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ygiene care

검색결과 891건 처리시간 0.024초

칫솔두부크기와 짜는 방법에 따른 일회 세치제 사용량 조사 (A Survey on the Amount used of Toothpaste According to the Size of Head of Toothbrush and Squeezing Method)

  • 배수명;류다영;김희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439-443
    • /
    • 2010
  • 본 연구는 과량의 불소세치제 사용을 예방하기 위하여 만3~6세 아동의 불소세치제 사용량을 비교 평가하고자 충남 홍성군에 위치한 어린이집 5곳의 84명을 대상으로 칫솔두부크기와 세치제 짜는 방법에 따른 세치제량을 비교하였고, 실제적으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구강보건교육자인 치위생과 학생 141명을 대상으로 콩알크기(pea-size)로 짜는 방법과, 소량의 세치제를 묻히는(smear) 방법으로 짠 세치제 양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어린이용 칫솔에 짠 불소세치제의 양은 0.29 g이었고, 성인용 칫솔에 짠 불소세치제의 양 은 0.34 g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작은 크기의 칫솔로 짰을 때 더 적은양의 세치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2. 3-6세 아동이 평소 통상적으로 짜는 방법대로 짠 양이 0.31 g이었고, 콩알크기(pea-size)로 짠 양이 0.21 g이었으며, 소량의 세치제를 묻히는(smear) 방법을 이용하여 짠 양은 0.26 g으로 조사되어, 평소 통상적으로 짜는 방법보다 콩알크기(pea-size)로 짜는 방법이나 소량의 세치제를 묻히는(smear) 방법을 이용하면 더 적은양의 불소세치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3. 치위생과 학생들을 조사한 결과 콩알크기(pea-size)로 짰을 때의 양은 0.23 g이었고, smear 방법을 이용했을 때는 0.15 g으로 조사되어, 소량의 세치제를 묻히는(smear) 방법을 이용했을 때 더 적은 양의 불소세치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4. 아동과 치위생과 학생들의 세치제 짜는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조사한 결과 콩알크기(pea-size)로 짰을 때는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p>0.05), 소량의 세치제를 묻히는(smear)방법으로 짰을 때는 치위생과 학생들이 더 적은양의 불소세치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5. 두부가 작은 칫솔을 사용하면 불소세치제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콩알크기(pea-size)로 짜는 방법과 소량의 세치제를 묻히는(smear) 방법은 불소세치제 사용량의 감소로 부주의한 불소 섭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어린이에게 추천할 수 있다.

도시와 농촌의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건강실태 및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of Immigrant Women in Urban and Rural Areas)

  • 임재란;정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244-225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와 농촌지역 거주 이주여성의 흡연, 음주, 영양 관리, 개인위생, 구강 건강을 비교하고 건강행위 예측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지역사회조사연구에 사용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주여성 128명에게 2011년 11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농촌거주 여성이 도시거주 여성보다 더 많은 건강행위를 수행하였고 거주지역, 교육기간, 직업, 문화 적응 관련 지각된 어려움이 이주여성의 건강행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도시 이주여성이 농촌 이주여성보다 건강행위 유지에 취약하며, 문화적 장애요인도 건강행위 유지를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주여성의 건강행위를 사정하고 문화적으로 적절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개인, 지역사회, 환경적 수준에서의 충분한 고려가 요구된다.

Association of chairside salivary aMMP-8 findings with periodontal risk assessment parameters in patients receiving supportive periodontal therapy

  • Schmalz, Gerhard;Kummer, Max Kristian;Kottmann, Tanja;Rinke, Sven;Haak, Rainer;Krause, Felix;Schmidt, Jana;Ziebolz, Dir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8권4호
    • /
    • pp.251-260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salivary findings of active matrix-metalloproteinase 8 (aMMP-8) chairside (point of care; POC) tests were associated with periodontal risk assessment parameters in patients receiving supportive periodontal therapy (SPT). Methods: A total of 125 patients receiving regular SPT were included, and their records were examined. The following inclusion criteria were used: a diagnosis of chronic periodontitis, at least 1 non-surgical periodontal treatment (scaling and root planning) with following regular SPT (minimum once a year), at least 6 remaining teeth, and clinical and aMMP-8 findings that were obtained at the same appointment. In addition to anamnestic factors (e.g., smoking and diabetes), oral hygiene indices (modified sulcus bleeding index [mSBI] and approximal plaque index), periodontal probing depth simultaneously with bleeding on probing, and dental findings (number of decayed, missing, and filled teeth) were recorded. Salivary aMMP-8 levels were tested using a commercial POC test system (Periomarker, Hager & Werken, Duisburg, German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t-test, Mann-Whitney U test, Fisher's exact test, and ${\chi}^2$ test, as appropriate (P<0.05). Results: Only the mSBI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sitive salivary aMMP-8 findings (aMMP-8 positive: $27.8%{\pm}20.9%$ vs. aMMP-8 negative: $18.0%{\pm}14.5%$; P=0.017).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found between aMMP-8 and smoking, diabetes, periodontal parameter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maintenance interval (P>0.05). Conclusions: Salivary aMMP-8 chairside findings were not associated with common parameters used for periodontal risk assessment in patients receiving SPT. The diagnostic benefit of POC salivary aMMP-8 testing in risk assessment and maintenance interval adjustment during SPT remains unclear.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환아의 증례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CASE REPORT)

  • 소정원;라지영;이광희;안소연;김윤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82-487
    • /
    • 2010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학령기 어린이의 가장 흔한 정신장애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ADHD 어린이들은 자극에 선택적으로 오래 집중하는 것을 어려워하고, 말이 많거나 허락 없이 자리에서 일어나고 뛰어다니며, 팔과 다리를 끊임없이 움직이는 등 활동 수준이 높다. 또한 충동적인 성향이 있어서 넘어지거나 사고를 당하는 경우도 많다. 이에 치과치료 시 행동조절, 구강위생, 외상 등의 문제를 예상할 수 있는 바, 치과의사의 관심이 증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증례는 ADHD로 진단받은 만 8세 여아로 약물진정 및 심리적인 행동조절법을 이용해 치과적 주소를 해결해 주었고, 문헌고찰을 통해 다소의 지견을 얻었다.

대구소재 한 노인요양병원 입원환자들의 구강상태와 저작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ntal Health and Chewing ability of Patients Hospitalized in Geriatric Hospital of Daegu)

  • 박수철;정명희;최성미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7-246
    • /
    • 2011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dental health and chewing ability of patients hospitalized in geriatric hospital, and compares the chewing ability for each factor that can be used as data for dental healthcare of senior citizens and basic data for denture insurance for the elderly. Methods: The 101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178 patients hospitalized in a geriatric hospital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excluding 77 patients who were being treat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who were unable to communicate. The chewing ability of the patients were measured using an evaluation scale based on foods consisting of 10 different hardnesses. Results: Patients with less than 21 teeth, those with dentures and patients who were less than satisfied with their dental conditions had difficulties in chewing hard food such as dried squid and radish kimchi, and the Chewing ability in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p<0.001), appropriateness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dentures(p<0.005) and the level of dental satisfaction(p<0.001). Conclusion: This study is limited as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a single hospital and the authors estimate that various studies will be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hewing ability of patients hospitalized in long-term hospita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did not receive any dental treatment while staying in the hospital and many of the subjects had bad fit denture or didn't have dentures or did not use dentures, although they have dentures, which calls for denture construction and prosthetics through dental treatment.

치주질환에 이환된 환자에서 구치 상실 치열 수복을 위한 임플란트 수복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for the rehabilitation of distal free end in periodontally compromised dentitions Number of fixtures affecting bone tissue change)

  • 이승원;김영수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1호
    • /
    • pp.53-63
    • /
    • 2005
  • Number of fixtures supporting prosthesis for rehabilitation of partial edentulism in distal area is an important factor in distal area to the bone tissue response around dental implant. Optimal number and optimal positioning of dental implant has leaded to the stable condition of bone tissue and successful long-term treatment outcome. This clinical and radiographic study was performed to document and evaluate the short-term result of occlusal rehabilitation by means of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ISPs) especially for partial edentulism in distal area in patients treated for advanced periodontal disease and to verify the number of fixture affecting the bone tissue response. A total of 30 consecutive patients referred because of advanced periodontal disease were included. Before the implant therapy was initiated, periodontal treatment was performed and the outcome evaluated during at least a 6-month period. An individual maintenance care program was designed for each patient. All 75 implants were placed using a 2-stage surgical approach.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in one of which two fixtures were placed and in the other of which three fixtures were placed with tripodal geometry. Following installation of the ISPs, all patients underwent a baseline examination including evaluation of i) oral hygiene, and ii) periodontal/ peri-implant conditions, and iii) radiographs. These examinations were repeated annually during the 1 or 2-year observation peri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No single implant was lost during the observation follow-up period. 1.The percentage of plaque harboring surfaces and bleeding units upon probing were found to be low (<10%), and no soft tissue complications were recorded. 1.Two-fixture group showed bone destruction ranged from 0.0mm to 1.5mm and the mean was 0.31mm. Three-fixture group showed more bone destruction of 0.51mm.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factor for success is not the number of fixture but the strict maintenance of peri-implant tissue health and initial stability of fixture.

다발성 무치근 치아에 대한 치과적 처치 (DENTAL CARE FORE MULTIPLE ROOTLESS TEETH : A CASE REPORT)

  • 이미숙;이긍호;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6-322
    • /
    • 2001
  • 감각신경아세포종으로 생후 1년 6개월부터 약 1년간 6주기의 화학요법과 생후 1년 6개월에 29회에 걸친 방사선 조사(AP 4540 R+LAT 1080 R : total 5620 R)를 받은 후, 후유증으로 상악치아 및 상악골의 발육장애를 보이는 10세 남아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관찰 및 치료 후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성장중인 어린이에서 악성종양의 치료를 위한 방사선 조사는 연조직 및 경조직(골, 연골, 치아)등의 성장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시술 전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2. 치배의 손상은 치관 및 치근의 형성장애를 유발하고 이에 따라 치조골의 성장장애가 나타나므로 치근이 없는 치아일지라도 치조골의 흡수를 억제하기 위하여 hawley type의 부분의치 등을 이용하여 잔존시켜야 한다. 3. 향후 성장이 완료된 이후(만 18세 이상)에 무치근 치아 및 무치악 부위에 틀니(denture)나 임플란트 등의 보철수복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상악 완전 무치악에서 $Locator^{(R)}$ attachment가 장착된 milled titanium 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 증례 보고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 using Milled Titanium Bar with $Locator^{(R)}$ Attachment on Fully Edentulous Maxillae : A Case Report)

  • 오상천;한지석;김민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2호
    • /
    • pp.223-231
    • /
    • 2011
  • 본 증례 보고의 목적은 상악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를 위한 $Locator^{(R)}$ attachment가 장착된 새로운 milled titanium bar를 소개하고 새로운 대안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56세 남자 환자가 상악 고정성 보철물(10-유닛 브릿지)의 동요도를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악관절 및 치과 치료에 영향을 줄만한 특이한 전신병력은 없었다. 방사선 검사 및 임상 검사 결과, 상악의 경우 모든 잔존치아에서 심한 골흡수와 동요도를 보이고 있어 전악 발치를 시행한 후,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를 제작하기로 하였다. 의치의 안정성과 유지력, 저작효율, 청소의 용이성, 심미성과 발음 그리고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Locator^{(R)}$ 어태치먼트를 CAD/CAM으로 제작된 milled titanium bar에 탭핑(tapping)으로 연결시키는 새로운 디자인을 고안하였으며, 1년 이상 경과 후, 기능과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근로자의 건강행위실천과 직업특성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lth Behavior Practice and Jab Characteristics on Periodontal Disease of Employees)

  • 이병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45-15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자의 건강행위실천 및 직업적 특성과 치주질환 간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근로자의 구강건강 증진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만 19세 이상 총 1,737명의 근로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근로자의 건강행위실천에 따른 치주질환 위험도는 흡연, 비만,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업특성에 따른 치주질환 위험도에서는 직업의 종류, 근무상태, 정규직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근로자의 치주질환은 건강행위실천과 사회경제적 수준에 영향을 받기에 근로자의 건강행위실천을 위한 사업주들의 적극적인 관리와 저소득층을 위한 구강보건의료정책 개발을 통한 의료서비스 양극화 해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틀니 보험적용에 따른 지역간 차이와 이용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Interregional Actual State and Influential Factors after the Application of Denture Insurance)

  • 박일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401-409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 및 강원지역 만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틀니 건강보험 급여화에 따른 지역간의 차이와 틀니이용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다. 자료는 '2015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서울지역 노인과 강원지역 노인의 틀니이용행태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성별에 따른 틀니이용행태는 강원지역 노인에게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 가구소득, 기초생활수습여부, 직업, 교육수준, 주관적 구강건강에 따라 서울지역과 강원지역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치과진료미수진 경험여부에 서울지역 노인의 16.6%, 강원지역 노인의 22.3%가 예라고 응답하였으며, 필요치과진료 미수진 사유로는 서울지역과 강원지역 모두 경제적인 이유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다각적 측면을 고려하여 노인틀니 건강보험 급여화 사업이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과 대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