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ac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17초

공공도서관 OPAC 인터페이스의 발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Public Library OPAC Interface)

  • 하은아;이성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27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OPAC 인터페이스의 발전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국내 외 공공도서관 OPAC 인터페이스의 사례를 분석하고, OPAC 인터페이스에 대한 이용자 요구를 조사하기 위하여 OPAC의 이용행태, 기능요구도, 개선사항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공공도서관 OPAC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을 준수하며 이용자 요구를 반영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자료에 대한 완전한 서지 레코드를 입력하여 OPAC의 다양한 기능 구현을 위한 기반을 제공해야 한다. 이 연구 결과는 공공도서관 OPAC 인터페이스의 설계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도서관의 차세대 OPAC 기능 수용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of the Next Generation OPAC Functionalities Adoption in Academic Libraries)

  • 정영미;도태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71-488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도서관별 차세대 OPAC 기능 수용 현황을 파악하고, 기능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차세대 OPAC 기능 27개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191개 대학도서관 중 접속 가능한 181개 대학도서관의 OPAC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도서관의 차세대 OPAC 기능 수용은 SPSS Statistics 21을 사용하여 운영주체, 설치지역, 총예산, 장서량, 이용대상자수, 그리고 도서관자동화시스템 등의 변수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세부적인 기능 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대학의 운영주체 변수를 제외한 모든 변수가 차세대 OPAC 기능의 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다.

국립중앙도서관과 미국의회도서관 OPAC 디스플레이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OPAC Display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Library of Congress)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63-29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IFLA TF의 'OPAC 디스플레이 지침(초안)'에서 제시된 38개 권장사항들을 중심으로 국립중앙도서관과 미국의회도서관의 OPAC 디스플레이를 비교 검토하여, 디스플레이에 반영되는 OPAC의 기능성 및 검색과 관련된 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기본탐색'에서 coffin과 coffin, tristram의 두 명칭을 사용하여 기본탐색과 표목 디스플레이, 간략 디스플레이, 레코드 배열, 간략서지와 완전서지, 용어 및 명칭의 적절성 링크, 전체 화면의 구성이라는 일곱 개 영역을 비교 분석하였다. LC OPAC에 비교할 때, 국립중앙도서관의 OPAC 디스플레이에 'OPAC 디스플레이 지침(초안)'의 권장사항들을 참조하여 개선할 것이 요구되는 다음과 같은 여러 특성들이 발견되었다. 간략 찾기의 지나친 단순화, 도움말의 복잡성과 모호성, 간략 디스플레이의 복잡성과 레코드 검색 근거 표시 결여. 도서관 전문용어의 사용, 목록 화면의 복잡성 등.

차세대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xt Generation OPAC's Interface and Function)

  • 구중억;곽승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1-88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도서관에서 현행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개선하여 차세대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갖추는데 실질적인 기초자료와 도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OPAC의 개념과 발전과정,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행태, OPAC의 이용자 이용행태, 도서관의 위기인식, 도서관의 OPAC 인식 등에 관한 선행연구와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개선하는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행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에 관한 사례분석은 검색창, 검색항목, 검색기법, 정렬기능, 검색결과 디스플레이, 검색결과 피드백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최근에 개발된 국내외 도서관 상용 및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는 차세대 OPAC의 검색 인터페이스, 검색 기능 및 Library 2.0 서비스 측면에서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도서관에서 현행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 어린이용 OPAC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OPAC Displays in Public Libraries)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5-53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어린이용 OPAC 디스플레이의 기능성 및 그에 관련된 검색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청주기적의도서관, 노원어린이도서관의 OPAC과 미국 로스앤젤레스 공공도서관과 핀란드의 HelMet어린이용 OPAC을 대상으로 간략 및 상세검색 화면의 구조. 간략 디스플레이 서지레코드의 간략 및 완전 디스플레이, 다수 검색 결과와 검색 실패 시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들의 특성은 IFLA의 'OPAC 디스플레이 지침(초안)'에서 제시된 38개 권장사항 및 Nielsen의 '이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원칙'을 참조하여 검토하였다. 청주기적의도서관과 노원어린이도서관 OPAC 디스플레이가 어린이들의 요구와 행태를 특별히 반영하지 않은 한편. LAPL은 매우 단순하고 시각적인 특성을 지닌 어린이용 OPAC을 제공했으며, HelMet 어린이용 OPAC도 상당히 단순하고 어린이용으로 조정된 특성을 보여주었다.

툴바 제공에 의한 인터넷과 OPAC의 이용자 평가 비교연구 (Comparison of the Users' Assessment about Internet and OPAC Based on Toolbar)

  • 이현실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5-157
    • /
    • 2010
  • 대학생들은 학술정보를 검색할 때, 도서관 OPAC보다 인터넷을 선호한다. 인터넷 검색에 뒤지지 않고 이용 편리성에 우선하는 OPAC의 인터페이스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웹 2.0 실현의 한 방법으로 간편 검색도구인 도서관(OPAC) 툴바를 제공하여 인터넷 툴바와 비교평가 함으로써, OPAC도 인터넷과 같이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검색도구임을 규명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조사한 정보검색 사이트 선호 요인 및 인터넷과 도서관 OPAC의 비교에서 도출한 논점은 Library 2.0을 실현하는 사용편리성에 우선하는 OPAC 구현에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WWW를 기반으로 하는 도서관 OPAC에 관한 고찰 (A Study on Library OPAC Services based on WWW)

  • 김선화
    • 정보관리연구
    • /
    • 제27권3호
    • /
    • pp.25-40
    • /
    • 1996
  • 1990년대에 만들어진 WWW는 하이퍼텍스트, 멀티미디어, GUI 등의 특성을 갖고서 급속도로 발전하여 현재는 인터넷의 대표적인 서비스로 자리를 잡았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WWW와 도서관의 OPAC을 인터페이스 시킴으로써 도서관과 이용자 양측 모두에게 유용한 검색용 도구가 되고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WWW의 기본적인 특성 등에 대해 살펴본 후, WWW를 기반으로 한 도서관 온라인열람목록(OPAC)에 대하여 언급하고자 한다. 기존 텔넷(telnet)방식의 OPAC을 설명한 후, WWW를 기반으로 한 OPAC에 대해 비교적 상세히 언급하였다. 또한 도서관 OPAC과 WWW를 연동했을 때의 장단점에 대해서도 설명하였다.

  • PDF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어린이용 OPAC 디스플레이의 분석 (An Analysis of Children's OPAC Displays in Public Libraries in Korea)

  • 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17-343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IFLA의 'OPAC 디스플레이 지침(초안)'에서 제시된 38개 권장사항들을 중심으로 어린이 도서관의 OPAC 디스플레이를 검토하여, 디스플레이에 반영되는 OPAC의 기능성 및 검색과 관련된 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서울특별시립어린이도서관, 청주기적의 도서관, 및 용산도서관 어린이도서관의 OPAC을 중심으로 검색화면의 구조와 검색방법, 간략 디스플레이, 레코드 정렬, 용어 및 명칭의 적절성, 및 서지 레코드 완전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도서관 OPAC은 어린이의 요구와 행태를 반영한 기능성과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지 않았고, KOLAS 시스템의 전형적인 일반용 OPAC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보여주었다: 간략검색의 지나친 복잡성, 상세검색의 불필요한 검색 및 제한 기능, 미작동 기능, 도움말의 부재, 간략 디스플레이 및 소장정보의 복잡성, 도서관 전문용어의 사용, 목록 화면의 복잡성 등.

  • PDF

대학도서관의 차세대 OPAC 기능 채택과 확산 현황 (A Study on the Next Generation OPAC Functionalities Diffusion Status and Adoption by Academic Libraries)

  • 도태현;정영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7-215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차세대 OPAC 기능 채택 현황을 조사 분석한 것으로 새로운 OPAC 시스템을 도입하거나 시스템개편을 계획하고 있는 도서관에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차세대 OPAC 기능의 예비항목들을 추출하고 이것을 검증하기 위해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본연구에서의 조사대상은 우리나라 191개 대학도서관 전수로 하였으며 데이터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두 명의 연구원이 중복 조사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PASW Statistics 18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장 많이 채택된 차세대 OPAC 기능은 간단검색창이었고, 그 다음은 결과내검색이었다. 클러스터링, 오픈서치플러그인, 적합성순정렬, 철자오류 수정은 소수의 도서관만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도서관의 OPAC 2.0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 조사 (A Survey of User Perceptions of OPAC 2.0 Service in Academic Library)

  • 이혜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79-201
    • /
    • 2012
  • 현재 대부분의 대학도서관에서는 Web 2.0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 검색엔진의 기능을 온라인목록에 적용시킨 OPAC 2.0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새로운 서비스 제공은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필요한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중요한 것은 각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의견을 고려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OPAC 2.0 이용자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OPAC 2.0 서비스(주요 기능)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이와 관련된 도서검색시 이용하게 되는 이용원 및 그 이유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 조사 및 분석결과 OPAC 2.0 서비스에 대하여 이용자들은 '정확하고 만족스러운 검색결과'를 원하고 있었으며 단순히 '화면이 익숙하고 열람 및 대출이 편리하다.'는 이유로 '소속 대학도서관 온라인목록'을 도서검색 정보원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이용자들의 의견이 고려된 OPAC 2.0 서비스의 개선이 필요하다.