2,000mg/kg/day and the target organ wasn't confirmed. Because no significant adverse effects were observed, the target organ could not be determined.

꿀벌에 대한 dsRNA의 급성섭식독성 평가 (Acute Oral Toxicity of dsRNA to Honey Bee, Apis mellifera)

  • 임혜송;정영준;김일룡;김진;유성민;김반니;이중로;최원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41-248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RNAi 기반 LMO의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향후 이러한 기술을 이용한 LMO의 유해성 및 자연생태계 위해성평가가 필요할 때 실험실 수준에서 dsRNA를 대량으로 발현시키는 시스템을 확립하고, 수분(화분)매개 곤충인 꿀벌을 대상으로 유해성평가 시험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L4440 vector에 Snf7과 GFP 유전자를 클로닝한 plasmid를 HT115 (DE3) 대장균에 형질 전환한 후 온도, 배양시간, IPTG 농도를 각기 다르게 하여 최적의 발현조건을 탐색한 결과 $37^{\circ}C$, 0.4 mM IPTG, 4시간의 배양시간에서 가장 많은 양의 dsRNA가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국내 외 제시된 꿀벌 위해성평가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대장균에서 분리한 dsRNA를 꿀벌 성충에 급성섭식으로 처리한 결과 생사율과 일반중독증상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대장균으로부터 분리한 Snf7 dsRNA와 GFP dsRNA는 꿀벌 성충에 유해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dsRNA 물질의 유해성평가 및 자연생태계 위해성 평가를 위한 대량 추출 방법과 위해성평가 대상종의 사육 및 물질 처리 방법을 확립하여 향후 이뤄질 dsRNA의 꿀벌 위해성평가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Atractylodes macrocepala KOIDZ.(백출) 추출물의 급성 경구투여 독성 연구 (Acute Oral Toxicity of Atractylodes macrocepala KOIDZ.)

  • 최혜경;노항식;정자영;하헌용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21
    • /
    • 2014
  • 본 연구는 Atractylodes macrocepala KOIDZ.의 급성 경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SD계 Rat를 이용하여 농도별 열수 추출물을 투여하고 체중변화, 이상반응, 장기무게변화, 혈액학적 이상반응, 조직병리학적 이상반응 등을 측정하였다. Atractylodes macrocepala KOIDZ.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체중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이상반응이나 장기무게에 있어 유의성 있는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액학적 지표에 있어서도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WBC 및 AST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조직병리학적 소견에서 일부 간조직의 지방변성이 관찰되어 간독성과 간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백출이 경구투여에 있어 비교적 안전한 물질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단회 경구투여 급성독성시험만으로 천연물 생약에 대한 독성 유무를 판단하기에는 일정부분 제약이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2주(또는 4주) 반복 경구투여 독성시험 및 13주 반복 경구투여 독성시험 그리고 유전독성에 대한 연구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백출에 대한 체계적인 독성정보를 구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과학적 근거에 입각한 안전성 자료가 확보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Lactobacillus plantarum AF1이 생성한 조항진균 물질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Crude Anti-fungal Compounds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AF1)

  • 손희경;이명렬;장해춘;이재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92-897
    • /
    • 2013
  •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항진균 활성을 보이는 유산균인 Lactobacillus(Lb.) plantarum AF1이 생산하는 조항진균 물질의 부분 정제물이 천연 식품보존제 및 사료보존제로서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단회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급성독성시험을 위하여 경구로 1회 시험물질을 최고 용량(2,000 mg/kg)으로 하여 ICR계통 암수 마우스에게 용량별 각 군당 10 마리씩 투여한 후 14일간의 일반증상, 사망률, 체중, 임상증상 및 육안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단회 경구투여한 후 모든 시험군에서 사망례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시험동물은 시험 종료 시까지 계속 생존하여 평균치사량을 산출할 수 없었다. 경구투여한 후 마우스의 체중변화에 있어서도 암수 모두 대조군과 시료물질 투여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용량 의존적인 차이도 볼 수 없었다. 경구투여한 후 시험 종료한 다음 생존동물 모두를 부검하여 주요 장기의 육안적 소견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과 시료투여군 모두에서 외관상이나 내부 장기에 어떠한 이상소견이나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물질인 Lb. plantarum AF1이 생산한 조항진균 물질을 경구투여 시 ICR계통 암수 마우스에서 독성학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LD_{50}$은 경구투여 시 2,000 mg/kg 이상인 저독성의 안전한 물질로 사료된다.

김치로부터 분리한 Exopolysaccharide생성 유산균 Leuconostoc kimchii GJ2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Leuconostoc kimchii GJ2, An Exopolysaccharide-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Mice)

  • 이재준;이유미;장해춘;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61-567
    • /
    • 2007
  •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분리한 EPS생성 유산균 Leu. kimchii GJ2에 대한 급성독성시험을 위하여 복강 및 경구로 1회 시료물질을 최고 용량(복강: 2,500 mg/kg, 경구: 5,000 mg/kg)으로, 10마리 ICR계통 암수 마우스에게 투여한 후 14일간의 일반증상, 사망률, 체중, 임상증상 및 육안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복강 및 경구투여한 후 24시간 이내에 일부 시료투여군에서 부분적으로 사망례가 관찰되었으나 나머지 시험동물은 계속 생존하여 평균치사량을 산출할 수 없었다. 복강 혹은 경구투여한 후 마우스의 체중변화에 있어서도 암수 모두 대조군과 시료물질 투여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생존동물의 부검결과에서도 내부장기의 육안적 이상 소견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물질인 Leu. kimchii GJ2는 복강 및 경구투여 시 마우스에서 독성학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LD_{50}$은 복강투여가 2,500 mg/kg, 경구투여가 5,000 mg/kg 이상인 저독성의 안전한 물질로 사료된다.

LMK02의 Sprague-Dawley 랫드를 이용한 4 주간 반복 경구투여 DRF 독성시험 (4 Weeks Repeated Oral Dose Toxicity Studies with LMK02-Jangwonhwan in SD Rats)

  • 류영수;김지훤;박현제;이경희;이종화;강형원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034-1041
    • /
    • 2010
  • The oriental medicine Jangwonhwan, which is a boiled extract of 12 medicinal herbs/mushroom, has been prescribed for patients with cognitive dysfunction and it is originally from the Korean medical text, DonguiBogam(amnesia chapter). Recently, a modified recipe of Jangwonhwan (LMK02-Jangwonhwan) consisting of seven medicinal plants/mushroom, was shown to reduce ${\beta}$-amyloid deposition in the brain of Tg-APPswe/PS1dE9 mouse model of Alzheimer disease. The toxicity of LMK02 was investigated in SD rats by oral repeated adminstration for 4 weeks and we tried to determine test does for 13 weeks repeated study. Quality control of tablet form of LMK02 was established by estimating indicative components, Ginsenoside Rg3 of Red Ginseng and Decursin of Angelicagigas Nakai. The toxicity of LMK02 was investigated in 6 weeks old specific pathogen free (SPF) Sprageu-Dawley rats by oral administration. Each test group were consist of 5 male and 5 female and they received doses of 500, 1,000 and 2,000 mg/kg/day of test substance for 4 weeks. The clinical signs, death rate, body weight, food consumption, ophthalmic examination, urinalysis, hematological and serum biochemistry, organ weight and pathological changes were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Urinalysis : We observed increase of PRO(p<0.01), SG(p<0.01) in female rats of 1,000 mg/kg/day and 2,000 mg/kg/day(p<0.01). Also, we observed increase of pH and KET in female rats of 1,000 mg/kg/day(p<0.05) and of 2,000 mg/kg/day(p<0.01). WBC in female rats in 1,000 mg/kg/day and 2,000 mg/kg/day were on increase. Hematological test : We observed increase of MCV in male rats of 250 mg/kg/day. (p<0.05) Serum biochemistry test : We found increase of CHO in female rats of 2,000 mg/kg/day(p<0.05).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re were no animals dead or moribund. There were no treatment related changes of general symptom, food and water consumption, organ weight and autops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4-week repeated dose range finding study, the highest dose was established as 1000 mg/kg for 13-week repeated dose toxicity study and we determined to put 2 more groups by common ratio two.

김치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AF1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AF1 Isolated from Kimchi in Mice)

  • 이환;이재준;장해춘;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15-321
    • /
    • 2012
  • 본 연구는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및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는 $Lb.$ $plantarum$ AF1을 분리하여 이 균의 천연 식품보존제 및 사료보존제로서 사용 적합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단회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급성독성시험을 위하여 경구 혹은 복강으로 1회 시험물질을 최고 용량(경구: 5,000 mg/kg, 복강: 2,500 mg/kg)으로 하여 ICR계통 암 수 마우스에게 용량별 각 군당 10마리씩 투여한 후 14일간의 일반증상, 사망률, 체중, 임상증상 및 육안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단회 경구투여 혹은 복강주사한 후 모든 시험군에서 사망례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시험동물은 시험 종료 시까지 계속 생존하여 평균치사량을 산출할 수 없었다. 복강 혹은 경구투여한 후 마우스의 체중변화에 있어서도 암 수 모두 대조군과 시료물질 투여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용량 의존적인 차이도 볼 수 없었다. 경구구투여 혹은 복강주사 단회 투여한 후 시험 종료한 다음 생존동물 모두를 부검하여 주요 장기의 육안적 소견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과 시료투여군 모두에서 외관상이나 내부장기에 어떠한 이상소견이나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물질인 $Lb.$ $plantarum$ AF1는 경구투여 혹은 복강주사 시 ICR계통 암 수 마우스에서 독성학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LD_{50}$은 복강주사가 2,500 mg/kg, 경구투여가 5,000 mg/kg 이상인 저독성의 안전한 물질로 사료된다.

다시마 (Laminaria japonicus) Alginate의 가열가수분해에 따른 물리$\cdot$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8. 저분자 Alginate투여에 의한 랫드의 혈청지질의 성분 변화 및 경구급성독성 실험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by Thermal Decomposition 8. Effects of Depolymerized Alginate on Serum Lipid Composition and Its Single-Dose Toxicity yin Oral Route in Rats)

  • 김육용;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3-178
    • /
    • 2001
  • 저분자 alginate인 HAG-10, HAG-50, HAG-100 및 alginate를 랫드에 35일간 섭취시켰을 때, 혈청중의 지질성분과 동맥경화지수의 측정으로 특성이 가장 좋은 저분자 alginate인 HAG-50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랫드에 경구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혈청중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s 및 phospholipid 함량과 동맥경화지수는$5\%$$10\%$HAG-50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뚜렷히 감소하여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HAG-50의 경구급성독성실험을 검토한 결과, 투여할 수 있는 최고 용량인 랫드 체중 kg당 5.0g의 용량에서도 암$\cdot$수 모두 일반상태의 이상 반응과 폐사 및 병리$\cdot$조직학적 이상을 나타내는 예는 전혀 관찰되지 않아서 $LD_{50}$치의 산출이 불가능하였으므로 HAG-50은 아주 안전한 제재임이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평균분자량 50,000 정도의 저분자 alginate인 HAG-50이 가장 우수한 지질대사 개선효과의 기능적 특성을 발휘하였으며, 경구급성독성실험 에서도 독성이 전혀 없었고, alginate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생리적 기능을 유지 향상시키면서 이용에 제한이 되고 있는 점성을 줄이고 용해도를 높혀서 alginate의 이용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식품소재라고 사료된다.

  • PDF

Genotoxicity Study of Bojungchisup-tang, an Oriental Herbal Decoction-in Vitro Chromosome Aberration Assay in Chinese Hamster Lung Cells and In Vivo Supravital-Staining Micronucleus Assay with Mouse Peripheral Reticulocytes

  • Ryu, Jae-Chun;Kim, Kyung-Ran;Kim, Hyun-Joo;Youn, Ji-Youn;Myung, Seung-Woon;Kim, Gyu-Hyung;Lee, Myeong-Jong;Chang, Il-M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391-397
    • /
    • 1998
  • The toxicity evaluation of oriental herbal drugs is of great concern at present. Bojungchisup-tang (BCST, in Korean), a decocted medicine of oriental herbal mixture, is now well used in clinic at oriental hospitals for the treatment of edema of several diseases in practice. However, the toxicity of the oriental herbal decocted medicines such as genetic toxicity is not well defined until now. In this respect, to clarify the genetic toxicity of BCST, in vitro chromosome aberration assay with Chinese hamster lung (CHL) fibroblasts and in vivo supravital micronucleus assay with mouse peripheral reticulocyte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In the chromosome aberration assay, we used 5,000 $\mu\textrm{g}$/ml BCST as maximum concentration because no remarkable cytotoxicity in CHL cells was observed both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S-9 metabolic activation system.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of chromosome aberrations were observed in CHL cells treated with 5,000, 2,500 and 1,250 $\mu\textrm{g}$/ml BCST for 6 hour both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S-9 metabolic activation. However, very weak positive result (6.5-8.0% aberration) of BCST was obtained in the absence of S-9 metabolic activation system at 5,000 $\mu\textrm{g}$/ml BCST when treated for 24 hour, i.e. 1.5 normal cell cycle time. And also, in vivo clastogenicity of BCST was studied by acridine orange-supravital staining micronucleus assay using mouse peripheral reticulocytes. We used 2,000 mg/kg as the highest oral dose in this micronucleus assay because no acute oral toxicity of BCST was observed in mice. The optimum induction time of micronucleated reticulocytes (MNRETS) was determined as 36 hour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2,000 mg/kg BC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MNRETs between control and BCST treatment groups were observed in vivo micronucieus assay. From these results, BCST revealed very weak positive result in chromosome aberration assay in vitro with CHL cells and no clastogenicity in micronucieus assay in viv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