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mal regulator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 of Gibberellin Treatment on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in the Cultivation of Aquilegia japonica Nakai & H. Hara

  • Oh, Hoon Geun;Lee, Joung Won;Lee, Gyeong Ja;Park, Jae Seo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91-596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gibberellin treatment technique to enhance flower initiation in Aquilegia japonica Nakai & H. Hara. Seedlings were planted in 12cm-diameter pots on October 2016 and grown in green house. Ambient temperature in the green house was set at minimum $15^{\circ}C$ during day and night to suppress flower initiation at cold temperature condition. Two different types of gibberellin, $GA_3$ and $GA_{4+7}$, at 4 different concentration levels 100, 200, 400 and 600 mg/L, were tested in this study. Gibberellin was sprayed first at planting and secondly at 1-week after planting. Ten to fifteen ml of gibberellin was sprayed for each pot. Plant height and petiole length were elongated by both gibberellin types, flowering was more enhanced by $GA_3$ (91.7~100%) compared to of $GA_{4+7}$. However, abnormal flower was less observed in $GA_3$ treatment (0~16.7%) than $GA_{4+7}$. Number of flower stalks per plant ranged from 1.9 to 2.5. Number of flowers per plant ranged from 6.8 to 10.3. Differences in flowering characteristics between treatm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ptimal gibberellin treatment to enhance flower initiation in A. japonica Nakai & H. Hara substituting cold treatment was $GA_3$ at the concentration between 400 mg/L to 600 mg/L.

붉나무 캘러스 유도 및 그 추출물로부터 피부미백 효과에 관한 연구 (Induction and Proliferation of Callus in Rhus chinensis Mill. and Its Effect on Skin Whitening)

  • 김동명;정주영;이형곤;권용성;백진홍;이관호;장진훈;한인석
    • 생약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02-309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ptimize the condition for induction and proliferation of callus from Rhus chinensis Mill. and investigate the skin-brightening effect of Rhus chinensis callus (RCC).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proper plant growth regulator (PGR) for callus induction is 1.0 mg/L of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The most optimal condition of PGR, medium and additives for callus proliferation were 2,4-D (1.0 mg/L), MS medium and citric acid, respectively. Inhibitory activities of tyrosinase were higher at 50 and 100 ㎍/mL of RCC extracts (41.86 and 75.56%, respectively) than arbutin (27.32%). As the results of measuring melanin inhibition in B16F1 melanocyte and B16F10 melanoma cell, RCC extracts increased its inhibitory activities concentration-dependently, and were found to have higher whitening effect than arbutin at a concentration of 100 ㎍/mL.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RCC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aterial for skin-brightening cosmetics.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Is Necessary for the Specification but Not the Maintenance of the Mouse Retinal Pigment Epithelium

  • Jong-Myeong Kim;Kwang Wook Min;You-Joung Kim;Ron Smits;Konrad Basler;Jin Woo Kim
    • Molecules and Cells
    • /
    • 제46권7호
    • /
    • pp.441-450
    • /
    • 2023
  • β-Catenin (Ctnnb1) has been shown to play critical roles in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epithelial cells, including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 Ctnnb1 is not only a component of intercellular junctions in the epithelium, it also functions as a transcriptional regulator in the Wnt signaling pathway. To identify which of its functional modalities is critically involved in mouse RP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we varied Ctnnb1 gene content and activity in mouse RPE lineage cells and tested their impacts on mouse eye development. We found that a Ctnnb1 double mutant (Ctnnb1dm), which exhibits impaired transcriptional activity, could not replace Ctnnb1 in the RPE, whereas Ctnnb1Y654E, which has reduced affinity for the junctions, could do so. Expression of the constitutively active Ctnnb1∆ex3 mutant also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RPE, instead facilitating a ciliary cell fate. However, the post-mitotic or mature RPE was insensitive to the loss, inactivation, or constitutive activation of Ctnnb1. Collectively, our results suggest that Ctnnb1 should be maintained within an optimal range to specify RPE through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Wnt target genes in the optic neuroepithelium.

alpha 1,3-galactosyltransferase 기능 제거 및 MCP 발현 형질전환 돼지의 대동맥 혈관내피세포에 CD37/CD73 발현 세포주 개발 (Development of aortic endothelial cells to express CD37 and CD73 isolated from alpha 1,3-galactosyltransferase knock-out and MCP expressing pig)

  • 노진구;변승준;양현;옥선아;우제석;이휘철;황인설;김지윤;박상현;이주영;오건봉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29-137
    • /
    • 2018
  • Acute vascular rejection has been known as a main barrier occurring in a xenograted tissue of alpha 1,3-galactosyltransferase knock-out (GalT KO) pig into a non-human primate (NHP). Adenosine which is a final metabolite following sequential hydrolysis of nucleotide by ecto-nucleotidases such as CD39 and CD73, act as a regulator of coagulation, and inflammation. Thus xenotransplantation of CD39 and CD73 expressing pig under the GalT KO background could lead to enhanced survival of recipient NHP. We constructed a human CD39 and CD73 expression cassette designed for endothelial cell-specific expression using porcine Icam2 promoter (pIcam2-hCD39/hCD73). We performed isolation of endothelial cells (pAEC) from aorta of 4 week-old GalT KO and membrane cofactor protein expressing pig ($GalT^{-MCP/-MCP}$). We were able to verify that isolated cells were endothelial-like cells using immunofluorescence staining analysis with von Willebrand factor antibody, which is well known as an endothelial maker, and tubal formation assay. To find optimal condition for efficient transfection into pAEC, we performed transfection with GFP expression vector using four programs of nucleofection, M-003, U-023, W-023 and Y-022. We were able find that the program W-023 was optimal for pAEC with regard to viability and transfection efficiency by flow cytometry and fluorescent microscopy analyses. Finally, we were able to obtain $GalT^{-MCP/-MCP}/CD39/CD73$ pAEC expressing CD39 and CD73 at levels of 33.3% and 26.8%, respectively. We suggested that pACE isolated from $GalT^{-MCP/-MCP}$ pig might be provided as a basic resource to understand biochemical and molecular mechanisms of the rejections and as an alternative donor cells to generate $GalT^{-MCP/-MCP}/CD39/CD73$ pig expressing CD39 and CD73 at endothelial cells.

대형구조물의 진동 감소를 위한 슬라이딩 모드 퍼지 제어기의 설계 (Design of Sliding Mode Fuzzy Controller for Vibration Reduction of Large Structures)

  • 윤정방;김상범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63-74
    • /
    • 1999
  • 대형구조물의 진동감소를 위한 슬라이딩 모드 퍼지 제어기(Sliding Mode Fuzzy Control SMFC)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제어기에 사용된 퍼지 추론기의 규칙은 비선형 제어기법의 하나인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기반으로 하여 구성되었다 그결과 제어기의 퍼지성은 제어시스템을 시스템 계수의 불확실성과 구조물에 작용되는 외부하중의 불확실성에 대하여 강인한 성질은 갖게 하였으며 제어 규칙의 비선형성으로 인하여 제어기는 선형제어기에 비하여 보다 효율적인 되었다 복잡한 수학 해석에 기반한 종래의 제어기법에 비하여 퍼지 이론에 기반한 본 제어기법은 제어기의 설계절차가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제안된 제어기법의 검증을 위하여 미국 토목학회 산하 구조제어위원회(ASCE Committee on Structural Control)에서 주도한 벤치마크 문제에 대하여 적용시켜 보았다 본 연구의 제어결과를 다른 연구자들에 의하여 발표된 {{{{ ETA _mixed _2$\infty$ }}, optimal polynomial control neural networks control 슬라이딩 모드 제어의 벤치마크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된 제어기법이 구조물의 진동을 매우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며 제어기의 설계절차가 쉽고 편리함을 확일 할 수 있었다.

  • PDF

조직배양을 이용한 우단일엽의 대량번식을 위한 전엽체와 포자체의 적정 배양조건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Masspropagation of Gametophytes and Sporophytes of Pyrrosia linearifolia by Tissue Culture)

  • 신소림;이철희
    • 화훼연구
    • /
    • 제18권3호
    • /
    • pp.179-18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단일엽(Pyrrosia linearifolia)의 전엽체 및 포자체의 생활환을 이용한 주년 대량번식체계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엽체 증식 및 포자체를 이용한 식물체 재생에 미치는 기내 환경요소를 구명하였다. 전엽체 증식은 2MS배지에서 가장 왕성하였다. 질소급원 또한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식율과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120mM 첨가구에서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다. 전엽체 증식에 가장 적합한 sucrose의 첨가농도는 3%였다. IAA, NAA, BA 및 kinetin을 $5{\sim}20{\mu}M$정도 첨가하는 것은 전엽체의 생육을 촉진하였으나, 2iP는 전엽체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액체배지에서는 전엽체의 생육이 억제되었으나, 진탕배양했을 때에는 고체배지와 증식량이 유사하였으며, 생식기관 또한 정상적으로 형성되었다. 포자체의 엽신과 근경의 절편을 다져서 배양한 결과, 근경 절편에서만 포자체가 재생되었다. 곱게 다진 근경의 절편은 1/8MS배지에서 포자체 재생이 가장 왕성하였으나, 재생된 포자체의 생육은 1/2MS배지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1/8MS배지에서 포자체 재생 및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적정 sucrose의 첨가 농도는 1%이며, $NaH_2PO_4$$50{\sim}100mg{\cdot}mL^{-1}$ 첨가하는 것은 균질배양한 근경의 절편에서 포자체가 형성되는 것을 촉진하였다.

지베렐린 처리에 의한 '설향' 딸기 러너플랜트의 생장과 발육 촉진 (Promotion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Seolhyang'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Runner Plant by Gibberellin Treatment)

  • 김은지;김치선;정현수;이준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95-301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설향' 딸기의 러너플랜트 활용 시 생육 및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정 지베렐린 침지시간과 농도 구명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딸기 러너플랜트는 11월 10일에 채취했으며, 50, 100, 150mg·L-1 농도의 GA3에 각각 30, 60분 침지 처리하였다. 삽목 75일 후 생육은 30분, 50mg·L-1 처리에서 관부직경이 굵고 T/R율이 작아 식물체 활력이 우수했다. 러너 길이는 지베렐린 농도가 낮을수록 길어져 영양생장으로 의 유도가 많이 이루어졌다. 광합성 효율은 침지시간보다 지베렐린 농도의 영향이 더컸으며, 일정 농도 이상으로 사용하게 되면 딸기 러너플랜트의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여 광합성 효율이 감소하였다. 묘 생육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50mg·L-1 농도의 지베렐린에 30분 침지하는 것이 적정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딸기 러너플랜트의 생육과 품질 향상을 위한 지베렐린 처리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지베렐린을 이용하기 위한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자생 산수국(Hydrangea serrata)의 발근에 미치는 IBA와 NAA의 영향 (Effects of IBA, and NAA on the Rooting of Wild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 류미진;박병모;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97-402
    • /
    • 2010
  • 자생 산수국의 대량번식을 위하여 삽목에 적합한 생장조절물질의 종류 및 농도와 침지시간이 삽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생 산수국의 숙지 삽목시 생장조절물질인 IBA와 NAA를 저농도($10{\sim}250\;mg{\cdot}L^{-1}$) 및 고농도($500{\sim}3,000mg{\cdot}L^{-1}$)로 침지시간을 각각 다르게 처리하여 삽목 한 후 42일(6주)째 발근율, 발근수, 근장, 엽장, 엽폭를 조사하였다. IBA처리의 경우 발근수, 근장, 엽장, 엽폭은 저농도($50{\sim}250\;mg{\cdot}L^{-1}$)일때 우수하였다. 그 중 IBA $50mg{\cdot}L^{-1}$ 3시간 침지처리구에서 근수가 90.55개로 가장 좋았으며, IBA $10mg{\cdot}L^{-1}$일때 는 매우 저조하였으므로 산수국의 대량 번식에는 효과를 주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처리에서는 NAA $1000mg{\cdot}L^{-1}$ 5초 침지, $2000mg{\cdot}L^{-1}$ 3초 침지, $3000mg{\cdot}L^{-1}$ 10초 침지 일때 발근율 100%를 보였으나 발근율에 비해 발근수는 오히려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NAA는 저농도($10{\sim}250\;mg{\cdot}L^{-1}$)보다 고농도($1,000{\sim}3000mg{\cdot}L^{-1}$)일때 효과가 높았으며 고농도 중 NAA $2000mg{\cdot}L^{-1}$ 5초 침지일 때는 발근수가 105.45개로 가장 많은 발근수가 나타났다. NAA의 고농도처리에서는 농도가 높고, 순간침지는 짧을수록 효과가 가장 높은 것을 볼수 있었다. 따라서 자생 산수국의 대량번식을 위한 삽목번식에 적합한 생장조절물질은 NAA보다 IBA 저농도($50{\sim}250\;mg{\cdot}L^{-1}$)일 때 발근율 및 효과가 높았다. 이와 같이 자생 산수국의 대량번식에 적합한 생장조절 물질은 IBA가 NAA에 비해 발근율 및 발근수 등이 좋았으며, IBA $50mg{\cdot}L^{-1}$ 3시간이 삽목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지하공간 환경예측 시뮬레이션 개발 연구-핵 폐기물 저장공간 중심으로 (A study on simulation modeling of the underground space environment-focused on storage space for radioactive wastes)

  • 이창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9권4호
    • /
    • pp.306-314
    • /
    • 1999
  • 핵폐기물 저장공간과 같이 대규모 터널형 지하공간내에서의 환기량, 온/습도, 오염물질 농도 예측은 공간건설 및 운영을 위하여서 뿐만 아니라 화재등과 같은 비상시의 대처방안 강구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압축성 가정하에서 autocompression의 영향을 고려한 자연환기압 계산 fan 및 regulator의 최적 위치 및 용량 결정, 암반 열물성 및 암반 표면으로부터의 증발, 응축에 의한 수분함유량 변화를 고려한 온/습도 계산, 이류확산에 기초한 오염물질 농도 분포 계산 기능을 갖춘 네트워크형 지하공간 환경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온/습도 예측 모델을 군수물자 지하 저장공간에 적용한 결과 실측값과 상대오차는 건구온도 1.5~2.9%, 습도온도 0.6~6.1%로 나타났다. 도로터널 2개소를 대상으로한 실험결과 외부 입기만에 의한 확산계수는 9.78과 17.35$m^2$/s 큰 편이었으나 차량 운행과 환기설비의 작동시에는 이류확산만을 고려한 경우 CO 및 매연 농도의 상대오차가 5.88과 6.62%로 비교적 작게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터널형 지하공간에서의 농도 분포는 이류확산만에 의하여 추정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 PDF

조직배양에 의한 반하〔Pinellia ternata(Thunb.) Briet〕의 대량번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ass Propagation of Pinellia ternata (Thunb.) Breit in Vitro)

  • 최정식;나의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0-42
    • /
    • 1986
  • 반하〔Pinellia ternata(Thunb.) Briet〕의 조직을 기내배양하여 callus 유기, 기관분화 및 자구를 증식시키는데 적합한 배지와 배양부위를 선정코저 Mur-ushige & Skoog 배지에 2,4-D와 kinetin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검토하였고 또한 배양온도 및 배지의 pH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Callus 유기는 배양 5~7일 후에 엽조직 및생장점조직의 절단면에서 관찰할 수 있었으며 2,4-D 2.0mg/$\ell$+kinetin 0.2mg/$\ell$을 첨가한 구에서 callus의 형성 및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2. 자구의 형성은 엽조직 및 생장점조직을 2,4 -D 2.0mg/$\ell$+kinetin 0.2mg/$\ell$ 또는 2.4-D 2.0g/$\ell$+kinetin 2.0mg/$\ell$을 첨가한 배지에서 양호하였고 근 및 괴경조직에서는 자구가 전혀 ?성되지 않았다. 3. 엽의 부위별 자구형성능력은 Petiole이 자구형성수, 크기, 엽면적 및 생체중에 있어서 marginal meristem, minor vein area 및 intercostal area 보다 양호하였다. 4. 경의 부위별 자구형성능력은 상부위 조직일수록 자구의 형성수 크기, 엽면적 및 생체중이 양호하였으나 하부위일수록 불량하였다. 5. 배양온도는 $25^{\circ}C$에서 callus 유기, 크기 및 생체중이 가장 양호하였다. 6. 배지의 pH는 4.5~7.5에서 모두 callus가 유기되었으나 그중 pH 6.0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7. 재생되는 식물체 일부가 광엽화되는 경향이었으며 소수의 albino 식물체와 변이체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