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 innovation framework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3초

국방과학기술혁신을 위한 개방형 기술혁신 개념 적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Open Innovation Concept for the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 장원준;이춘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12-334
    • /
    • 2009
  • 최근 OECD 회원국들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국가과학기술 혁신역량 강화 및 성과 제고를 위한 개방형 기술혁신(Open Innovation)전략 추진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연구활동도 활발하게 진행 되고있다. 그러나, 국방과학기술혁신 분야에서는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우리나라 국방과학기술의 환경변화 및 문제점들을 분석해 보고 개방형 기술혁신 개념의 국방분야 적용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국가경제에 기여하는 국방과학기술혁신역량 강화 및 성과제고를 위한 개방형 국방기술혁신의 이론적 틀(framework)과 향후 추진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개방형 혁신의 협력대상자 탐색을 위한 BSC-AHP 프레임워크 제안 (BSC-AHP Framework for the Partner Selection in Open Innovation Practice)

  • 전정환;금영정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1호
    • /
    • pp.25-48
    • /
    • 2016
  • 개방형 혁신이 비즈니스 현장 및 학계의 관심을 받으면서, 개방형 혁신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개방형 혁신의 프로세스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 온 기존 연구는 협력대상자를 어떻게 선정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개방형 혁신에서 협력대상자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업/기관과 협력했을 때 기업의 성과가 어느 정도로 향상되었는가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협력대상자와의 협력 이후의 성과를 보다 체계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협력대상자 탐색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Balanced ScoreCard (BSC)와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가 결합된 평가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즉 협력대상자의 선정에 있어 협력 이후 기업의 성과를 가장 최대화할 수 있도록 협력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해 BSC를 활용하며, BSC 프레임워크에서 활용된 구체적 평가기준들 간의 가중치를 산정하고 실제 협력대상자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는 다기준 의사결정 방법인 AHP를 활용한다.

파트너십 관계-개방형 혁신 프로세스 프레임워크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Framework for Partner Relationships and Open Innovation Processes)

  • 조부연;신기정;박광태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2호
    • /
    • pp.47-69
    • /
    • 2010
  • 글로벌 지식환경이 변화하면서 기업과 연구조직의 혁신활동도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 현상이 개방형 혁신이다. 조직의 경계를 넘는 지식흐름의 방향에 따라 내향형, 외향형, 상호형 개방으로 혁신 프로세스가 나누어져 왔으나, 파트너와의 관계를 고려한 프레임워크에 대한 논의는 미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혁신 프로세스와 협업 파트너와의 관계를 두 축으로 하여 파트너십 관계-개방형 혁신 프로세스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또한, 2002년에서 2009년까지 언론을 통해 공표된 개방형 혁신사례를 제시된 프레임워크에 따라 분류하여, 국내 개방형 혁신 현황을 분석하였다. 352건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조인트 벤처 관계에서 상호형 혁신 프로세스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는 것과 2009년에 개방형 혁신이 급증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대기업 중심 사례연구에서 발견하지 못한 상호협력형 사례들을 다수 발견하면서, 개방형 혁신 주체로서의 대학 및 출연(연)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Paradigms of Information Innovation 3.0 for Hyper-connective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with Extended Technological Organization Environment Framework

  • Murtaza Hussain Shaikh;Armigon Ravshanovich Akhmedov;Muzaffar Makhmudov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2호
    • /
    • pp.14-21
    • /
    • 2023
  • Rece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already opened up new prospects for technology groups, especially in a knowledge-based society. A contemporary technological era, which can be stated as the hyper-connective Internet of Things surpassed the traditional service pattern and innovation pattern by conveying personalized, localized, and con-text-aware services close to different actors and users. The conventional boundary of the organization is disbanding as well as traditional innovation and research & development limits. This research article conducts a preliminary study about the hyper-connective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portent with innovation 3.0 version based on an extended technological organization environment framework (E-TOEF). This article discusses the emergence of innovation 3.0 as a paradigm shift from a manufacturing paradigm to an actor-oriented paradigm. There is a need to shift from a manufacturing mindset to more user ergonomics and be aware of the potential of hyper-connective IoT on the revolution of innovation patterns to be more cooperative, open, and user-centered. Besides, this article would strain some conceptual approaches for the next-generation innovation paradigm known as "hyper-connective IoT" entitled innovation 3.0. This new innovation version goes beyond open innovation and undeniably clearly beyond closed innovation which was an earlier version.

From Knowledge Arbitrager to Policy Entrepreneur? Exploring the Role of Think Tank in the Open Innovation System

  • Seo, Il Won;Asmara, Anugerah Yuka;Kwon, Ki-Seok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0권3호
    • /
    • pp.316-329
    • /
    • 2021
  •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the think tank as an intermediary organization in the open innovation system. Think tank has contributed to the policy process as a mediator between government and public and as a symbolic entity of intellectual innovation to produce knowledge to the public. As the innovation system matures, one of the major challenges in research and practice is the openness and collaboration in the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system. While previous literature highlighted the think tank as the knowledge arbitrager transforming ideas into policy issues, few studies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Is the conventional role of the think tank still persistent in the open innovation system? What are the demanding roles? This paper tackles these questions by reviewing the current role of the South Korean think tank in the science & technology sector. Based on the open innovation framework, we suggest that think tanks need to play a bigger role as policy entrepreneurs, crossing policy borders and interacting with other partners.

The Effects of Open Innovation on Firm Performance: A Capacity Approach

  • Ahn, Joon Mo;Mortara, Letizia;Minshall, Tim
    • STI Policy Review
    • /
    • 제4권1호
    • /
    • pp.74-93
    • /
    • 2013
  • Although open innovation (OI) has been an important research theme for over a decade, its theoretical framework has been relatively under-researched. As OI involves a wide range of innovation activities, a firm's capacities in the use of the various firm resources play a critical role in OI implementation. However, it is unclear how they affect firms' performances for little is known of OI capacities. Based on a theoretical framework derived from the literature, this study looks into the relationships between six OI capacities (inventive, absorptive, transformative, connective, innovative, and desorptive) and financial performance using the Korean Innovation Survey (KIS) 2008 data. The research model was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EM) while potential differences in capacities between different firm groups were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 that 1) OI capacitie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irms' financial performance; 2) capacities are high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and 3) some capacities are differently configured between different types of firms. Findings suggest that policy make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helping firms enhance OI capacities and attempt to develop relevant policies in order to complement inadequate capacities.

우리나라 개방형 혁신활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연구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Open Innovation Activities in Korea)

  • 안치수;이영덕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31-465
    • /
    • 2011
  • 본 연구는 기술혁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프레임워크로 논의되고 있는 개방형 혁신에 초점을 맞춰 개방형 혁신활동을 내향형 혁신활동과 외향형 혁신활동을 구분하고, 영향요인을 환경특성, 기업특성, 재도특성으로 분류하여 국내 149개 제조기업의 설문응답 내용을 토대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환경특성 요인의 경우 시장경쟁정도와 기술변화정도가 내향형 혁신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들이 시장경쟁정도가 심해지거나 기술변화정도가 높아질 경우, 자사의 기술 개발 촉진 및 시장에서의 우위를 유지하거나 선점하기 위하여 공동연구, 사용자 혁신 등 외부로부터의 기술도입 및 외부의 정보활용에 노력을 기울인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기업특성 요인의 경우, 내향형 혁신활동은 연구개발인력, 연구개발투자, 국제화사업건수, 해외수출, 조직문화 개방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향형 혁신활동은 국제화조직특성, 기업가정신(역량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들이 내향형 혁신활동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연구인력, 연구비 등의 R&D 투입요소의 증대에 관심을 갖아야 됨을 의미하며, 반면 외향형 혁신활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제화 전담조직을 육성하며, CEO도 독자적인 내부 기술혁신활동에 기업가정신을 발휘하기 보다는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기술혁신활동에 기업가정신을 집중해야 됨을 의미한다. 제도특성 요인의 경우 내향형 혁신활동에서는 기술네트워킹에 의해, 외향형 혁신활동의 경우 산업클러스터 입주여부 및 기술네트 워킹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에서 제도적으로 개방형 혁신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산업클러스터 조성과 기업들의 기술네트워킹 확대에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의미한다.

  • PDF

산학협력준비역량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개방형혁신협업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on Effect of Open Innovation Activity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paration Competency for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nd Company Performance)

  • 김응호;홍관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145-16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중소기업이 성공적인 산학협력을 위하여 필요한 요인을 확인하였다. 기업의 산학협력준비역량은 TOE(Technology, Organization, Environment) 구조의 구조를 고려하였으며, 산학협력준비역량과 기업성과 간의 매개효과로 개방형혁신협업과 회복탄력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산학협력 경험이 있는 중소기업 204개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통해 모형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학협력의 준비역량이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정한 각 변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산학협력으로 인한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기업에서 산학협력을 수용하고자 하는 다각적인 노력 여부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무엇이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을 결정하는가? 전략-문화 혼합유형과 환경 역동성을 고려한 실증연구 (What Determines Open Innovation in SMEs? An Empirical Study Considering the Strategy-Culture Mixed Typology and Environmental Dynamism)

  • 권세인;양종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45-353
    • /
    • 2022
  • 본 연구는 전략-문화 혼합유형과 환경 역동성을 고려하여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에 적합한 상황 및 유형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74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4개 집단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문화가 일치하는 PD형은 내·외향형 혁신 모두 혁신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동적 기술환경에서 내향형 혁신을 통해 성과를 향상시켰다. 반대로 DH형은 내·외향형 혁신 모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둘째, 전략-문화가 불일치하는 PH형과 DD형은 외향형과 내향형 중 단일 혁신만 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PH, DD, DH형은 환경 역동성에 따른 조절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개방형 혁신을 지향하는 중소기업은 변화·혁신 지향형 전략과 창의·도전적 문화를 일치시킴으로써 혁신성과를 향상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Japanese Experiences of Smart City Policies: User-Driven Innovation in Smart Community Projects

  • Yamashita, Jun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7권2호
    • /
    • pp.113-124
    • /
    • 2018
  • Since the term smart city was coined, theories and practices of smart cities have flourished. Regarding the theoretical aspect, user-driven innovation has been discussed in studies on the innovation ecosystems of smart cities. Smart cities have been built in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 recent years, including in Japan, which has experienced the same global trends in smart cities since 2010. Four smart community projects run by the Agency for Natural Resources and Energy between 2010 and 2014 followed such trends. The present study addressed user-driven innovation using the quadruple helix model as an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four smart community projects, and the outcomes of the projects were evaluated. In conclusion, the smart community projects were evaluated as successful.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se projects were not completely conducive to user-driven inno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