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pen estuary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초

탐진강 열린하구에서 탄소물질의 성상별 이동 특성 연구 (A Study on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Organic and Inorganic Carbons in the Open Estuary of the Tamjin River, Korea)

  • 박형근;옥기영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665-671
    • /
    • 2018
  • 본 연구는 탐진강 유역의 열린하구 강진만에서 하천과 해양 간의 성상별 탄소물질의 이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탐진강에서는 대부분의 탄소물질이 DOC 형태로 강하구로 유출되며, 하구로 오면서 조간대에 펼쳐진 갈대군락지에서 POC가 국지적으로 공급되고 있었다. 이에 반해 강진만에서는 DIC의 조성비가 탐진강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무기탄소는 주로 해양에서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탐진강 열린하구는 하천과 바다의 영향이 상호 교차하는 지역으로 강에서는 유기탄소의 공급이 바다에서는 무기탄소의 공급이 주로 이루어져서, 탄소물질의 하구순환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상과 같이 열린하구에서의 탄소조성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하천과 하구, 해양 생태계 간의 환경특성에 따른 탄소공급원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향후 보다 종합적인 연구를 위해 국내의 닫힌 하구와의 비교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낙동강 하구의 퇴적물 이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ediment transfer in Nakdong estuary)

  • 전용호;이인철;류청로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61-166
    • /
    • 2004
  • Research for deposits in Nakdong eatuary that research about Nakdong eatuary's sediment flows out in Nakdong-kang so far had been progressed but research about deposits that is flowed in open sea is insufficient. Observed Nakdong eatuary's characteristic of sediment transfer through observation during the second during Buteo 20 days on February 6, 2004 in this research Resuspension bed load Flux appeared high the first result St.4 point and St.5 point. St.4 branch had much bed load amount that is flowed in the east, and bed load that St.5 branch is flowed in the south appeared much Tendency such as the first showed in the second result, but compare with the first result and St.5 branch had much bed load that is transfer in end. Bed load that is transfer in observation result Nakdong river was less. As this, can know that amount of sediment that is transfer in open sea more than deposits that is transfer in Nakdong river is much Is expected to exert effect that deposits that is transfer in open sea is high in Nakdong estuary's topography change. Specially, observation result is expected that Nakdong estuary's deposition tendency becomes Jinwoodo southern and Shinho southern.

  • PDF

하구의 지형적.자연서식지.이용개발특성에 따른 유형 분류 (Estuary Classific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ical Features, Natural Habitat Distributions and Land Uses)

  • 이강현;노백호;조현정;이창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6권2호
    • /
    • pp.53-69
    • /
    • 2011
  • 하구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하구의 특성과 분포를 반영한 분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 고해상도 항공사진 및 지형도 등을 사용하여 우리나라의 463개 하구의 특성과 분포를 파악하였고, 이들 하구의 하구순환 유지 여부, 지형적 특성, 자연서식지 특성, 이용개발 특성에 기초하여 유형을 분류하였다. 하구 순환이 이루어지는 235개의 '열린하구'는 지형적 특성에 따라 '산지/절벽형', '사취형' 및 '깔대기형'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유형에 속하는 하구는 각각 41, 87, 107개로 분류되었다. 구분된 각 하구는 다시 자연서식지 특성과 이용 개발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세분하여, 열린하구는 총 9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하구순환이 차단된 228개의 '닫힌하구'는 차단 형태에 따라 '직접차단'과 '하구호' 형성에 의한 간접차단으로 구분하였다. 직접차단 형태의 하구를 다시 자연서식지 및 이용개발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세분하였으며 각 유형에 속하는 하구는 각각 25, 64, 55개로 분류되었다. 간접차단 하구는 84개가 파악되었으나 세분하지 않아 닫힌하구는 총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 유형분류 체계는 하구의 지형적 특성, 자연서식지의 현황 및 토지이용 특성을 모두 반영하고 있어 국가 차원의 하구관리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관리방향을 설정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낙동강 하구에서의 부유사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in the Nakdong Estuary)

  • 김재중;김기철;이정만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0-131
    • /
    • 1995
  • Numerical simulations on the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in the Nakdong Estuary are carried out Uncoupled flow model and diffusion model of which the governing equations are two-dimensional depth integrated equations are used int his study. Four cases are tested in this numerical simulations in which the Gaduk waterway open boundary condition and Nakdong Estuary barrage boundary condition are considered as the boundary conditions. The simulated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data which were obtained by NEDECO at hadan site on 1981.2.19. and by Dong-A university at one station in the study area on 1993.4.3. and show a good agreement with them. The construction of the Nakdong Estuary Barrage may affect to reduce the current near Jinudo an Daemadeung and the suspended sediment inflowed from the upstream in the wet season seems to be transported to the Dadae.

  • PDF

부산신항 건설이 진우도 주변 해저지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수치실험을 통한 정성적 평가 (Morphological Change in Seabed Surrounding Jinwoo-Island Due to Construction of New Busan Port - Qualitative Evaluation through Numerical Simulation)

  • 홍남식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2-201
    • /
    • 2018
  • In this study, a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seabed surrounding Jinwoo-Island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new Busan port were determined through a numerical simulation. Various scenarios for the discharge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dam and construction stage of the new Busan port were established and utilized for an indirect and qualitative investigation through simulation using the numerical model implemented in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rough a qualitative study that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seabed surrounding Jinwoo-Island were typical estuary seabed changes due to the discharge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dam and waves from the open sea. The effects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new Busan port were relatively small.

Year-to-year Variability of the Vertical Temperature Structure in the Youngsan Estuary

  • Cho, Yang-Ki;Lee, Kyeong-Sig;Park, Kyung-Yang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1권3호
    • /
    • pp.239-246
    • /
    • 2009
  • Long-term observations were conducted between 1997 and 2002 to examine the variability of the vertical temperature structure in the Youngsan Estuary, southwest Korea, in summer. The observed hydrographic data revealed that the temperature minimum layer in the middle depth persisted through the entire summer of 2000 but was rarely observed in other years. The variability in the vertical structure might be affected by the air temperature during the previous winter and the density difference between the open sea and the estuary. In 2000, the air temperature in the previous winter was lowest and the horizontal density difference during summer was largest. The large horizontal density difference probably produced more active driving of warm water along the bottom, which would have intruded into the Youngsan Estuary. Furthermore, the cold previous winter would have provided a better condition for maintaining cold temperatures in the middle water layer for a longer period.

해수층의 염분 변화가 일차생산자와 상위소비자의 크기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inity Change on Biological Structure between Primary Producers and Herbivores in Water Column)

  • 신용식;서호영;현봉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0권2호
    • /
    • pp.113-123
    • /
    • 2005
  • 영산강 하구(목포항)해역에서 해수층의 염분 변화가 1차 생산자와 상위 소비자와의 연계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3년 10월부터 2004년 9월까지 매월 8개 조사정점에서 수문 개폐 여부에 따라 개방시와 비개방시로 나누어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산강 하구둑으로부터 배출되어지는 담수 유입량은 강우가 집중되었던 (여름철인) 6월과 7월에 가장 많은 양의 담수가 항내로 유입되었다. 수문 개방시 표층 염분 분포는 $6\~28.9$ psu로 수문비 개방시의 $24.4\~30.3psu$ 보다 큰 차이를 보였으며, 광소멸 계수$(K_d)$ 또한 수문 개방시에 높아 탁도가 높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조사 기간 동안 대발생(bloom)은 하구언 수문을 개방하지 않은 2월, 5월, 7월에 내항에서 발생하였으며, 대형식물플랑크톤이 $70\%$이상의 점유율을 보이며 우점하였다. 중형과 소형식물플랑크톤이 하구언 수문 개방일인 2003년 10월, 11월, 2004년 6월, 8월, 9월에 전체 식물플랑크톤에 대하여 높은 기여율을 보여 수문 개폐에 따라 크기 구조가 변화되었다. 수문 개방시 소형과 중형동물플랑크톤은 수문을 개방하지 않았을 때 보다 낮은 생체량 분포를 보였으며, 공간적으로는 외항보다 내항에서 다소 높은 생체량 분포를 보였다. 동물플랑크톤의 분포는 전반적으로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 분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수문 개폐에 따른 염분, 영양염 유입, 탁도 혹은 광량등의 환경인자가 1차생산자의 생체량 및 크기 구조에 영향을 주고 상위소비자인 동물플랑크톤의 생체량 분포에도 영향을 미치어 결국 두 생물들간의 연계성 변화를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구의 배수갑문 설치 유무가 어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luice Gates at Stream Mouth on Fish Community)

  • 김준완;김규진;최범명;윤주덕;박배경;김종학;장민호
    • 생태와환경
    • /
    • 제55권1호
    • /
    • pp.49-59
    • /
    • 2022
  • 배수갑문의 설치가 하구 환경 및 어류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분석하기 위해 국내에 위치한 총 325개의 하구를 대상으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닫힌하구와 열린하구의 전반적인 어류군집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닫힌하구에서는 일차담수어류, 열린하구에서는 기수성 어류와 회유성 어류의 상대풍부도가 높게 나타났다. 해역별로 닫힌하구와 열린하구의 어류를 서식특성별로 구분한 결과에서 남해와 서해는 유사한 경향성을 나타냈으며, 닫힌하구에서 일차담수어류 비율이 가장 높고 열린하구에서는 기수성 어류의 비율이 가장 높으나, 동해에서는 닫힌하구와 열린하구 모두에서 기수성 어류와 회유성 어류의 비율이 높았다. 일차담수어류의 경우 염분에 대한 내성이 없거나 낮은 염분 내성 범위를 가지기 때문에 해수의 순환이 차단되어 염분농도가 낮아진 닫힌하구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난다. 그러나, 동해의 경우 닫힌하구보다 열린하구에서 일차담수어류의 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동해안 지역의 특성(조차, 모래사주 등)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또한, 하구어류평가지수(KEFAI)는 모든 해역별 열린하구에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T-test, P<0.001), 닫힌하구는 남해, 열린하구는 동해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역별로 닫힌하구와 열린하구를 구성하는 어류군집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ERMANOVA, East, Pseudo-F =3.0198, P =0.002; South, Pseudo-F =22.00, P=0.001; West, Pseudo-F=14.067, P=0.001), 해역별 어류군집 유사도에서도 동해, 남해, 서해의 닫힌하구와 열린하구의 어류군집이 뚜렷하게 차이남을 확인하였다(SIMPER, Group dissimilarity, 85.85%, 88.36%, 88.05%). 본 연구는 전국 하구의 유형에 따른 어류군집 특성 및 분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하구의 관리와 복원에 있어 해역 및 유형에 따라 적절한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하구에 있어서의 밀도유적 수리조건 (Hydraulic Conditions to Density Currents in the Estuary)

  • 이문옥;이삼노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0
    • /
    • 1990
  • 밀도류에 대한 하구에서의 수리조건을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정상염수쐐기가 존재하는 하구에서의 유하방향의 계면현상은 하구에서의 밀도 Froude수가 커짐에 따라 그 기울기가 증대하였다. 적층 두께는 하도내에서는 거의 일정하였으나, 하도내를 벗어나면서 급격히 증대하였으며, Overall Richardson number가 커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하구에서의 밀도 Froude 수는 반드시 1.0은 아니며, 상층수량에 따라 변화를 나타내었다. 하구에서의 수위는 상대밀도차가 커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섬진강 하구에서의 현상관측결과, 하천수와 외양수와의 사이에 강한 밀도전선이 형성되어 있었다.

  • PDF

Measurements of $^{224}Ra\;and\;^{223}Ra$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the South Sea of Korea

  • Hwang, Dong-Woon;Kim, Gue-Buem;Yang, Han-Soe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8권2호
    • /
    • pp.80-86
    • /
    • 2003
  • The horizontal distributions of $^{224}Ra$ (half life=3.4 days) and $^{223}Ra$ (half life=11.3 days) were measured in surface seawater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the South Sea of Korea in April and October 2002. In order to determine these short-lived Ra isotopes, we used a delayed coincidence counter which is much more rapid and accurate than traditional methods. In an estuarine mixing zone (salinity, ~l6 ppt), the activities of $^{224}Ra\;and\;^{223}Ra$ were much greater than what would be expected from a mixture of freshwater and seawater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This excess Ra may be a result of Ra desorption from fresh sediments originating from the river upstream. However, in the more open area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salinity>30 ppt) and the South Sea of Korea, $^{224}Ra\;and\;^{^{223}Ra$ activities decreased exponentially as a function of distance offshore. Using the decrease of $^{223}Ra$ with distance offshore in the South Sea of Korea, we estimated the apparent horizontal eddy diffusivities. The apparent eddy diffusion coefficients in South Sea of Korea are calculated to be approximately $3500-8000\;\textrm{m}^2/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