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ealth care education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27초

우리나라 임상간호사의 당뇨병 지식 및 지식 확산도 조사연구 (Knowledge and Diffusion of Knowledge for Nursing Care of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mong Clinical Nurses)

  • 홍명희;유주화;김순애;이정림;노나리;박정은;구미옥
    • 임상간호연구
    • /
    • 제15권3호
    • /
    • pp.61-74
    • /
    • 2009
  • Purpose: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it is important for clinical nurses to accept changes in diabetes knowledge and correct their approach immediately. This approach will also contribute to effective nursing practice. Methods: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knowledge and diffusion of knowledge for nursing care of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mong clinical nurses. It was conducted with nurses from 29 general hospitals in Korea from November 3 to December 5, 2008.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29 items and it was sent to the participants by mail. Of the 1,060 questionnaires returned, only 930 were valid for use in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1) The average score for clinical nurses' knowledge of diabetes mellitus was 0.67 out of 1.0. 2) The level of persuasion of knowledge for nursing care of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veraged 0.64 out of 1.0 3) The level of practical application of knowledge for nursing care of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veraged 1.05 out of 2.0, indicating that they applied their knowledge 'sometimes'. 4) The level of diffusion of knowledge for nursing care of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was 2.37 out of 4.0 and level was estimated as the stage of 'persuasion'.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ing knowledge of diabetes mellitus, according to experience in practical education for diabetes mellitu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nurses with a lower level of knowledge of diabetes mellitus have a lower level of persuasion of knowledge for nursing care of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nd lower practical application. To improve the level of nurses' knowledge of diabetes mellitus, practical training programs are needed for areas in which knowledge level is low, such as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oral diabetes medication', and 'glucose control in special conditions'.

H시 초등학교 학동의 제 1대구치 치아우식 실태조사 연구 (A Study on the Conditions of Dental Caries on the First Molar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 City)

  • 김응권;임순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9-94
    • /
    • 2002
  • 치아상실의 주 원인인 치아우식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구강병으로 인한 구강건강을 저해하는 요인이 없도록 구강보건사업을 계획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얻고자 경기도 화성시의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 4. 1~4. 30일 까지 실시한 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검토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피검자 수는 총 조사대상자 2710명 중 남자 1363명, 여자 1347명으로 남자가 높았다. 2. 1개 이상 우식 경험 영구치 보유자 수는 총 조사대상자 2710명 중 598명이며 남자는 274명, 여자는 324명이였다. 3. 피검 영구치아의 수는 총 6029개의 치아 중 남자는 2864개 치아, 여자는 3165개 치아로 여자가 더 많았다. 4. 우식 영구치아의 수는 총 피검 치아의 수 6029개의 치아 중 1106개의 치아이며 남자는 508개의 치아, 여자는 598개의 치아이다. 5. 우식치아에 대한 처치 영구치아의 수는 총 우식 영구치아의 수 1106개의 치아 중 170개의 치아로 15.4%이며, 남자는 67개의 치아로 13.2%이고, 여자는 103개의 치아로 17.2% 이었다. 6. 성별 영구치우식 경험률은 남.녀 모두 22.1%이며, 남자는 20.1%, 여자는 24.1% 이었다. 7. 성별 우식 경험 영구치율은 남.녀 모두 21.2%이며, 남자는 20.1%, 여자는 22.1% 이었다. 8. 성별 우식 경험 영구치 지수는 남.녀 모두 0.5개이며 남자는 0.4개, 여자는 0.5개 였다. 9. 성별 우식 영구치율은 남.녀 모두 86.7%이며 남자는 88.3%, 여자는 85.3% 이었다. 10. 성별 처치 영구치율은 남.녀 모두 13.3%이며 남자는 11.7%, 여자는 14.7% 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학동의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고 발생된 치아우식증을 조기에 치료하기 위하여는 모든 초등학교에 학교 구강 보건실을 설립하여 초등학교들이 구강병으로 인한 학업손실과 활동제한은 물론 이로 인한 영양장애의 불균형 등을 막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반드시 지역사회 공공 의료기관인 보건소 구강보건실의 핵심사업으로 지역주민들에게 특히 저 연령층에게 치아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구강보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본 연구는 모든 구강보건인력이 쉽게 이해하여 활용할 수 있는 구강검사 기준 및 구강보건 실태조사를 기획하고 수집한 자료를 정리하여 분석하는 과정에 필요한 실질적 보조자료를 얻는 방법이 구강보건 통계학의 핵심적인 내용이라는 것에 중점을 두었으며 각 변수간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지 않았으므로 차후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경우 더 보완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치과위생사의 수행업무의 중요성·업무에 대한 교육훈련의 필요도와 만족도 조사연구 (Importance of Job Tasks, Job Training Requirement and Work Satisfaction felt by Dental Hygienists)

  • 강용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3
    • /
    • 2005
  • The study aimed to estimate the importance of job tasks, job training requirement and work satisfaction felt by dental hygienists to help dental hygienists work efficiently and effectively. A total of 142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hospitals located in J participated in the study. A SPSS 10.10 for Window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alpha}$=.05.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the importance of job tasks was 4.09. The respondents considered dental clinic management and assistance to dentists the most important among their job descriptions showing the mean score of 4.44. The need for job training was 4.15 in average. The respondents wanted to have training on how to make a dental health insurance claim to receive payment other than any training with the mean score of 4.42. The work satisfaction of the respondents was 3.65 in average. The respondents were most satisfied with their work in dental assistance. 2. By the category of job tasks, the levels of importance of job tasks, job training requirement and work satisfaction were higher in plague removal with an ultrasonic scaler related to clinical oral prophylaxis, pit and fissure sealants related to preventive dental treatment and instruction in the correct usage of toothbrush related to public dental health education 3. In dealing with dental radiation machines, the radiation protection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While the training for periapical radiography was most needed,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working in the same area. The levels of job importance, training requirement and work satisfaction were high in preventive dental care in the community performed in relation to the public dental health care. 4. In the dental health insurance claim category, the levels of importance of job task, training requirement and work satisfaction were higher in insurance claiming. The levels of job importance and training requirement were high in dental clinic management and assistance to dentists performed for preventive dental treatment. The work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intaining medical chart records. The levels of job importance, training requirement and work satisfaction were higher in dental assistance in relation to dental protection. 5.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importance and work experience. Those with a longer period of work experience had higher levels of job importance in dental health insurance claim, dental clinic management and assistance to dentists and the overall task(pE0.05). 6.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he need for job training in dental cleaning and preventive dental treatment and work experience. Those with more than 8 years of work experience demonstrated that job training is most needed(pE0.05). 7. The work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more than 8 years of work experience, compared with those in other work experience periods(pE0.05). 8. A positive correlation was seen between the level of importance and the need for job training among three variables.

  • PDF

Dental Hygienist Coordination System 개발 교육주제 요구조사 (A Survey on the Demand of Education topic for the Development of Dental Hygienist Coordination System)

  • 이윤정;우희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49-356
    • /
    • 2010
  • 의료시장의 개방과 더불어 의료기관의 경쟁력확보를 위한 핵심전략으로 환자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업무능력향상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수행업무인식과 교육요구주제를 조사 분석하여 Dental Hygienist Coordination System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비례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광주광역시 85개 치과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156명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하여 설문법을 이용하여 조사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코디네이터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교육과정별 우선순위 요구과목으로 서비스분야에서는 코디네이터이론과 실무(유무:상담 및 교육실무), 코디네이터를 위한 기초(유무:의학용어), 코디네이터를 위한 원무관리(유무:건강보험), 시설 및 환경관리(유:환경관리, 무:감염관리)이고, 매니저분야에서는 의료서비스마케팅(유무:의료환경과 고객특성, 의료서비스마케팅), 조직인사관리(유무:병원조직), 회계 및 재무관리(유무:병원회계), 건강보험실무(유:진료비청구관리, 무:진료비산정)으로 조사되었다(p>0.05). 2. 코디네이터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교육요구과목 차이를 분석한 결과, 코디네이터이론과 실무 0.14, 건강보험실무와 의료서비스마케팅 0.13이고, 인사관리 - 0.23, 코디네이터를 위한 의료기초 -0.19로 조사되었다(p>0.05). 3. 코디네이터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교육요구주제는 경험자군과 비경험자군 모두 상담 및 교육실무로 나타났으며, 교육경험자군과 비교육경험자군의 차이를 보면 고객접점관리 0.25, 고객응대기법 0.24로 조사되었다(p>0.05). 이상과 같은 결론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교육과목인 코디네이터 이론과 실무, 건강보험 실무에서 진료비 청구관리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포함한 Dental Hygienist Coordination System(D.H.C.S)개발에 필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지역주민의 구강보건인식도 및 치과의료 이용양상 (Knowledge and Pattern of Dental Health Care of the Community People)

  • 김일준;남철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4-60
    • /
    • 1993
  • This study was done for the improvement of dental health of rural villagers and the dental health education, through finding of the types of brushing teeth and dental treatment of 812 people in Sunsan, Kyungpook province for 35days from March 27 to April 30 in 1992. Summaries are as follows ; 1. 58.5 percent of respondents were women, 56.3 percent were 40′s, 28.0 percent were 30′s, 12.3 percent were 50′s, and the over 60′s were 3.4 percent Elementary school graduates were 36.1 percent and most of them were middle school graduates, 33.5 percent. In view of the occupation, farmers were 56.5 percent, factory workers were 17.9 percent, the middle class (monthly pay amounting to 500,000∼990,000 won) were 49 percent and the lower class(less than 500,000 won) were 30.9 percent. In the standpoint of religion, Buddhists were 42.5 percent. 2. In the number and times of respondents brushing, 35.5 percent is "after dinner", 25.6 percent is "Before going to bed", 15.8 percent is "After breakfast", 13.3 percent is "After every meal", 5.2 percent is "Before breakfast" and 4.7 percent is "The sometimes it occurs to them". 3. The acquirement process of knowledge on the dental health were clinics or health center dentists (27.6%), TV(24.5%), magazine(9.2%), school(7.8%), relatives(5.3%). and 25.6 percent has never acquired. 28.3 percent of the farmers learned something by clinics and 28.1 percent of them haven′t heard about dental health. 4. The rate of persons who experienced oral diseases during 1 year period was 76.1 percent, and that of the educated was 19.9 percent and that of the uneducated 80.1 percent. The authorities concerned with treatment were dentist′s(41.6%), health center(30.3%), and the unlicensed person(2.9%). The rate of negligence was 6.3 percent, farmers experienced oral disease was 75.2 percent and they utilized the health center most often(36.2%). 5. The rate of person who had experienced dental prosthesis during ten year period was 71.9 percent, and the final place or man for dental prosthesis was dental clinic(59.4%), the unlicensed person(27.1%), and health center(13.5%). The rate of farmers experienced dental prosthesis was 70.4 percent. They utilized the dental clinic, the unlicensed person and the health center with the rates of 51.5 percent, 32.2 percent, and 16.7 percent respectively. 6. As to the results of dental prosthesis using the dental clinic, "being satisfied now" was 72.4 percent, "being dissatisfied" 14.4 percent, "being unable to use it" 3.1 percent, "its being somewhat usable" 10.1 percent, "having some problem" 38.7 percent, and "there being no problems" 61.3 percent. About utilizing the unlicensed person, "being satisfied now" was 65.8 percent, "being dissatisfied" was 10.7 percent, "being unable to use it" 5.1 percent and "its being some what usable" was 18.4 percent. 7. The rate of missing teeth holders amounted to 89.8 percent, the rate of the educated to the uneducated was 19.2 percent to 80.8 percent The reasons of neglecting that illness were due to "Endurable"(28.3%), and "No money" (24.3%). In the case of farmers 89.1 percent of them were the missing-teeth holders, the "Endurable" were 29.8 7. percent, and "No money" lay in 27.4 percent. 8. Their hopeful centers for dental prosthesis were the dental clinics(76.6%), and the health center(16.9%).

  • PDF

일부 시판음료의 영양성분, 당도 및 pH 평가 (Assessment of Nutrient and Sugar Content and pH of Some Commercial Beverages)

  • 전미경;이덕혜;이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64-471
    • /
    • 2016
  • 음료 섭취의 증가는 비만, 당뇨, 심혈관계질환 등 각종 성인병 발생과 같은 전신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아우식증과 치아침식증과 같은 구강질환의 원인으로도 구강건강에 있어 가장 큰 위험요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영양교육에 있어 음료 선택 시 영양표시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음료 섭취에 따른 구강건강 관련된 영양성분 및 위험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총 7종 52개로 탄산음료 14제품, 혼합음료 13제품, 과채 음료 11제품, 유음료 5제품, 과 채주스 4제품, 액상커피 3제품, 액상차 2제품이 본 연구에 사용되었으며, 음료의 영양성분표시, 당도, pH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영양성분표에 의한 음료 1회제공량 당 당류의 함량 분석결과, 유음료가 26.6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액상차가 13.0 g으로 가장 낮았다. 당류의 에너지 섭취량을 10% (50 g)미만으로 분석한 결과, 유음료와 탄산음료가 각각 53.2%DV, 50.0%DV로 1회 제공량 당 50% 이상의 당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도 조사에서는 유음료가 18.3%로 가장 높았으며, 과 채주스 12.2%, 탄산음료 10.3%, 액상차 9.7%, 과 채음료 9.0%, 혼합음료 8.0%, 액상커피 6.5% 순이었다. 음료의 pH측정 결과 탄산음료가 3.0으로 가장 강한 산성을 나타내었고, 유음료는 6.8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구강보건교육 시 영양교육에 있어 영양표시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 및 음료 섭취에 따른 구강질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알맞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치위생과 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도에 관한 조사연구 (The Survey of Dental Hygiene Student's Consciousness about the Disabled)

  • 곽정숙;김윤정;우승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241-247
    • /
    • 2009
  • 본 연구는 장애인 구강관리를 담당할 치위생과 학생들의 교육 방향성을 제시하고, 장애인에 대한 건전한 인식도를 높이고자, 전남지역에 소재한 3개 대학 치위생과 학생 5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장애인 구강관리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결과 친구나 가족 중에 장애인이 있는 경우나, 장애시설에서 봉사활동 또는 구강보건활동 경험이 있는 경우는 장애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특히 장애인 구강보건활동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장애인 구강보건에 더욱 긍정적인 태도를 내타내었다. 이에 장애인 접촉의 기회를 늘려 장애인과의 거리감을 좁히고, 장애인 구강관리에 더욱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으며, 뿐만 아니라 장애인 환자 진료 시 가장 문제점이 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장애인 치료에 대한 경험부족, 장애인 치료에 대한 지식 부족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87.5%가 교육이 필요하다 하였고 교육의 형태는 이론과 실습의 병행 교육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한 국가에서도 장애인 구강보건에 대한 체계적인 정책을 수립하여 장애인 구강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장애인 진료에 소요되는 많은 시간과 노력에 보상할 수 있는 의료보험제도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한국 노년층의 과거흡연기간과 상실치아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 smoking period and tooth loss in Korean elderly)

  • 유상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9-14
    • /
    • 2018
  • 본 연구는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한국 노년층을 대상으로 과거흡연기간과 상실치아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조사 대상은 만 65세 이상 노인 4,037명(남자 1,737명, 여자 2,300명)이었다. 통계분석은 SPSS/WIN 22.0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산출한 후 복합표본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종속변수로 사용된 한국 노년층의 평균 상실치아는 11.14개로, 이를 기준으로 11개 미만과 11개 이상으로 재분류하였다. 과거흡연 기간에 따른 상실치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과거흡연기간 10년 미만을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과거흡연기간이 30년 이상이 상실치아가 11개 이상일 위험성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과거흡연기간이 30년 이상인 경우 상실치아가 평균보다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금연정책과 금연교육을 통해 지속적인 구강건강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fluence of size-anatomy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on the biomechanical performance of post-and-core restoration with different ferrule heights

  • Domingo Santos Pantaleon;Joao Paulo Mendes Tribst;Franklin Garcia-Godoy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6권2호
    • /
    • pp.77-90
    • /
    • 2024
  • PURPOSE.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ferrule effect and types of posts on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ree morphological types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MATERIALS AND METHODS. Nine models were created for 3 maxillary central incisor morphology types: "Fat" type - crown 12.5 mm, root 13 mm, and buccolingual cervical diameter 7.5 mm, "Medium" type - crown 11 mm, root 14 mm, and buccolingual cervical diameter 6.5 mm, and "Slim" type - crown 9.5 mm, root 15 mm, and buccolingual cervical diameter 5.5 mm. Each model received an anatomical castable post-and-core or glass-fiber post with resin composite core and three ferrule heights (nonexistent, 1 mm, and 2 mm). Then, a load of 14 N was applied at the cingulum with a 45° slope to the long axis of the tooth. The Maximum Principal Stress and the Minimum Principal Stress were calculated in the root dentin, crown, and core. RESULTS. Higher tensile and compression stress values were observed in root dentin using the metallic post compared to the fiber post, being higher in the slim type maxillary central incisor than in the medium and fat types. Concerning the three anatomical types of maxillary central incisors, the slim type without ferrule height in mm presented the highest tensile stress in the dentin, for both types of metal and fiber posts. CONCLUSION. Post system and tooth morphology were able to modify the biomechanical response of restored endodontically-treated incisors, showing the importance of personalized dental treatment for each case.

건강보험의 치석제거 급여 범위 확대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Dental Scaling)

  • 황윤정;조영식;이수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20-62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의 치석제거 급여범위 확대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2014년 4월 1일부터 30일까지 한 달간 일부지역 만 20세 이상 성인 608명을 설문조사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대상자는 건강보험 급여범위 확대 후 치석제거 인지여부 비교에서는 '알고 있다'라는 집단이 76.9%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과 월수입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치석제거 시술에 대한 만족도, 재 이용, 권유의사에서는 학력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석제거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졸 미만과 치과위생사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방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타인에게 권유나 검색으로 내원하였을 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유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대졸 미만과 타인에게 권유를 받았거나 검색으로 내원하였을 때, 그리고 치과위생사가 치석제거를 시행하였을 때와 치석제거 전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였을 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치과위생사가 치석제거 전에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환자의 만족도와 권유의사가 높았던 것으로 보아 치과위생사는 술식 전에 미리 환자와의 유대관계 형성을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며, 또한 치과위생사의 고유 업무인 치석제거의 질적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추후 치석제거 만족도 향상을 위한 요구도를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